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말할 것인가 - 세상을 바꾸는 18분의 기적 TED
카민 갤로 지음, 유영훈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발표자가 지녀야 할 자세와 올바르고 효과적인 방법론을 알려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chakraba님의 "돌궐님의 리뷰에 대한 저자의 입장"

성낙주 선생님, 안녕하세요. 돌궐입니다.
우선 제 리뷰에 대해 선생님의 자세한 입장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선생님 의견에 대해 몇 가지 제 생각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우선 강희정 선생님의 석굴암 관련 연구가 `90년대말부터 이어`왔다고 쓴 건 제 실수입니다. 선생님 말씀이 맞습니다. 2007년 출간된 미술사논문집 『시각문화의 전통과 해석』에 처음 나왔습니다. 이처럼 연대가 명시되는 중요한 사항을 검토도 제대로 하지 않고 쓴 것은 완전히 제 잘못이며 이에 대해 변명하지는 않겠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 논점이 달라지는 건 아닙니다. 2007년과 2008년에 연이어 나온 `석굴암 재발견` 관련 강희정 선생의 논문들은 기본적으로 석굴암을 바라보는 일제의 식민사관에 대한 것입니다.

저는 선생님 말씀처럼 강교수님의 글들이 ˝일본 학자들이 ‘조선미술사’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석굴암이 조선을 대표하는 ‘문화재’로 정착되는 과정을 밀도 있게 재구성하는˝ 연구로만 보이지는 않습니다. 저는 그 논문들이 일제의 식민사관, 즉 석굴암을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시선과 해석에 대한 매우 혁신적인 연구였다고 생각합니다. 이처럼 당시로서는 매우 획기적이었던 강희정 선생의 글들이 2009년 이후 발표하신 성낙주 선생님의 글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고 생각하기는 힘듭니다.

선생님께선 두 분의 연구가 서로 아무런 영향 관계가 없이 독립적으로 작성되었고, 결과적으로 ‘상보적’ 관계에 있다고 하셨습니다. 1999년에 『인물과 사상』에 쓰신 「강우방 관장은 석굴암의 현실을 직시하라」라는 글에서 선생님께서는 이미 ‘햇살 콤플렉스’라는 낱말을 쓰셨기 때문에 ‘석굴암의 햇살신화’라는 관점은 이 때 시작된 것으로 인정할 수 있지만, 강희정 선생의 연구와 성낙주 선생님의 연구가 <일제가 바라본 석굴암>이라는 거의 똑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면에서는 『석굴암, 법정에 서다』 서두 부분에서 강 선생의 글들은 기존의 주요 연구 성과로 반드시 언급되고 넘어갔어야 합니다. 책의 말미에서 잠깐 언급되고 말 정도의 논문이었다면 차라리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두 분의 글들 사이의 영향 관계 여부와 관계가 없는, 학술적 글쓰기의 기본적인 절차입니다. 선생님께서 강희정 교수의 발표에 질의자로 참여하신 적이 있었다고 하셨으니 더욱 그렇습니다.

굳이 또 다른 예를 들자면 2001년 『동악미술사학』에 선생님께서 쓰신 논문 「歸納推理에 의한 石窟庵과 佛國寺 관련 문헌사료의 연구」에서 보여주신 것처럼 (석굴암) 관련 사료들과 기존 연구 성과들을 최대한 충실하고 공정하게 제시하셨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를 지적한 것이며 선생님께서 강희정 교수님의 연구 주제와 내용이 선생님의 연구와 같지 않다고 말씀하신 점은 동의하기 힘듭니다. 다루는 내용과 표현, 방법에 조금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석굴암에 반영된 `식민사관`을 연구하는 기본적 접근 방향은 다르지 않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제가 원형돔 철거론 운운한 부분입니다.

선학들이 전실을 철거하자고 주장한 것에 대해 선생님께서는 이는 잘못된 것이고 이 전실이 없어지면 마치 석굴암의 모든 부분에 피해를 줄 것처럼 설명하셨습니다. 개방구조로 인정했던 학자들과 유네스코에서 전각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던 것에 대해 ‘지붕과 출입문이 없는 집은 집이 아니라는 평범한 상식에 비춰보면’(282쪽)이란 표현을 써서 전각의 유무 문제가 갑자기 지붕의 유무 문제로 바뀌게 됩니다. 원형돔과 사천왕이 새겨진 비도 안쪽으로는 원형 지붕이 멀쩡히 남아 있는데 왜 지붕이 없는 집이 되나요?

그뿐 아니라 앞에서도 총독부에서 전실 공간을 노천상태로 열어둔 점을 ‘‘집’의 기본이 지붕이라고 할 때, 이러한 조치는 어떤 말로도 설명이 안되는 일이었다’(138쪽)고 비판하셨습니다. 여기서도 역시 전실과 그 지붕이 갑자기 석굴암의 지붕인 것처럼 표현하신 겁니다. 걸러서 읽으면 되지 않느냐고 하시겠지만 이후 이어지는 석굴암 피해 상황들에 대한 서술은 마치 그 모두가 전실의 지붕이 없어서 일어난 것처럼 독자들의 판단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지붕이 없는 집’이란 글이 일정 부분 수사적 표현이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이런 뉘앙스를 지닌 것으로 해석하기 쉬운 문장을 여러 곳에서 발견할 수 있습니다. 석굴암의 지붕은 원형돔이지 전실의 지붕이 아닙니다. 전실의 지붕은 그야말로 전실의 지붕일 뿐입니다. 석굴암 원형논쟁의 중심에 왜 자꾸 전실이 언급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선생님 말씀대로 원형돔을 철거하자고 주장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현재 학계에서 전실이 있었는지 없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는 건 선생님도 인정하실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실이 있었다고 주장하려면 그 합리적인 근거와 이유를 제시해야 하며, 없었다고 주장하는 쪽도 마찬가지입니다. “전실이 없었으면 지금처럼 조각상들이 남아있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전실은 없었을 리가 없다. 따라서 전실은 있었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마치 “숭례문에 화재 방지 스프링클러와 CCTV가 없었다면 화재가 나도 막을 길이 없었을 것이다. 숭례문이 불타서 전소된 것을 보면 이 시스템들이 있었을 리가 없다. 따라서 스프링클러와 CCTV는 없었다.”라고 주장하는 것만큼 허망합니다.

당시의 여러 기사를 찾아보니 스프링클러는 없었고 소화기만 8대 있었다고 합니다. CCTV는 사각지대에 있었다고 나옵니다. 그런데 이 시스템들을 제대로만 갖춰 놓으면 숭례문이 안전했을까요? 도움은 됐을지 몰라도 토지보상금을 못 받아 억울하여 악에 받친 또 다른 노인이 나타난다면 그마저도 완전한 대책이 될 수는 없었을 겁니다. 숭례문이 불탄 것을 철저한 훼손방지 대책 없이 공개한 정부와 전 서울시장, 야간 경비 인력 한 명 배치하지 않은 문화재청과, 문화재 소방 방법에 대해 아무런 준비도 없었던 소방청, 누구나 알 수 있는 ‘랜드마크’로써 헤아릴 수 없는 혜택을 받고 있으면서도 정작 그 보존과 관리 문제에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았던 인근 시민과 상인들의 탓으로 보는 것이 합당한지 아니면 토지보상금을 못 받아 억울한 어떤 사람과 스프링클러 및 화재경보기 탓으로 보는 것이 합당한지는 평범한 사람에게 물어보아도 될 것입니다.
전실 존재의 여부와 석굴암 조각상 보존 사이, 그리고 숭례문 스프링클러-CCTV 시스템과 화재방지 사이에는 ‘상관관계’는 있어도 ‘인과관계’는 없다는 얘기입니다.

