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stella.K > 정감있는 순수 우리말

 

 
 
   [출처 :우리말사랑누리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을 보고 쓴다.

심사가 비뚤어져 하는 짓이 험상하고 남의 일에 헤살을 잘 놓는 사람”을 “불땔꾼”이라 한단다. 불땔꾼이라, 굴뚝에 연기 나도록 불을 때는 이, 곧 남의 화를 북돋우는 사람이라는 뜻인 모양이다. 영어로 하자면 바로 트러블메이커(trouble-maker)가 아니겠는가.

트러블메이커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지 않으리라. 하지만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부정 비리 편법이 으레 관습이 되어 있는 걸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넘어가지 않고, 그것에 따지고 저항하는 사람들은 공연히 소란을 일으키는 불땔꾼 취급을 왕왕 받는다. “좋은 게 좋은 것”은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이다. 대체 누구에게 좋은 것이 무엇에 좋단 말인가? 하지만 나도, 바쁘다는 이유로, 귀찮아서, 나한테는 해당 안 되니까, 또는 나부터 살고 보자는 식으로, 그냥 넘어가고 묻어가곤 한다. 이래서야 어디...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05-30 12: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난집에 부채질하는 사람이군요^^

하이드 2005-05-30 1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할 말은 해야하고,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할 수 없지만, 때로는 의견을 내는것조차 말대답이나, 불복종이나, 버르장머리 없음으로 여겨지는게 너무 싫습니다. 어느정도의 융통성은 있어야하겠으나, '말'을 꺼낼 수 조차 없다면, 불땔꾼이 되고, 왕따가 되더라도 상황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그게 비록, 고작, '말을 꺼내는 것' 밖에 안 되더라도요.

릴케 현상 2005-05-30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을 꺼낼 수조차 없을 정도라면... 조용히 살아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_-

숨은아이 2005-05-30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님/ㅎㅎ
하이드님/멋져요. 말을 꺼내는 것, 그게 시작일 테니까요.
산책님/사실 말을 꺼낼 수조차 없는 경우는, 사람들 스스로 말 꺼내기를 포기하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것 아닐까요. 무력감에 사로잡혀 스스로 포기하는 것, 그게 제일 무서워요.

릴케 현상 2005-05-30 15: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서운 걸 어떡해 흙흙

어룸 2005-05-30 17: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무서운 걸 어떡해요~ 흙흙
암튼 '불땔꾼'이란 단어 맘에 들어요! 앞으론 '트러블메이커'란 말 안써야쥐~룰루루~^^

숨은아이 2005-05-30 19: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제가 몇 번 대들어본 경험으로 미루어 보건대, 그들도 우리를 무서워한다구요.
투풀님/ㅎㅎ 성공했당. d(^^)b

릴케 현상 2005-05-31 14: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몇 번 대들고 잘렸어용

숨은아이 2005-05-31 14: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잘하셨어요. (아니 이게 무슨 소리?) 음, 아픈 경험이 있으시군요. 그게, 대드는 데도 기술이 필요하더라구요. 전 면접 자리에서 대들었다가 짤렸죠... ㅎㅎ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을 보고 쓴다.

돈으로 벼슬을 산 사람을 “멍첨지”라고 한다. “돈만 있으면 개도 멍첨지”라는 속담에서 나온 말이다. 심하게 말하면 “돈으로 벼슬을 산 개 같은 놈”이란 뜻이다.

그런데 보리 따위 곡식을 주고 벼슬을 산 사람을 “보리동지”라고 한다. 동지(同知)가 무엇일까? 찾아보니 “동지중추부사”의 준말이다. 조선시대 중추부에 속한 종2품 벼슬이란다.

전에 보니 멍첨지 할 때의 첨지(첨지중추부사의 준말)도 중추부의 정3품 벼슬이랬는데, 왜 자꾸 중추부에 속한 벼슬 이름이 이런 말에 쓰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중추부를 찾아보았다.

