-
-
현의 노래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칼의 노래]는 풍문으로만 듣고 알았던 '김훈'이란 작가의 면모를 알게 했다. '김훈' 식의 수사법은 다른 글들과 확연히 구분할 수 있는, 구분이 되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이번에도 [현의 노래]를 보면서 그 생각이 틀리지 않았다는 것은 또 한번 알게 해주는 이 작품은, 우륵과 가야금 그리고 그 시대에 살았던 여러 인물들의 등장하는 이야기가 총체적으로 잘 엮어져 있어 허구라는 느낌이 들기는커녕, 실제 복원된 듯한 느낌마저 드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소리'라는 대상을 조용하지만 깊은 목소리로 똑똑히 전하고 있다. 허구로 읽혀져야 옳다고 작가는 말했지만, 이야기가 주는 사실적인 느낌 때문에 이 소설은 전혀 허구적이지 않다.
조금은 어려운 부분이 있기도 했다. 작가가 글 안에 담고 있는 그 깊이만큼, 내가 온전히 받아들였는가 하는 부분에서 말이다. 눈으로 쫓아가며 읽어내기는 했지만, 읽으면서 감탄했지만 그 감탄이 진정 완전한 이해에서 온 감탄일까. 그저 화려한 수사에 환호했던 것일까. 조금은 아리송한 기분이다. [현의 노래]는 역사적 사실, 그저 상식쯤으로만 알고 가볍게 치부해버렸던 우륵과 그가 만든 가야금이란 악기에 대해서. 또 그 악기로 파생되는 '소리' 자체에 대해서 구현하고 조명하는 소설이다. 작가의 생각의 깊이와 넓이가 남다르다는 것은 글로써 입증된다. 12줄 이루어진 가야의 악기. 가야금이 품고 있는 그 생명이기도 하고 사라짐이기도 한 그 소리는, 지금 이 시대 현대라는 시간을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오는 소리일까. 과연 어떤 의미로 남을까.
이런 소설을 쓸 수 있는 작가를 언제나 동경이다. 군더더기 없이 필요할 말만 딱 하고 마는 글쓰기. '늘어짐' 은 눈에 띄지 않는다. 작가가 즐겨 쓰는 표현법이랄까. 그런 말들에 조금씩 익숙해지고 있음을 느낀다. 굳아 깊이를 강요하지 않아도, 책장을 덮을 즈음엔 어떤 식으로든 약간은 더 깊어지게 되는 느낌을 받게 된다. 작가의 깊음이 글을 타고 옮아서 그런가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