전실 원형 문제는 우선 팔부중상과 금강역사상 면석으로 구성된 전실이 석굴암 창건 때부터 현 상태로 계획되었는지에 대한 질문부터 해결해야 합니다. 강우방 선생님을 제외하곤 대부분 팔부중상이 원안 설계에 들어 있었을 거라고 생각한다고 하셨는데, 저는 이 부분에 대해 근본적인 의심이 있습니다. 전실의 원안 설계가 무엇이었는지 확실히 알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팔부중상이 없었다는 얘기가 아니라 이들이 지금처럼 계획되고 조각되었을 거라는 근거가 현재의 상황에서는 없다는 것입니다.

저는 확실한 근거가 없는 한 석굴암 창건주는 팔부중상이 서로 4상씩 짝지어서 마주 보도록 설계했을 것이라고 단언하지 못합니다. 이들 여덟 상들이 두세 종류의 서로 다른 양식을 보이고 있는 사실은 더더욱 전실의 실체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밖에 없게 만듭니다. 의심할 수 있는 것은 끝까지 의심해야 하고, 그 끝에서 의심이 걷히게 되면 그 때 거기서 새로운 이론과 가설들을 세울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저의 이런 궁금증과 관련해서 많은 시사점을 준 아래 두 저술이 있습니다.

신형준, 「석굴암의 수학적 비례미, 과연 존재하나」, 『한국고대사에 대한 반역』(조선일보사, 2004), 113-219쪽.
허형욱, 「석굴암 관련 조선후기 문헌기록의 검토」, 『신라문물연구』 5(국립경주박물관, 2011), 26-46쪽.

이 논문들을 보고 나면 현재 선생님을 포함한 학계에서 통상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석굴암의 원형(圓形) 주실과 방형 전실의 수학적 비례관계뿐만 아니라 석굴암 창건시의 원형(原形)의 ‘실체’에 대해 근본적인 의심이 들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도 왜 학계에서 이런 글들에 대한 언급이나 반론이 전혀 없는 것인지 저는 그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저는 학술 서적에 대한 듣기 좋은 비평들을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비판 정신이 없는 맹종은 학문 발전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선생님 저서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외람된 비판을 했던 것은 그만큼 선생님의 연구와 이 책의 성과를 존중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알라딘에 서툴게 휘갈긴 제 서평이 혹시 나중에 이 책의 개정판이라도 나온다면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저자에게 직접 글을 받게 되어 매우 당혹스러우면서도 한편으로는 감사하기도 합니다.

이미 아시겠지만 저는 선생님의 의견에 ‘반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의견에 관한 ‘좀더 자세하고 합당한 이유와 근거를 달라’고 요청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여러 가지 석굴암 문제 논의는 언젠가 기회가 되면 꼭 이루어지리라 믿습니다. 오늘은 여기서 이만 줄이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석굴암, 법정에 서다 - 신화와 환상에 가려진 석굴암의 맨얼굴을 찾아서
성낙주 지음 / 불광출판사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목조전실의, 목조전실에 의한, 목조전실을 위한 책이라고 할까. 모든 논리는 목조전실의 정당성으로 귀결된다.

목조전실은 있었을 수도 있고 없었을 수도 있다. 처음에는 없었다가 나중에는 보존 등의 문제로 설치했을 수도 있고, 전실 없이 지붕만 마련했을 수도 있고, 아니면 개방형으로 놔둔 채 주실로 들어가는 들머리를 승려들과 불자들이 끊임없이 청소하고 관리했을 수도 있다. 옛날의 기록이나 사진이 없는 한 단언할 수는 없다. 나는 솔직히 잘 모르겠다. 모르는 걸 모른다고 해야지 함부로 짐작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어쩌면 이렇게 확신에 찬 어조로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이들을 비판할 수 있는지도 잘 모르겠다.

현재의 목조전실 덕분에 조각상이 잘 보존되고 있다는 주장은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것은 항온항습기라는 기계가 함께 돌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항온항습기 같은 최첨단 기기가 없던 시절과 똑같은 조건에서 비교를 해야지 석굴 외부가 모두 2중의 콘크리트로 막히고, 전방을 밀폐한 채 365일 온습도 조절 기계를 돌리는 조건과 비교를 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

백 번 양보하여 전실이 없었다는 자료로 제시된 것들이 모두 저자의 주장대로 전실이 없었음을 충분히 입증하지 못한다고 해도, 그것이 전실 존재를 입증하는 자료는 아니다.

책 속에서 문장들을 인용해 가며 찬찬히 논평해 보겠다.

 

1부 햇살신화

 

* 1부의 전체적인 주장에서는 별달리 반론할 내용이 없다. 기존 권위자들의 학설을 냉정하게 비판하는 자세는 아주 바람직한 태도이다. (이 뒷부분의 문장은 저자와 대화를 통해 오해임이 밝혀졌으므로 삭제합니다. 2015.2.24.) 다만 글쓴이가 전개하는 주장의 기본 아이디어가 근래에 강희정이 발표한 몇몇 석굴암 재발견연구에 힘입고 있음을 전혀 밝히지 않고 있다. 책의 말미에서 잠깐 소개할 뿐이다. 물론 이 경우도 강희정 연구의 내용과 이 책에 끼친 영향에 대한 언급은 없다.

 

중요한 것은 바로 이 토함산이 뜻밖에도 월함산月含山’, 혹은 함월산含月山으로도 불렸다는 사실이다. ‘이 이름 속으로 직접 들어온 것이다. 지난 1966년에 발생한 도굴 사건 때 석가탑의 사리함에서 무구정광대다라니경과 함께 한 덩어리의 종이뭉치가 수습된다. / 묵서지편으로 불리는 것으로 최근에야 해독이 이루어져 고려초 1036년과 1037년의 잇단 지진으로 붕괴 위험에 처한 석가탑을 정종靖宗4(1038)에 중수하면서 넣은 사실이 밝혀졌다.

바로 이 묵서지편에 토함산이 월함산으로 나타나 있다. 삼국유사보다 243년이나 앞서는 고려 초의 사료에서 토함산을 월함산으로 칭한 것이다. 다만 월함산 하나만을 사용했는지, 토함산도 병용했는지의 여부는 불투명하나, 어느 쪽이든 예전 사람들이 토함산을 태양이 아니라 달과 연관 지어 생각했다는 자료로서는 손색이 없다.

이뿐만 아니라, 근대기에 발행된 관광 집인첩역시 주목할 만하다.