중추-부(中樞府)
「명」『역』 조선 시대에, 현직(現職)이 없는 당상관들을 속하게 하여 대우하던 관아. 세조 12년(1466)에 중추원을 고친 것으로, 일정한 사무나 실권이 없었다.

으하하, 그러니 중추부에 속한 첨지니 동지니 다 명예직이었구나. 실권 없이 감투만 쓰는 벼슬이다. 그러니 돈 받고 팔아먹기 딱 좋은 관직이렷다. 대학에서 팔아먹는 "명예박사"와 비슷하달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05-05-30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음, 이건희가 멍첨지인 거죠?

릴케 현상 2005-05-30 1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명예박사라:)

숨은아이 2005-05-30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인님/사실 이건희의 경우, 본인이 돈으로 사려 했다기보담 대학 쪽에서 팔아먹으려고 안달이었단 느낌이 강하게 들기 땜에 멍첨지라 하기도... ^^a
산책님/그냥 그렇단 이야기죠. 사실 명예박사보담, 선거 때 각 정당에 돈 바치고 공천 받는 이들이 더 이쪽에 가깝죠.

릴케 현상 2005-05-30 15: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걔들은 실권이 있잖아요...

어룸 2005-05-30 17: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냥첨지, 찍첨지, 꿀첨지, 메첨지 등등으로 활용할수 있겠어요!! ^^

숨은아이 2005-05-30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아, 제 말은요, 예전에 첨지, 동지 같이 실권 없는 관직이 돈으로 팔아먹기 좋았겠다는 뜻이에요. 멍첨지가 꼭 실권 없는 사람만을 가리키진 않겠지요.
투풀님/오오, 정말 놀랍습니다! 맞아요!! >ㅂ<
 

지난주 제주도에 갔을 때 서귀포에서 다시 중문 쪽으로 오면서, 차창 밖으로 “서복전시관”이 있는 걸 보고 지나쳤다. 서복전시관이 뭐냐고 기사 아저씨께 여쭈니, 옛날 중국 사신인 서복이 제주에 왔다가 저 포구로 돌아갔단다.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오니까 최근에 저 전시관이 생겼다 한다. 그런데 오늘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을 읽는데, 서불(徐市)이란 사람 이야기가 나온다.

서불은 진시황이 불로초를 구하러 보낸 사자(使者)로서 우리나라에도 동정녀 500명을 거느리고 삼신산에 불로초를 구하러 왔다고 한다. 예로부터 동양의 이름난 약초들이 많이 나는 땅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인지라 유달리 진시황의 불로초에 얽힌 얘기가 많은데 그중 하나가 서귀포라는 지명에 대한 얘기다. 서귀포라는 지명은 서불이 제주도에 불로초를 구하러 왔다가 이곳에서 중국으로 돌아갔대서 ‘서불이 돌아간 포구’라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중략)
‘서불’의 한자 표기는 ‘서시’지만 읽을 때는 ‘서불’로 읽는다.

아하, 서귀포가 서(徐)불이 돌아간(歸 : 귀) 포구(浦)란 뜻이라고. ^^ 지금 서귀포는 한자로 西歸浦라고 쓴다.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지만 재미있다.

서복과 서불이 같은 사람인 모양인데, 서복이 맞나, 서불이 맞나? 엠파스 백과사전에서 찾아보니 이렇게 나온다.

서복 [徐福, ? ~ ?]

중국 진(秦)나라 도사. 서불(徐市)이라고도 한다. 제(齊)나라 출신으로, 제나라에 전해 내려오는 신선설(神仙說)을 퍼뜨려 진나라 시황제(始皇帝)의 환심을 사 거액의 원조를 받아 수천명의 동남·동녀를 이끌고 동해 가운데 있는 삼신산(蓬萊·方丈·瀛洲)으로 신선과 불로장생의 신약을 찾아 나섰다. 나중에는 바다신과도 싸운다고 하여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그는 바다 위에서 어떤 넓은 육지(일설에 亶洲라 함)를 발견하고, 그 지역의 왕이 되었다고 전한다.

