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누구든지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초고령화 사회는 돈과 권력이 결국 모든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없는, 약자가 계속 살아가기 위한 사회를 설계하는 기회(chance)이기도 합니다. 사회를 변혁하는 힘은 언제나 젊은이들로부터 온다고 할 수 없습니다. 고령이라는 미지의 경험에 접어들어 그곳에서 다가오는 새로운 세계, 그리고 고령자가 스스로 열어가는 변혁의 실천에 나는 언제라도 가슴이 뜁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다섯 번째 편지-199쪽쪽

장애인 자립운동과의 만남만큼 나의 마음을 뒤흔든 것은 없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기 결정권을 뺏길 이유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 당사자 주권이라는 것은, "내 일은 내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내 일은 내가 결정한다"라는 권리를 말합니다. ‘자립’의 개념을 180도 바꾼 그들의 주장에, 저의 여성운동의 ‘자립’ 개념이 흔들렸습니다.
고령화 사회는 많든 적든 나이를 먹어감과 함께 장애를 경험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그때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사는 것’을 ‘자립’이라고 여겨 온 사람들은 후에 뼈아픈 보복을 맛볼 것입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45쪽쪽

‘양육’ 유대, ‘보살핌’ 유대는 혈연이 아니어도 좋고 가족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좋다. 친밀한 관계는 가족이건 아니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친밀한 관계와 의존을 분리시키면 좋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 -247쪽쪽

보살핌의 유대는 쇠퇴해 가는 자신을 받아들이고 편안하게 늙어가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시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거기에서는 상호의존이 창피한 일이 아니고 위안과 즐거움이 되는 사람과 사람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당신은 압축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와 자본이 결탁해서 일으키는 변화의 속도에 뒤처져버리는 것은 아닐까 하고 한국인들은 두려워하고 있다고 썼었습니다. 그 속에서 ‘반자본주의 운동’이 일어나길 기대한다면 뜬금없는 몽상일까요? 고령화 사회 이야기를 (남자) 경영자 단체에서 할 때마다, 똑같은 패턴의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 참, 무섭군요"라고 그들은 두려운 기색을 보이며 그리곤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의지하게 되는 것은, 결국 돈이네요."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참, 남자라는 병은 죽을 때까지 고쳐지지 않아 하고 저는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대답합니다.
"돈만 지불한다고 반드시 질이 높은 서비스를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개호인 것입니다."
실버산업 사반세기의 교훈은 가격과 서비스 상품의 질이 연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서비스는 자신이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민의 손으로 사업체를 만들어 온 사람들의 신념이고 실천이었습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어차피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 철저한 자본의 흐름에 농락당하는 것이지요. 그 속에서 보는 것은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의 가치입니다.
아무튼, 청소년들이 새로운 모험에 뛰어들듯, 우리들도 포스트모던한 노후라는 모험을 향해 출항하기로 할까요?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50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때때로 "지금의 한국은 일본의 1980년대와 비슷하다"는 말을 듣습니다. 1980년대의 일본에서도 종종 미국의 여성학 연구자가 "지금의 일본은 꼭 1960년대의 미국과 비슷하군요"라고 말했습니다. 당신의 편지에서 구미나 일본의 학생운동의 세대적 경험은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대응한다고 쓰고 있지만, 실은 나는 그런 식으로 말하는 것을 신뢰하지 않습니다. 어느 사회든 글로벌한 동시대성 속에 놓여 있습니다. 어느 사회가 ‘개발도상’으로 보이는 것은 언젠가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서가 아니라, 선진국이 선진국이기 위해서 ‘저개발’의 상태에 멈추게 한 결과에 다름 아닙니다. 양자는 동시대의 양면을 살고 있습니다. 전자가 언젠가 후자처럼 되는 것이 아니고, 전자는 후자와 동시에 생겨나 그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입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네 번째 편지-157~158쪽쪽