일제강점기에는 관광지나 유적지를 다니면서 도장을 받아 책자처럼 묶은 집인첩이 유행했는데, 대정大正, 1911~1925 연간의 것으로 추정되는 스탬프 첩에 함월산 석굴암 含月山 石窟庵이라는 인흔이 남은 것이다. 20세기 전반기에, 그것도 석굴암 당국에서 관광객에게 찍어주는 도장에 토함산 석굴암이 아닌 함월산 석굴암으로 새긴 것이다. (28-29)

 

신라인이 동해의 아침 햇살을 특별히 숭앙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30)

 

결론을 짓자면, 신라 때부터 구한말까지 이 땅의 옛 분들이 석굴암과 동해의 아침 태양을 묶어 생각했다는 단서는 전무하다. 어느 시대, 어느 누구도 석굴암 본존불과 동해의 아침 햇살이 하나라는 인식은 갖고 있지 않았다. 햇살 신화라는 것은 처음부터 실체 없는 마야, 혹은 나뭇가지의 그림자였던 것이다. (33)

 

저들(일본인들)의 글에서 놓쳐서는 안 되는 공통점이 있다. 저들의 눈앞에서 넘실거리는 바다는 조선의 동해가 아니라 일본해라는 것. 그 너머에 있는 / 나라는 해 돋는 나라’, 일본이라는 것이다. 글을 쓴 이들은 자신의 나라 쪽에서, 또 자기네 바다를 박차고 솟아오르는 태양을 보고 감격에 사로잡혔던 것이다. (44-45)

 

(대정 14(1925) 판 보통학교 국어독본에 실린 기행문 석굴암의 전문) 48-49

이 짧은 기행문의 요점은 본존불을 포함해 석실 내의 조각상들에 일본해의 아침 햇살이 비추면서 신비감이 도드라진다는 것이다. 마치 신라인이 일본해에서 떠오르는 야마토의 태양을 영접하기 위해 석굴암을 세운 듯한 뉘앙스마저 풍기는데, 식민지 조선의 아이들은 위 글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에 잠겼을까. 우리의 동해가 아닌 저들의 일본해에서 떠오른 태양빛이 본존불을 비치는 정경을 상상하면서 석굴암을 구해준 총독부, 혹은 천황폐하의 은덕에 감격해했을지 모른다. (야나기 무네요시의) 개인적인 감상에 불과하던 이야기가 하나의 이데올로기로 정착되면서 기억의 집단화 현상이 일어날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이렇듯이 동해 일출을 석굴암 본존불에 결부시키는 논리는 일제강점기에 구축된다. 그 이야기는 일본의 유난한 태양신앙, 곧 아마테라스 오미가미 신앙을 산실로 태어난 식민사관이었던 것이다. (49)

 

(동짓날) 꼭두새벽부터 일출을 보겠다고 엄동설한 추위를 무릅쓰고 산에 오르는 사람이 얼마나 있었을지 의문스럽다. 다른 계절, 다른 날이면 몰라도 설날새벽에 산행을 감행하는 이는 거의 없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잘 알려진 의유당관북유람일기意幽堂關北遊覽日記중의 동명일기東溟日記도 음력 918일의 일출 장면을 서술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가 다시 주목해야 할 것은 해맞이가 아닌 달맞이 민속이다.

(중략)

토함산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1960~1970년대만 해도 대보름이면 인근 마을 사람들이 삼삼오오 토함산을 올라 달마중을 하고, 석굴암 부처님께 절을 올리곤 했다. 지금도 달구경을 하고, 그 달빛을 등에 업고 험준한 돌길을 내려오던 어릴 적 추억을 간직한 이들이 많다. (55)

 

정리하자. 학창 시절 수학여행에서 꼭두새벽에 졸린 눈을 비비며 어둠에 덮인 토함산을 오르던 습속은 일제강점기의 산물이다. 근대 이전에는 그 비슷한 풍속조차 없었다. 저들은 일본해에서 솟구치는 야마토의 태양/을 영접하도록, 아침 햇살이 석굴암 본존불을 비추는 정경을 과장되게 묘사해 조선인을 유인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햇살 이야기는 남천우의 동짓날 일출 문제를 분수령으로 학문의 영역으로 진입한다. 마치 학술적인 검증이 끝난 듯한 분위기 속에 우리 민족의 판타지로 굳건하게 자리를 잡은 것이다. (56-57)

 

강우방의 논리는 간명했다. 실존 붓다가 새벽에 동녘을 향해 앉아 정각/을 깨우쳤다는 사실을 근거로, 신라인이 본존불을 동향으로 앉힌 것은, 곧 인간의 태양인 붓다가 자연의 태양과 일체화되는 순간을 재현하려는 의도였다는 것이다.

(강우방 글 인용)

요컨대 동해의 아침 태양이 아니면 석굴암의 의미는 완성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남천우에 의해 학술적 의미를 갖게 된 일제의 일출 담론은 강우방에 의해 종교적 신성의 옷까지 걸치게 된 셈이다. (62-63)

 

(남천우의) 광창설은 의심할 바 없는 사실fact’이자 진실true’로 통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광창이 환풍 기능까지 겸했다면서 생명의 호흡공呼吸孔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성규 글 인용)

탁상공론에 해당하는 지나친 미화이자 왜곡이다.

거듭 말하건대 신라인은 광창이라는 걸 상상조차 한 바 없다. 비현실적/인 주장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이, 곧 광창설이다. (77-78)

 

(홍예석 의심론, 중각석굴론 등 비판 후)

정리하자. 수십 년 동안의 논쟁을 거쳐 우리 연구자들이 도달한 석굴암의 완성태는 중각석굴이며, 그것의 이념적 뿌리는 야마토의 태양이다. 중각석굴은 광창에서 나오고, 광창은 일본해의 아침 햇살 이야기가 모태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석굴암에 관한 한, 우리는 아직 식민 상태 그대로이다. 해방 70/년이 다가오는 이 시점까지 여전히 저들의 시각, 저들의 이데올로기를 통해 석굴암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이다. 누구라 할 것 없이 모두가 일제를 비판하지만 정작 일제의 식민담론을 찬양하는 자가당착에 빠져 있는 것이 오늘의 우리 모습이다. 이야말로 석굴암의 비극이요, 한국 미술사학의 비극이라고 할 것이다. (102-103)

 

 

2부 석굴암의 20세기

 

(일본인들이) 마치 자신을 예루살렘을 탈환한 십자군으로, 경주를 예루살렘으로 인식한 것이다.

바로 그 경주에 뜻밖에도 처음 보는 인공의 석굴사원, 곧 석굴암이 있었다. 자신들의 영광을 과시하는 데 있어 더없이 훌륭한 호재를 발견한 것이다. 조선 병탄의 기념비로서 석굴암을 능가하는 것은 있을 수 없었던 것이다. (122)

 

* 앞서 밝혔듯이 1부의 햇살 신화론이나 위 부분의 아이디어는 결국 강희정이 90년대 말부터 2007년부터 이어 온 석굴암 재발견관련 몇몇 연구에 커다란 바탕을 둔 것이다. (이 뒷부분의 문장은 저자와 대화를 통해 오해임이 밝혀졌으므로 삭제합니다. 2015.2.24.)  그런데 저자가 그렇게도 비판하고 있는 기존 학계의 일원으로 볼 수 있는 강희정의 연구는 왜 본문에서 단 한 번도 다루지 않고 말미(거두는 글, 386)에만 제목 포함 단 3줄로 짧게 언급하는가. 학계에 자기가 영감을 받은 연구가 있다는 건 은근히 감추고 자신이 반대하는 연구(특히 그 연구의 공과 중에서도 과)만 제시하면서 미술사학의 비극이나 누추함같은 자극적인 용어로 싸잡아서 폄하하는 건 공정하고 올바른 태도가 아니다.

