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에서 말한다 - 당비생각 02
우에노 치즈코.조한혜정 지음, 사사키 노리코.김찬호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7월
품절


누구든지 노년을 맞이하게 되는 초고령화 사회는 돈과 권력이 결국 모든 것을 말한다고 할 수 없는, 약자가 계속 살아가기 위한 사회를 설계하는 기회(chance)이기도 합니다. 사회를 변혁하는 힘은 언제나 젊은이들로부터 온다고 할 수 없습니다. 고령이라는 미지의 경험에 접어들어 그곳에서 다가오는 새로운 세계, 그리고 고령자가 스스로 열어가는 변혁의 실천에 나는 언제라도 가슴이 뜁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다섯 번째 편지-199쪽쪽

장애인 자립운동과의 만남만큼 나의 마음을 뒤흔든 것은 없었습니다. 그들은 "자신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다.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자기 결정권을 뺏길 이유는 없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입니다. 당사자 주권이라는 것은, "내 일은 내가 가장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내 일은 내가 결정한다"라는 권리를 말합니다. ‘자립’의 개념을 180도 바꾼 그들의 주장에, 저의 여성운동의 ‘자립’ 개념이 흔들렸습니다.
고령화 사회는 많든 적든 나이를 먹어감과 함께 장애를 경험하는 사회를 말합니다. 그때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고 사는 것’을 ‘자립’이라고 여겨 온 사람들은 후에 뼈아픈 보복을 맛볼 것입니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45쪽쪽

‘양육’ 유대, ‘보살핌’ 유대는 혈연이 아니어도 좋고 가족은 있으면 좋지만 없어도 좋다. 친밀한 관계는 가족이건 아니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친밀한 관계와 의존을 분리시키면 좋다.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 -247쪽쪽

보살핌의 유대는 쇠퇴해 가는 자신을 받아들이고 편안하게 늙어가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시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거기에서는 상호의존이 창피한 일이 아니고 위안과 즐거움이 되는 사람과 사람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당신은 압축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와 자본이 결탁해서 일으키는 변화의 속도에 뒤처져버리는 것은 아닐까 하고 한국인들은 두려워하고 있다고 썼었습니다. 그 속에서 ‘반자본주의 운동’이 일어나길 기대한다면 뜬금없는 몽상일까요? 고령화 사회 이야기를 (남자) 경영자 단체에서 할 때마다, 똑같은 패턴의 반응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 참, 무섭군요"라고 그들은 두려운 기색을 보이며 그리곤 이렇게 말하는 겁니다.
"마지막으로 의지하게 되는 것은, 결국 돈이네요."
이런 말을 들을 때마다 참, 남자라는 병은 죽을 때까지 고쳐지지 않아 하고 저는 한숨을 내쉬며 이렇게 대답합니다.
"돈만 지불한다고 반드시 질이 높은 서비스를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이 바로 개호인 것입니다."
실버산업 사반세기의 교훈은 가격과 서비스 상품의 질이 연동하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자신이 정말로 원하는 서비스는 자신이 만들어 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시민의 손으로 사업체를 만들어 온 사람들의 신념이고 실천이었습니다.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어차피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 철저한 자본의 흐름에 농락당하는 것이지요. 그 속에서 보는 것은 돈으로는 살 수 없는 것의 가치입니다.
아무튼, 청소년들이 새로운 모험에 뛰어들듯, 우리들도 포스트모던한 노후라는 모험을 향해 출항하기로 할까요?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섯 번째 편지-250쪽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