삼신산 다음의 괄호 안에 ‘봉래·방장·영주’라고 한자로 쓰여 있는데, 영주는 제주도의 옛 이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chika 2005-05-27 13: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방폭포쪽 안갔어요? 대부분 거기서 '서귀포'의 유래를 얘기해주는데...
서귀항에서 문섬, 섶섬, 범섬을 보는 것도 예쁘고.... 천백도로를 지나치다 중간에 멈춰 바라보는 남쪽 바다도 이쁘고요.....(가고 싶다~ ^^;)

숨은아이 2005-05-27 15: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갔는데, 기사분이 따로 설명해주진 않으셔서... ^^ 서귀항도 예쁘더라구요. 바다와 강이 이어지는 목에 배들이 정박해 있는 게 참 예뻐서 사진 찍고 싶었는데 차로 지나는 길이라... ㅠ.ㅜ
 

서울대를 나온 주성태는... | 할 말은 하고 살자
2005.05.24

 

서울대를 욕하고자 함이 아니다..서울대를 비롯하여 어느 대학을 나와도 지극히 기본적인 것들에 대해서는 모르긴 마찬가지이기에..

학교를 벗어나면 대부분은 노동자가 될 수밖에 없다..그런데 노동자가 되거나 될 것이면서도 노동자로서 기본적인 권리에 대해서는 전혀 알지 못한다...

주성태를 예로 들어 보자...주성태는 신자유주의가 어떻고 하면서 자본주의 국제 질서의 폭압성을 제대로 짚어 내고 있지만, 그는 노동자가 된 친구 강호와 미옥을 위해서는 잘못된 지식을 전달해 주고 있다..미옥에 대한 해고가 부당하다는 것과 그 과정에서 주성태가 잘못 말한 것에 대해서는 이미 말한 바와 같으니 생략하기로 하자..

강호가 해고 통보서를 받는다..강호가 얼마 정도 엘케이에서 일했는지 알 수 없지만 만약 6개월 이상 근무하였다면 해고일로부터 30일 전에 해고예고 통보를 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30일분의 통상임금을 지급해야 한다..물론 엄청난 손해를 초래했다면 즉시 해고할 수도 있다..(엘케이의 이후 대처를 보니 엄청난 손해가 발생한 것인지 의문스럽다..별일 아닌 것이 분명한데 별일 아닌 것처럼 대충 넘어가니 이해하기 어려운 회사이기도 하다..)..아무튼 강호는 해고가 부당하다는 싸움은 애초부터 할 생각이 없다..그야 그의 자유이니까 뭐라 할 생각은 없다..

그건 그렇고, 얘기의 본론은 이거다.

주성태는 강호가 퇴직금을 받을 수 없다고 말하면서 사고 친 놈이니까 더욱 그렇다고 하고, 어쩌면 위약금까지 물어야 할 지 모른다고 말했다..

강호가 1년 이상 근무했다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다..퇴직금의 지급요건은 오로지 1년 이상 근무했는지 여부이다..따라서 퇴직의 사유가 무엇인지를 따지지 않는다..사고 치고 나가도 퇴직금은 지급되어야 한다..그러므로 주성태는 강호의 퇴직금에 대해서 "너 1년 이상 다녔냐 ?" 그것만을 확인했어야 했다..

퇴직금을 받게 될 노동자가 사고친 게 있어서 회사에 손해배상을 해야 하는 경우라도 그것은 그와 회사가 따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므로 사고쳤다고 해서 퇴직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으로 비칠 수 있는 주성태의 말은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잘못된 지식이라 하겠다..

한편 근로기준법은 "위약금"에 대해서 노동계약의 불이행을 전제로 한 위약금을 정하는 계약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다고 되어 있다..그런 계약은 당연 무효가 된다..어떤 손해가 발생할 것을 전제로 한 손해배상을 예정하는 계약도 무효다..물론 주성태가 위약금을 물어야 한다는 말은, 아마도 강호가 사고를 쳤으니까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는 말로 이해할 수도 있겠다..