 

총독부 공사에서 좀처럼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가 있다. 전실공간을 노천 상태로 열어둔 점이다. ‘의 기본이 지붕이라고 할 때, 이러한 조치는 어떤 말로도 설명이 안 되는 일이었다.

(중략)

더욱 석연찮은 점은 공사 이전에는 누구나 보호시설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138-139)

 

(원래의 공사 시방서에도 옥개를 만든다는 내용 있었다는 점을 지적 후)

그렇다면 거금을 들여 일으킨 공사에서 필수적인 보호시설, 그것도 설계 원안의 결정사항을 배척했다면, 필시 그럴 만한 배경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무엇인지는 저들이 관련 자료를 남기지 않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어떤 추론도 예단이 될 우려가 높은데, 그런 가운데 한 가지 떠오르는 게 다름 아닌 일출 담론이다.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저들은 일본해에서 떠오르는 야마토의 태양을 맞이하기 위해 칠흑 같은 험로를 올랐고, 찬란한 야마토의 태양을 바라보면서 제국의 영광에 사로잡혔다. 어쩌면 햇살이 석실 내로 파고드는 장면에서 아마테라스 오미가미가 석굴암을 점령하는 듯한 환영을 보았는지도 알 수 없다.

그런데 전실공간에 보호시설을 세우면 그 같은 장면이 불가능해진다. 그 장면을 계속 보기 위해서는 어떤 것도 앞을 가려서는 안되는 상황인/ 셈이다. 때문에 혹여 일본해의 첫 햇살을 받아들이려는 의도에서 전각 설립을 무산시킨 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거둘 수 없다. 물론 이와 같은 접근 자체가 강박증일 수도 있고, 또한 직접적인 자료가 있는 것도 아니다. (140-141)

* 이 뒤에도 1970년대 일본인 건축학자 후지시마 가이지로가 쓴 글에서 햇살이 가려진 전실을 못마땅하게 표현한 점을 들어 일본인들이 태양이 석굴암을 삼키는 광경에 집착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고 하였다. 근거가 없는 이야기이며 저자 스스로 말하듯이 강박증 맞는 거 같다. 전혀 학술적인 글이 아니라 소설이다. 학술적 글쓰기는 개연성만으로는 완성할 수 없고 근거를 가지고 완성되어야 한다.

 

일본 황족과 군부 요인, 지식인들은 관부연락선을 타고 현해탄을 건넜다. 부산항에 도착하면 열차에 몸을 싣고 경주역이나 불국사역에 내려서는 불국사를 둘러본 후 토함산에 오르기 바빴다. 저들은 멀리 굽이치는 일본해를 바라보면서 감회에 젖다가는 허리에 찬 닛뽄도를 철럭거리며 흙모래 범벅인 구둣발로 법당 안팎을 활보했다. 정복자의 쾌감을 만끽한 것이다. (145)

* 소설에나 어울리는 상황 묘사 글인데, 이런 게 왜 나오는지 모르겠다. 이건 사실도 아니고 의견도 아니며 그저 추정에 따른 묘사일 뿐이다.

 

또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관광단이 조직되고, 조선과 일본 구별 없이 각 학교의 수학여행에서 석굴암은 필수코스로 자리를 잡았다. 이들은 수십 명, 수백 명씩 무리지어 석실법당에 들어가서는 본존불 어깨에 무동을 타거나 곳곳에 낙서를 남겼다. 석실법당은 흙모래 먼지와 소란에 뒤덮여 평온한 날이 드물었다.

성전으로서의 영혼을 빼앗긴 박제품.

석굴암은 신기한 고대유적이자 관광객의 추억을 위한 기념사진의 배경으로 그 성격이 굴절되어 갔다. 그것은 창경궁에다 동물원을 차려놓고 호객을 하는 것과 다르지 않았다. (147)

 

총독부의 공사 이후 석굴암은 온갖 악조건과 힘겨운 싸움을 계속해야 했다.

장마철에는 법당 바닥이 물바다로 변하는가 하면, 봉토층을 파고든 빗줄기는 시멘트 두겁을 통과해 밖에서 날아든 분진과 뒤엉켜 돔 천정의 면석이나 주벽 벽면을 타고 흘러내렸다. 특히 동절기에는 봉토 위의 적설이 녹아 역시 안으로 스며들었고,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 쉽게 결빙되었다. 더욱이 수분은 시멘트 고유의 독성을 용해시켜 생석회수로 변했는데, 19131차 공사의 책임자들은 생석회수가 돌의 세포분자를 파괴한다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다.

결국 주실 돔 천정부터 이끼와 곰팡이가 피어나고, 감실이며 주벽의 조/각상은 항상 물기에 축축했다. 자비의 화신인 십일면관음보살은 흉악하게 변해갔으며, 본존불도 마치 연탄가루를 덮어쓴 듯한 시커먼 얼굴로 참배객을 맞았다.

석굴암을 구해냈다고 자부하던 총독부는 19176월부터 7월까지 응급처방에 나서야 했다. 1920년부터 1923년까지는 시멘트 두겁에 모르타르를 바르는 등 보강공사를 행한다. 하지만 전각이 전제되지 않은 어떤 임시 조처도 임시변통에 불과했다. (147-148)

* 게다가 불자에 의한 관리도 거의 없었을 것이다. 관리 문제, 지나친 관람객들, 생석회수 문제 등에 의해 일제 보수공사 이후 급격한 전실 조각상 훼손이 진행된 건 아닌지.

 

그중에서도 눈비에 직접 노출된 전실 조각상의 상황은 최악이었다. 경중의 차이는 있지만 모두 풍화를 면치 못했는데, 우측 세 번째 야차상의 경우는 마치 천형을 치른 듯 윤곽도 알아볼 수 없을 정도였다. 총독부 공사 전에는 코끝이 탈락한 것 말고는 세세한 문양까지 살아 있었으나 1960년대 초반에 이르면 가슴의 두 손과 허리의 요대, 각반, 발 등이 깎이고 뭉그러져 철저하게 훼손되고 만다. 1,200년 동안 멀쩡하던 것이 단 50년 만에 망실 지경에 이른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고작 일제가 남기고 간 증기보일러를 돌리는 것 외에는 다른 수단이 없었다. (154)

* 일제에 의해 엄청나게 몰려든 관광객의 영향을 감안하지 않은 채 단순히 짧은 시간 동안 많은 훼손이 되었다는 서술은 마치 모든 문제가 (저자가 반대하는 전실 개방형) 구조에서 나오는 것으로 관점을 유도하려는 시도이다.