내가 그간의 편지에서 ‘시차’를 강조한 것은 실은 문화적 상대주의적 시각을 무시해서라기보다 진화론적 시각을 강조해서입니다. 물론 이때의 진화는 ‘진보’를 말하지 않으며, 또한 ‘단선 진화’를 뜻하지도 않습니다. 내가 강조한 것은 복합적인 사회 진화의 양상, 특히 물적 조건에 기반을 둔 사회 분석의 차원이었습니다. 예를 들어 다수가 대학에 가는 것이 가능해진 경제적 조건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의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집안에 한 대의 텔레비전만 있는 경제 수준에서는 온 가족 성원들이 한데 모여서 드라마를 보게 되고, 그때 그들은 스토리를 중시하는 영상읽기를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각자 텔레비전을 갖게 된 상황에서 개별화된 관객은 스토리나 계몽주의적 메시지가 아니라 패션과 풍경과 음악 등 디테일을 ‘소비’하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내가 ‘시차’라는 개념으로 강조하려고 한 것은 바로 경제적 조건을 충분히 고려한 이러한 경제, 정치, 문화 간의 상동성을 중시하자는 뜻이었지요.
(중략)
내가 ‘시차’라는 개념 아래 부각시키려 한 것은 ‘동시대성’에 대한 인식을 전제로 한 ‘비동시성의 동시성’입니다. 이제는 ‘동시성’과 함께 ‘비동시성’이 강조되어야 할 때인데, 그때 우리는 국가 간의 비동시성만이 아니라 국가 내에 존재하는 비동시성을 주목해야 할 것이고, 세계화된 세상에 일고 있는 다종다기한 ‘비동시성의 동시성’에 주목을 할 필요가 있을 겁니다.
- 조한혜정의 네 번째 편지-171~173쪽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드무비 2006-03-06 09: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에노 치즈코의 네 번째 편지 좋군요.
저도 그런 식으로 말하는 것 좋아하지 않습니다.^^

숨은아이 2006-03-06 1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에노 치즈코가 말한 "동시대의 양면"이란 말에서 새삼 깨달았어요. 그러나 조한혜정 선생이 말한 "다수가 대학에 가는 것이 가능해진 경제적 조건과 그렇지 않은 것 사이의 차이"에도 공감합니다. 우에노 치즈코의 말은, 후진국(과 개발도상국)의 소득 수준이 전혀 높아질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이른바 선진국과 다른 나라들 사이의 소득 격차는 계속된다는 뜻으로 받아들여야겠지요.
 
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작년에 내가 「시민권과 젠더」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국가는 포괄귀속을 요청하는 공동체가 아니라, 부분귀속을 전제로 하는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어떨까"라고 발표하자 보수논객으로 알려진 젊은 남성이 "그런 국가를 위해서는 죽을 수 없다"라고 논평한 적이 있습니다. "어머나, 잘 알고 계시는군요"라는 게 나의 감상입니다. 우익적인 멘탈리티를 가진 사람이 이런 논의의 핵심을 역설적으로 잘 이해하고 있는 것 같지요?

‘몸을 바칠 정도의 조국’을 갈망하는 것보다 본래 "국가라는 것은 목숨을 바칠 정도의 것은 아니다"라고 생각하면 어떨까요? - 우에노 치즈코의 마지막 편지-38~39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걱정 마라 부엉, 내일 모레가 장이다
“남의 일에 참견 말라는 뜻으로 하는 말”이라는데, 어째 이런 말이 생겼을까요?
유래가 궁금 궁금. ^^

걱정이 반찬이면 상발이 무너진다
“쓸데없이 걱정만 하고 식사도 제대로 하지 않는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이랍니다.
인생사 걱정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 걱정을 다 밥상에 올려놓는다면 상다리가 부러질 거라는 말씀. 걱정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라면 그냥 먹어치워 버리자구요.


속담사전을 보고 씁니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ong 2006-03-03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궁금해요, 부엉은 또 무슨 뜻일까요? ^^

숨은아이 2006-03-03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부엉이가 부엉 하는 소리겠지요? ^^

플레져 2006-03-03 18: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숨은아이님, 속담사전 어떤거 쓰세요?
저 말 외워둘래요. 넘 재밌다...ㅎㅎ

숨은아이 2006-03-03 18: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이미지가 안 뜨는데 이거여요, 플레져님. ^^ 이기문 선생이 일조각에서 펴낸 속담사전이요.
 