주성태는 강호를 포함하여 여러 친구들에게는 서울대 출신으로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사람으로 설정되어 있는데(강호는 그 덕분에 면접을 통과하지 않았던가 !!), 그가 제공하는 지식과 정보는 나름대로 믿을 만하다고 믿고 따르는 친구들과의 관계에 비추어 볼 때, 그가 사용하는 단어나 표현, 의도는 정확해야만 해야 할 것이다..그가 괜히 서울대 출신으로 등장하는 것은 아닐 테니 말이다..

드라마는 드라마니 비현실적일 수밖에 없다는 것에 대해 딴지 걸 생각은 없지만, 그렇다고 해도 그 안에서 정확히 전달해야 할 것은 정확히 전달해야 할 게다..가뜩이나 노동자의 기본 권리에 대한 교육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이 땅의 현실이 안타까운 나는, 드라마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라도 정확한 지식을 전달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은 작가와 피디가 원망스럽다..그들도 노동자인데 말이다..

주성태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고 해서 드라마가 재미없어지지는 않은 텐데 말이다..

 "강호, 퇴직금은 사고 쳐도 받을 수는 있는데 너는 1년도 근무 안했으니까 퇴직금도 못받아..퇴직금은 1년 이상 근무해야 맞을 수 있는 거니까..(아니면, 강호, 퇴직금은 사고 쳐도 받을 수 있어..넌 1년 넘게 열심히 일했잖아..근로기준법대로 하면 말야..)..근데, 사고 치면 회사로부터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당할 지도 모르는데, 네가 친 게 아니니까 너무 걱정하지 말아. 힘내자 강호야, 아자~~~"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숨은아이 2005-05-26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라마 "신입사원" 이야깁니다. ㅎㅎ

딸기 2005-05-26 13: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

숨은아이 2005-05-26 1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딸기님 오랜만에 오셨네요. 추천 감사. ^^

chika 2005-05-26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주성태'가 누군가...했슴다!! ㅎㅎ

물만두 2005-05-26 1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치카 우린 정말 똑같군^^

호랑녀 2005-05-26 15: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목만 보고... 무슨 노동부 장관쯤 되는 사람 이름인가.. 했습니다 ㅋㅋ
몸서리치게 싫은 편견...ㅜㅜ

숨은아이 2005-05-26 16: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치카님, 만두님/홍... 에릭하고 한가인한테 관심이 없으시군요. ㅎㅎ
호랑녀님/저도 성태의 성이 "주"씨인 줄은 몰랐어요. ^^

아영엄마 2005-05-26 16: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주성태가 누군가 했어요. 따로 챙겨서 보지는 않는데 재방송할 때 그 장면을 본 기억이 나네요.

숨은아이 2005-05-26 16: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영엄마님/드라마에서 이왕 비정규직 이야기를 할 바에는 좀 정확히 해줬으면 좋겠는데 말이죠.

stella.K 2005-05-26 17: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저도 주성태가 누군가 했다는...^^

깍두기 2005-05-26 17: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 오늘 저보다 한술 더 뜨시네요^^

17711535


숨은아이 2005-05-26 17: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님/주성치랑 이름이 비슷하죠? ^^
깍두기님/로봇의 유령이 마을을 배회하나 봐요... 어흥~

릴케 현상 2005-05-26 1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또 숨은아이님 옆지기 얘긴가 했어요^^

숨은아이 2005-05-26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하하! 설마 제가 옆지기 이름을 떡하니 제목에 올려놀까요? 자기 얼굴 공개한 것도 불만이 많은데. 글구 이 사람은 저 학교 안 나왔습니다. ^^

릴케 현상 2005-05-26 21: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니 옆지기가 자기 친구얘기를 쓴 건 줄 알았다고요^^며칠 전에 댓글을 보며 옆지기 출신학교는 눈치챘어요~

숨은아이 2005-05-27 0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 산책님 너무 많은 걸 알고 계시는군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