 

두 신중상의 전개는 전실과 주실 사이의 수리 관계를 새롭게 해석해 일그러졌던 전실의 평면 구성을 바로잡은 일이었다. 신라인이 추구한 석굴암의 미학 원리를 재발견한 것이라고 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러나 이 모든 긍정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그 과정에 곡절이 적지 않았다. 두 상을 펼쳐야 한다는 황수영과는 달리, 김중업과 김원룡 두 공동위원은 일제 때의 상태가 옳다는 쪽이었다. 두 위원은 증거가 불충분하다면서 어떠한 변형도 불가하다는 의사를 굽히지 않았고, 황수영은 절곡 상태가 비정상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162)

* 첫 문단은 도무지 이해를 할 수가 없다. 전실과 주실 사이의 수리 관계? 이런 게 과연 있었는가. 다 훗날 만들어낸 거 아닌가? 새롭게 해석? ‘해석으로 문화재 보수나 복원(復原)이 가능한가? ‘해석으로 복원했다면서 전실의 평면을 바로잡았다는 말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김중업과 김원룡이 일제 때의 상태가 옳다는 쪽이었다는 게 일제가 복원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나마 보수공사 이전의 상태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그걸 일제 때라는 말을 붙여서 고의로 반감을 유도하고 있다.

 

석굴암의 원형이 있다면 그것은 창건 시점의 석굴암뿐이다. 구한말의 석굴암은 원형을 찾아가는 디딤돌일 뿐이며, 오늘의 우리에게는 그때의 석굴암을 통해 신라인의 미학과 세계관을 추적하는 숭고한 과제가 주어져 있을 뿐이다. (178)

* 그런데 그 원형을 우리는 모르지 않나?

 

이렇게 보면 개방구조라는 것은 조선총독부의 1차 공사 때 콘크리트 옥개 시공을 무산시키면서 처음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 연구자들이 그리도 예찬해온 개방구조는 제국 일본의 선물이었던 것이다. 그것도 일출 담론과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특별한 선물이었다.

매듭을 짓자면 1,300년 석굴암 역사에서 개방구조였던 때는 총독부의 1차 공사 이래 1960년대 복원공사 때까지의 단 50년에 지나지 않는다. 그 기간을 제외하면 창건 이래 석굴암이 노천 상태였던 적은 단 일순도 없었다고 확언할 수 있다. (186)

* ‘확언한다는 말을 이렇게 쉽게 하나? 왜 이렇게 확신에 가득 차 있는지 모르겠다. 자기 의견을 뒷받침한다는 자료들은 간접 자료가 대부분이고, 반대 의견을 뒷받침하는 자료들은 죄다 오독이라고 한다. 햇빛에 개방되면 무조건 일출 담론이다? 난 모르겠다. 모르겠으면 그냥 모른다고 해야지 모든 걸 혼자만 아는 듯 현상을 멋대로 재단하고 해석한다면 거기에서 건전한 토론을 이끌어낼 수 없다.

 

(산중일기중 팔부중상 부분 양변불상각사오’) 요컨대 각 너덧은 좌우가 다르게 한쪽은 4, 다른 한쪽은 5상이 아니라 양쪽에 똑같이 너덧상이 있다는 뜻이다.

(중략)

단언컨대 아수라는 정시한이 방문한 1688년 시점에 아무 무탈 없이 제/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210-211)

* ‘양변불상각사오의 오독(또는 정독) 문제와 별도로 이렇게(아수라상이 아무 무탈 없었다고) 말할 근거는 없다. 그렇지 않은가? 그런데 무슨 논거로 이처럼 단언을 한단 말인가. 남이 틀리면 자기는 다 맞은 건가? 남이 틀린 이유와 자기가 맞는 이유는 서로 다른 문제다. 아수라가 제자리에 없었다면 저자의 주장에 근본적인 문제가 생기므로 이렇게 우기는 것 같은데, 제발 자기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달라. 근거가 없으면 아무 말을 말자. 그게 지식인의 올바른 태도이다.

 

그러나 감상과 교육의 장으로 기능해야 하는 역사유산의 존재 의의를 생각할 때, 관람객 통제는 분명 풀어야 할 숙제 중 하나이다. 따라서 유리벽을 철거해야 한다면 그에 앞서 관람객을 제한하거나 아주 받지 않겠다는 뼈아픈 결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소수의 수행자가 머물면서 이따금 내방객을 맞던 그 옛날의 한적한 산중사찰로 돌아가는 것이다. (214)

* 일제 이후 50여 년간 석굴암이 훼손된 것도 개방되어서가 아니라 관람객 때문일 수도 있다.

 

석굴암의 판석 조각상은 모두 29상으로, 주실과 비도를 포함한 전실로 나누면 각각 15상과 14상으로 불일치를 보인다. 그러나 본존불과 똑같이 주실과 전실의 공통 존재인 십일면관음보살을 빼면 주실도 14, 전실도 14상으로 일치한다. 창건주 김대성은 처음부터 양쪽 공간의 조각상 숫자를 대등하게 설정한 것이다.

그런데 거기서 두 신중상이 빠지면 주실 대 전실의 주벽 조각상 숫자가 14:12로 바뀌면서 균형이 무너진다. 이러한 불균형은 결코 창건주가 바라는 바가 아닐 것이다. (217)

* 전실과 주실의 조각상 숫자가 대등하게 설정되었다는 추정의 근거는? 역시 없다. 무리한 추정이다. 그리고 전실의 조각상과 주실의 조각상 숫자의 불일치 때문에 균형이 무너진다는 건 편견이다. 숫자가 딱 맞아떨어져야 할 이유가 있나?

 

아울러 한 가지 더 지적할 사항이 있다. 알다시피 석굴암의 정원은 원래 40상이었다. 하지만 19094월 말경 조선통감부 소네 아라스케 부통감의 탐방이 있은 후 주실의 감실 중에서 제일 앞쪽 2상이 사라져 지금껏 38상이라는 온전치 못한 상태에 있다. 여기서 다시 두 신중상을 보류 내지 폐기하면 36상으로 또 줄어들게 된다. (217)

* 주실과 전실의 조각상 숫자가 일치해야 한다는 문단에 바로 이어서 이렇게 얘기하면 결국 자기 스스로 자기 논리를 부정하는 자가당착 아닌가? 40상이 맞다면 전실 조각상은 16, 주실 조각상은 14상으로 맞지 않으니까 어딘가 파묻혀 있을 2상이 더 발견되어야 한다고 우길 건가?

 

석굴암 앞에 겸손했다 (소제목, 236)

(중략)

결국 두 상을 전개할 때 최적의 비례를() 발생한다는 건축적 진실을 인지했고, 두 상을 펼칠 수 있었던 것이다. (237)

* 도대체 누가 뭘 인지했다는 얘긴가? 그리고 이것이 인지인지 해석인지 누가 판단하는가? 이런 게 과연 석굴암 앞에 겸손한 것인가?

 

 

3부 석굴암, 역사의 법정에 서다

 

* 석굴암을 법정에 세운다는 자극적인 제목에 걸맞게 3부에서는 많은 자료(증거)와 기존 학설에 대한 반론들(특히 전실 개방설에 대한 반론)이 제시되고 있다.

 

석굴암이 신라 당대로서는 최선의 합법칙을 적용시킨 인공 축조물이라면, 오늘날 석굴암의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계장치들 역시 이 시대의 과학을 최대한 선용한 것이다. (250)

* 이 시대의 과학을 이용한 것이라면 이것이 석굴암의 원형은 아니지 않은가.