[재미나는 우리말 도사리]를 보니
마른 가지, 잔가지, 억새나 장작 등 갖가지 땔나무를 통틀어 나무새라고 한단다.

‘나무새’란 말을 보니 시어머니가 나물을 너무새라고 하시는 게 생각난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너무새는 남새(사람이 가꾸어 먹는 채소)의 방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나물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예문 : 봄을 맞아 뒷산에 나물을 캐러 간다)이기도 하고,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풀이나 나뭇잎 따위를 삶거나 볶거나 또는 날것으로 양념하여 무친 음식”(예문 : 나는 고기보다 나물이 더 좋아)을 뜻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나물은 남새와 거의 같은 뜻이지만 그보다는 좀 폭넓은 말로, 남새와 사람이 먹을 수 있는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를 아우르는 말이라 하겠다. 사람이 먹을 수 있는 남새와 푸새를 아우르는 다른 말로 푸성귀(사람이 가꾼 채소나 저절로 난 나물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가 있다.

정리하면,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 ↔ 남새(밭에서 가꾸는 채소)
먹을 수 있는 푸새 + 남새 = 푸성귀 ≒ 나물.

하지만 울 시어머니가 나물을 너무새라 하시듯이,
남새라는 말은 실생활에서 ‘나물’과 같은 뜻으로 널리 쓰인다 하겠다.

지난 설에 시어머니께서 상을 차리면서 “정재에 너무새 좀 가져오너라(부엌에서 나물 무친 것 가져오너라).” 하셨을 때 무심코 “나물이요?”라고 대꾸했더니, 어머니께서 “응?” 하고 되물으신다. 아차 싶어 “너무새 가져오라구요?”라고 고쳐 말하자 “그래.” 하신다. 시부모님과 대화하는 일이 명절 때랑 생신 때, 고작 1년에 서너 번뿐이라서 어머니와 나의 언어 격차는 좀처럼 줄지 않는다.

재작년 봄까지 나는, 내가 어머니의 사투리를 잘 알아듣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재작년 시아버지 생신 때, 한창 탄핵 후폭풍이 불고 민주당이 탄핵에 가담해 지지율이 곤두박질칠 때였다. 시부모님이랑 같이 TV를 보는데 추미애가 광주에 와서 삼보일배하는 장면이 나왔다. 시어머니 말씀하시길, “저것은 자기 동네에서 안 나왔다냐? 나왔다고? 근디 왜 여기 왔다냐?” 하신다. 추미애도 서울에서 출마했는데, 왜 자기 지역구에서 선거운동을 하지 않고 광주에 와서 삼보일배를 하느냐고 물으신 것이다. 여기다 대고 나는 “자기 지역구도 있지만 민주당에게는 광주가 상징적인 곳이니까요.”라고 대답했다. 울 시어머니, 눈을 끔벅이며 나를 빤히 보셨다. 순간, 깨달았다. 상징적이니 하는 먹물 냄새 나는 말을 못 알아들으셨던 것이다. 나는 시어머니와 나 사이에 대화가 물 흐르듯 유연하지 못한 것은, 오로지 어머니의 사투리 때문이라고만 생각했다. 내가 하는 말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 것이다. 나는 어머니의 말을 잘 못 알아들으면서, 어머니는 내가 하는 말을 다 알아들으시리라고 생각하다니! 상대방의 말을 잘 ‘들으려’ 하는 것만큼이나, 상대방이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써 내 생각을 잘 ‘말하려는’ 노력도 필요하구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6-03-03 1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새가 너무 많아 본새도 남새, 품새로 생각했다니까... 티비보다가...

숨은아이 2006-03-03 12: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고 보니 새가 너무 많네요. ^^

조선인 2006-03-03 12: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ㅋ 시엄니를 생각하시는 갸륵한 마음에 추천.

숨은아이 2006-03-03 13: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걱, 갸륵? ^^; 아무튼 추천은 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