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귀고리 소녀
트레이시 슈발리에 지음, 양선아 옮김 / 강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미리 예상하고 기대했던 것보다도 훨씬 더 재미있고 좋은 소설이었다. 역시 대중적으로 많이 읽혔던 이유가 있었다. 개인적으로 미술과 관련된 어떤 지식, 아니 상식이라고 할만 한 무엇도 가지고 있지 않은 백지 상태에 가까운 사람이지만, 매혹을 폴폴 풍기는 그림 앞에서 시선을 멈추고 감동할 마음과 감성은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라, 이 소설이 묘사하는 이야기에 매료되는 게 당연하다.

요하네스 베르메르. '진주 귀고리 소녀'를 그린 작가라는 단 한가지 이유로 충분히 내 머릿속에 각인된 이유가 되었다. 옮긴이의 말에서처럼, 난 정말 네덜란드 화가하면 고흐, 렘브란트 딱 두 명만 알고 있었다. 이제부터는 세 명이 되는 거다. 화가에 대한 정보가 드러난 것이 별로 없어 작가의 상상력에 의해 창작된 부분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꼭 사실적인 부분과 허구적인 부분으로 나누어 생각해야하는 건 아닐 테다. 허구 안에서, 작가의 상상력 안에서 우린 더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하인이란 신분으로 베르메르를 만나게 되는 그리트. 그리트 내면에서 아무도 모르게 자리하고 있던 예술적 재능은 베르메르의 일을 돕게 되면서 천천히 자연스럽게 꽃을 피우게 된다.

책을 보고 나서도 '진주 귀고리 소녀' 그림을 얼마나 골똘히 쳐다봤는지 모른다. 책을 보고 나니 더더욱 그림을 바라보게 되는 것 같다. 명확한 것에 끌리는 만큼, 우리는 '모호함'에 끌리며 끝내 그 '모호함'을 사랑하게 된다. 차라리 정의내려지지 않은 편이 더 다양하게, 다채롭게 해석 가능한 가설들을 양산하기에 더 매력적이게 다가온다. 그림 속에 저 소녀의 표정은 정말 오묘하다. 그래서 끌린다. 시선을 붙잡게 만드는 매혹적인 저 그림 한 점은 보는 순간 끌어당기는 마력으로 가득 차 있다. 정말 저 소녀는 누구일까. 신비한 그림만큼 동일하게 신비한 서정적이면서 아름다운 소설이다. 곳곳에 실린 베르메르의 다른 그림들을 보는 재미도 있고, 화가와 모델에 대해서 새삼 생각해보고 그 보이지 않는 세계를 동경해 보기도 했다. 마음에 꼭 드는 재밌는 소설이었다. 영화도 좋다니, 한번 봐야겠다는 계획을 세워본다. 영화도 기대된다. 영화도 소설처럼 내 기대를 능가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