 

하지만 진짜 재미있고, 중요하고, 무서운 사실은 과학 전공자들에게서 신기한(!) 주장이 나오면 앞뒤 가리지 않고 뒤를 쫓아가는 미술사 전공자들의 누추한 모습이다. (251)

* 안타깝다. 이런 비아냥은 역효과만 낳을 텐데...

 

(과학자들의 실험에서) 일차로 지적되어야 할 것은 실험이 예단에서 출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학계가 석굴암의 원형을 두고 밀폐형이냐, 개방형이냐로 양분되어 가치를 다투는 상황에서 열린 구조가 옳다는 전제를 깔고 실험에 임한 것이다. 두 연구자(이진기·송태호)는 중립적 입장을 취하지 않은 채, 개방형의 손을 들어주었던 것이다. (252)

* 전제가 어떻든 실험 결과 자체는 인정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리고 최소한의 전제가 없는 실험이란 게 가능한가? 실험 결과를 인정하지 못한다면 밀폐형이 옳다는 걸 증명하는 실험 결과를 제시하는 게 순서다.

 

* 석굴암의 샘물 위 축조설이 터무니없다는 저자의 주장(254-266)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수긍한다. 일시적으로 생기는 물줄기를 처리하기 위해 배수로를 만들었을 수는 있어도 이른바 대류작용을 의도하고 일부러 샘물을 법당 밑으로 흐르게 했을 거라고 보긴 힘들지 않나 싶다.

*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전실 전각이 있었다는 근거가 되지는 못한다. 전각이 있어서 습기가 차단된다는 하는 저자의 주장은 근본적으로 큰 오류가 있는데, 현재의 전각은 전각+항온항습기’가 정확한 표현이다. 전각만으로 습기를 차단하는 게 아니라 기계의 힘으로 습기를 제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저자가 제시한 19985월부터 200212월까지 석굴암과 주변의 월평균 습도 변화 도표(279)는 전실 존재의 유무에 대해 아무런 말도 하지 않는다.

 

* 불국사화엄사사적흙과 나무를 사용하지 않고석굴암을 지었다고 한 것이나 임필대의 강와집대들보 없는 집의 형식이라고 서술한 바를 두고도 그저 석실 본체에 해당하는 진술 또는 주실 돔 천정의 특이한 모습을 전달하려는 것이고 전각이 없다는 것을 말하려는 게 아니라고 하는데(287-288), 설령 그렇더라도 이 글들이 전각이 있었다는 것을 말한 것도 아니다. 해동지도영남전도에 보이는 말굽 모양의 석굴암 표기도 주실 지붕을 略畵로 처리한 것으로 봐야한다고 주장하는데, 이것도 그렇다고 친대도 전실 밀폐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들은 아니다.

그냥 기존의 해석들은 무조건 다 틀렸다고 하는데, 선학들의 연구가 전실의 일부만 개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지 원형 주실까지 노출되었다고 본 것은 아니다. 전실 전각 철거론은 원형돔 철거론이 아닌데, 마치 선학들이 원형돔(지붕)까지 철거하자고 주장하는 것처럼 매도하고 있다. ‘針小棒大의 적절한 예가 아닌가 싶다.

 

1960년대 공사에서 진입로의 시멘트 옹벽을 철거하고 금시조와 아수라 두 신중상을 펼친 것은 전각 복원에 버금가는 쾌거였다. 그 의의는 단지 두 상의 원 위치를 찾아주고 석실법당의 잘못된 구조를 바로잡은 정도에 그치지 않는다. 김대성의 통일적 세계관을 되살려냈을 뿐 아니라 식민잔재의 청산이라는 대의를 완벽하게 실천했기 때문이다. 감히 말하자면 우리 불행한 근대사의 굽은부분을 우리 손으로 곧게펼친 상징적 사건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다. (315)

* 이 부분은 牽强附會의 적절한 예가 아닌가 싶다.

 

석굴암에서는 동일한 위계의 조각상들은 나란히 대열을 이룬 채 정확히 이분해 서로를 마주보도록 배치하는 게 일종의 철칙이다. (327)

* 김대성이 작성한 석굴암 설계도와 시방서라도 입수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어떻게 이런 말을 할 수가 있는지 모르겠다. 그렇게 나란한 대열을 이룬다는 게 잘못되었다는 얘기가 아니라 그런 조각상 배치의 근거가 없다는 말이다.

* 석굴암의 평면을 해석한 많은 도면들이 있다. (팔부중상 면석의) 절곡형(24당척)을 전제로 한 도면도 있고, 전개형(12당척)을 전제로 한 도면도 있다. 이래도 조화로운 비례, 저래도 조화로운 비례라면 결국 석굴암 기하학이란 결과론일 뿐인 게 아닌가? 절곡형일 경우 12당척으로 전실과 주실을 분할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하지만(334) 12당척으로 분할되어야 하는 이유라도 있는가? 애초부터 김대성이 전개형 석굴암 평면구조를 계획하였고,

 

절곡설은 김대성의 불교적 세계관에 배치될 뿐 아니라 일제 때의 왜곡된 법당에 찬탄을 보내는 반역사적인 관점이다. (334)

 

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과연 김대성의 불교적 세계관이라는 게 있었는가? 있었다면 그게 무엇이고 또 석굴암에는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궁금하다.

 

후대 중창설의 또 다른 근거인 팔부신중의 조악성 문제도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할 수 있다. 꼭 조악하다고 볼 수도 없는 문제지만, 설령 조악하다고 하더라도 그 조악성자체가 창건주 김대성에 의해 처음부터 의도된 작풍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이전 글에서 세밀하게 다룬 바 있거니와, 요컨대 전체 조각상을 놓고 보면 점진적인 변화의 양상이 확연히 드러난다. 쉬운 예로 각 조/각상들의 발, 각반, 소매, 복색, 자세 등에서 순차적인 진화의 흐름이 일관되게 관찰된다. 또 처음에는 직선 위주의 경직된 도상이 얕은 부조로 처리되고 있지만, 갈수록 곡선이 강조되면서 고부조로 처리해 입체감을 얻어 간다. 곧 전실에서는 불완전한 모습으로 출발한 후 비도를 거쳐 주실로 넘어가면서 완전한 모습으로 차근차근 변모해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양상을 우연으로 돌릴 수는 없다. 처음부터 주도면밀한 기획이 서 있지 않고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야말로 우비고뇌에 끄달리며 자신의 참모습을 모르던 사바중생이 붓다의 가르침을 등불로 삼아 서서히 자신의 진아를 깨우쳐 나아가는, 깨달음의 세계로의 도정을 형상화한 것일 수 있다. (346-347)

* 너무 편리하고 자의적인 해석이다. 저자가 말하는 형식의 변화는 결국 양식의 차이이고, 양식의 차이는 시대의 차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아수라와 가루라상이 조악하지 않다고 보는 것은 개인적 취향이지만 최소한 같은 사람이 조각한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사람이 조각했다고 한다면 이들을 같은 위치에 배치하도록 조성자(건축주인 김대성)가 그냥 두었을 리가 없다. 상들의 종교적·상징적 위계에 따라 직선적이고 평면적인 양식에서 곡선적이고 입체적인 양식으로 변화를 주는 예는 없다. 저자가 또 다른 예로 드는 주실의 감실 속 유마거사상은(성낙주, 석굴암, 그 이념과 미학(개마고원 1999), 89쪽에서 조악한 것으로 치자면, 주실 안의 감실을 차지하고 있는 유마상이 제일 심하다고 했다) 형식적으로 조악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형태를 생략한 것이다. 유마상에는 의도된 생략이 분명히 존재하지만, 조형성은 다른 감실상들과 일치한다. 아예 양식적으로 서로 다른 팔부중상과는 견줄 수가 없다는 말이다.

석굴암 팔부중상의 양식이 바깥에서 안쪽으로 점진적으로 변한다는 것도 동의하기 힘들다. 주실 쪽으로 향하여 오른쪽 면의 가장 안쪽에 위치한 天神상은 그 오른쪽의 야차상보다 직선적이고 평면적이므로 저자의 기준으로 본다면 두 상의 위치는 서로 바뀌어야 한다.

 

(강우방의 팔부중 후대 제작설을 반박하며) 그런데 일차적으로 팔부신중과 전각은 전혀 별개의 문제이다. 팔부신중이 없던 시절에도 법당은 세워졌고, 그 안에서 신앙 활동이 행해졌다. 곧 팔부신중이든 인왕이든 조각상의 유무와 상관없이 전각은 건찰 불사의 핵심 요목에 해당한다. 팔부신중이 없다고 해서 김대성이 성전에 지붕을 덮지 않았다는 것은 도저히 상상이 안 된다. (350)

* 여태까지 팔부중상과 전각을 연관시켜 설명해 놓고 전혀 별개의 문제라니? 팔부중상은 석굴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面石에 조각된 상들이다. 따라서 이들은 결국 석굴암 구조의 문제와도 직결됨이 자명한데 어떻게 별개의 문제가 되나? 전실의 벽면을 이루고 있는 여덟 개의 면석이 없다면 그 벽도 없는 것이고, 벽이 없으면 전실 공간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다.

 

* 간송미술관의 최완수 실장이 범천·제석 천신과 보현·문수 보살의 좌우가 바뀌었다고 주장한 내용을 비판한 것에는 전적으로 동의한다(356-359). 

 

그에 따르면 불국토의 수호자로서 마땅히 밖을 경계해야 할 존재들이 안쪽으로 돌아서 있고, 시선 역시 안쪽을 바라보는 것은 상식에서 벗어난 일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는 구한말에 그렇게 되었다는 입장을 취한다. (356)

 

* 저자도 지적하듯이 우리 조상은 그렇게까지 못나지 않았다석굴암의 모든 부조상들이 불국토를 수호하는 신상으로 단정하는 선입견은 아마도 호국불교 헤게모니에서 비롯된 것 같은데, 도대체 면석에 신상을 조각해서 무언가를 수호하는 게 가능하기나 한가 모르겠다. 무엇으로부터 무엇을 그렇게 수호하자는 건지 걸핏하면 호법신 아니면 수호신이란다.

모르는 걸 그냥 모른다고 용감하게 말하는 학자는 내가 아는 범위에서는 거의 없는 것 같다. 엘리트들은 이게 한계다. 마치 자기가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듯이 말하는 태도.

 

 

* 저자의 20년 석굴암 연구는 관련 전공자의 한 사람으로서 진심으로 존중한다. 하지만 왜 이렇게 말할 수 없는 것까지 굳이 말해야만 했는지 궁금할 뿐이다. 나 역시 평생에 단 한 권만이라도 책을 쓰고 싶은 사람이지만 이렇게는 아닐 것 같다.

* 현상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만의 틀을 정해놓고 거기에다 현상을 끌어 맞추는 태도는 저자가 줄곧 비판하는 바가 아니던가.

* 문화재 보존에서 구조와 기능적인 측면과 하드웨어가 중요하긴 하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보존하려는 의지와 인력이 더 중요하다는 말이다. 전실(원형 주실 말고)이 일부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었다고 해도 절에 상주하는 승려나 신자들이 날마다 청소하고 관리했다면 보존이 불가능하지 않다. 다들 알다시피 오늘날에도 절에 가면 매일 쓸고 닦는다.

사람의 힘은 때론 구조 이상의 역할을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꼬부기T 2015-02-13 14: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연히 이 서평을 읽게 됐습니다. 꼿꼿하고 당당하면서도 예의를 잃지 않으셨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2015-02-13 20: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Flipped (Paperback, 미국판) - 영화 '플립' 원작 소설
Van Draanen, Wendelin / Ember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자 아이의 이야기와 여자 아이의 이야기가 교차되는 구조인데, 단순하고 말초적인 밀땅이나 묘사되는 로맨스는 아니었다.

줄리아나는 브라이스를 처음 만난 순간 그 파란 눈에 홀딱 반한다. 하지만 브라이스에게 줄리는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다.

그런 브라이스에게 줄리가 남달리 보이기 시작한 것은 외할아버지 덕분이다.

외할아버지는 브라이스에게 플라타너스 나무를 지키기 위해 나무 위에서 버텼던 줄리의 기사를 건네주면서 편견없이 한 번 읽어보라고 한다. 기사에서 줄리는 이런 말을 했다.

"To be held above the earth and brushed by the wind," "it's like your heart has been kissed by beauty." (98)

 

이 신문기사를 나중에 꺼내어 읽으면서 브라이스는 줄리의 다른 면을 깨닫는다.

그리고 점점 줄리에게 끌리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 것이다.

플라타너스 나무 꼭대기에서 먼곳을 바라보는 줄리의 모습은 이제 더 이상 브라이스에겐 그 전에 알던 줄리가 아니었다.

그것은 브라이스가 나무 위 줄리 사진을 꿰뚫고 본 '푼크툼'이겠지. 그리고 그것은 줄리가 아빠가 그려준 플라타너스 나무 그림을 꿰뚫고 본 것과 같은 것이다. 줄리아빠는 줄리에게 말한다.

"Proper lighting is everything, Julianna." (34)

 

그리고 그림은 부분을 모두 합한 것 이상이라고 설명한다.

"A painting is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he would tell me, and then go on to explain how the cow by itself is just a cow, and the meadow by itself is just grass and flowers, and the sun peeking through the trees is just a beam of light, but put them all together and you're got magic. (34)

 

브라이스 외할아버지 쳇은 줄리에게 다른 이야기도 해준다. 

He wanted to know about the sycamore tree and seem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 meant when I told about the whole being greater than the sum of its parts. "It's that way with people, too," he said, "only with people it's sometimes that the whole is less than the sum of the parts." (110)

 

그렇다. 전체가 부분을 합한 것 이상일 수도 있고,

전체가 부분을 합한 것 이하일 수도 있는 것이다.

 

줄리와 브라이스는 딱 이런 아이들이었던 거다.

평범하지만 그 속에는 아름다운 내면을 가진 소녀와,

겉모습(부분)은 아름답지만 아직 부족한 점이 많은 소년.

그리고 마지막에는 이 둘은 이제 입장이 완전히 뒤바뀌게 된다.

 

브라이스는 줄리의 모든 것을 꿰뚫어 여자의 새로운 면을 보게 되었고,

줄리는 브라이스의 파란 눈빛을 넘어서서 냉정한 마음으로 남자를 평가하게 된다.

그렇게 그들은 서로 알게 모르게 큰 영향을 주고받은 것이다.

브라이스는 더 이상 예전의 브라이스가 아니었다.

 

외할아버지가 브라이스에게 이런 말을 한다.

"Some of us get dipped in flat, some in satin, some in gloss...." He turned to me.

"But every once in a while you find someone who's iridescent, and when you do, nothing will ever compare." (96)

"어떤 사람들은 집에, 어떤 사람들은 옷에, 어떤 사람은 겉치장에 몰두하지...." 할아버지는 고개를 돌려 나를 보았다.

"하지만 아주 드물게 무지개 빛깔을 내는 사람이 있단다. 그런 사람을 발견하면 세상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게 되지." (번역본, 128)

 

 

그밖에 밑줄 친 문장들.

 

Maybe it was all how you looked at it. Maybe there were things I saw as ugly that other people thought were beautiful. (142) - 줄리가 셸리 스톨이 하는 짓이나 외모를 디스하면서.

Mysery loves company. (173) - 브라이스가 '바구니 소년' 경매에 오르기 전 동료들을 바라보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취향입니다 존중해주시죠 - 제4회 중앙장편문학상 수상작
이수진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3년 4월
평점 :
품절


서점에서 보고 표지와 제목 글꼴이 독특해서 찍어뒀던 책인데 마침 도서관에 있길래 빌려 읽었다. 뒤표지 안쪽에는 취향존중스티커 15개도 있는데 대출했던 사람들이 모두 착했던지 아무도 스티커를 떼지 않았더라.

 

소개글에 보니까 ‘자진모리장단처럼 숨 가쁘게 휘몰아치는 익살맞은 문장’이라던데, 문장도 문장이지만 나오는 각종 루저들의 캐릭터와 이야기들이 매우 우의적이랄까, 뭔가 헛웃음도 나왔다가 한심하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동감도 되었다가 연민도 느껴졌다. 그런데 또 이 루저들이 벌인 일은 자못 통쾌하고 짜릿하다. 루저는 졸지에 영웅이 된다.

 

장면과 캐릭터들의 과거가 교차되면서 그들이 왜 ‘안티 버틀러’가 될 수밖에 없었는지 하나씩 하나씩 밝혀지는 게 마치 퍼즐조각을 맞추는 것 같았다.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비슷한 스타일로 천명관의 <고래>가 떠올랐다. 그저 킬링타임용 통속 소설은 아니고 나름 묵직한 메시지도 있다. 취향은 존중받아야 마땅하는 거, 내 취향을 남에게 강요하지 말라는 거. 여기서 ‘취향’은 또 다른 낱말들로도 바꿀 수 있겠지. 

 

 

책에서

 

* 김B가 한에게 ‘안티버틀러’를 소개하면서 하는 말.

“자신들이 고양이를 좋아하는 근거가, 그들이 고양이를 ‘이해’하기 때문이란 거죠. 그와 더불어 그들이 고양이와 ‘소통’하는 것이 자신들의 교감 능력이 뛰어나서라고 얘기합니다. 이것들이 무슨 얘기냐면, 고양이 비애호가들을 이해력과 교감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으로 본다는 얘기예요. 어딘가 모자란 사람 취급을 한다는 얘기죠. 단지 고양이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

(중략)

“무엇보다 그게 사실이라면, 그러니까 고양이 비애호가들이 실제로 이해력과 교감 능력이 떨어진다면, 버틀러들도 싫어할 이유가 없겠죠. 그러나 한 씨도 아시다시피, 그런 건 사람마다 다른 거잖아요. 무엇을 좋아하는 것과는 상관없이요. 그렇다면 우리는 여기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왜 그들이 인간 객체마다 본연히 다른 그것을, 고양이를 좋아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뭉뚱그려 비하하는지에 대해 말입니다.”

(중략)

“결론부터 말하면, 그들이 고양이 비애호가를 모자란 사람 취급을 하는 까닭은, 그게 그들 자신을 더욱 빛나게 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중략)

“그러나 얄팍한 수작이죠.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실제로 빛나는 사람이라면, 누군가를 폄하하고 깎아내리면서 자신의 반짝임을 주장할 필요가 없다고요. 보통 자신의 특별함을 간단히 추구하려는 사람일수록 상대방을 짓밟으려는 경향이 있어요. 그들이 바로 그렇습니다. 그들은 그런 방식으로 아주 간단히 특별함을 공고하게 해버리죠. 그렇지도 않으면서요.” (84-85)

 

 

* 안티 버틀러의 마지막 유튜브 동영상 대사 중에서

“저희는 ‘안티 버틀러’, 이 세상의 모든 버틀러에 반대합니다. 여기서 버틀러란, ‘집사’라는 의미로 일부 고양이 애호가를 지칭하는 데서 출발하였지만 그들만을 뜻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것은 자신의 취향에 근거해 타인을 차별 대상으로 보는 사람들, 자신의 취향을 숭배하기 때문에 타인의 취향을 낮잡아 보는 모든 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여러분, 취향이란 무엇일까요? 이 시대에 취향이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 지표로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무엇을 사랑하는지, 무엇에 매혹되어 있는지는 우리를 드러내는 하나의 방식입니다. 이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면 정체성을 드러내는 한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뿐일까요? 우리는 그 뒤에서 일종의 차별이 일어나고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할 것입니다.

여러분도 주변 애호가 중 배타적인 성향을 가진 이들을 만나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이른바 저희가 버틀러라고 부르는 이들이죠. 그들은 주로 소수의 무리였을 겁니다. 다수에 의해 이해받지 못하는 데 염증을 느끼고 공통의 취향을 가진 이들끼리 뭉치게 되었을 테니까요. 그게 그들이 배타적이 된 역사적 배경이었죠. 긍정적인 결과도 없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취향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다른 취향을 가진 이들보다 더 깊은 수준의 연구와 학습을 하는 경향을 보였으니까요. 그 과정에서 ‘너희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을 나는 알고 있다’는 자의식이 싹텄지만 문제될 것이 없어 보였습니다. 결코 긍정적이라고 볼 순 없었지만 그들이 소수인 이상 사회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은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버틀러들의 위험성이 두각을 드러낸 것은 그들이 다수가 되었을 경우의 일이었습니다.“ (325-326)

“이러한 연유로 저희는 장국태 의원의 당선을 저지하기 위한 뜻을 모았습니다. 그러나 저희의 궁극적 목적은 특정 취향에 지배되는 세상을 저지하는 것이었습니다. 모든 취향은 동일한 만큼의 가치를 지닙니다. 무언가를 좋아하고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우열이 가려질 수는 없습니다. 호불호가 외압에 의해 결정될 수 없는 것은 취향이란 것이 그만큼 순수하단 의미일 것입니다. 그러니 여러분, 자신의 취향이 소중하다면 타인의 취향 또한 소중함을 알아야 합니다. 법에 저촉되지 않는 한 모든 이의 취향은 존중되어야 합니다.” (3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