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나와 너가 아닌 다른 남자를 가리킬 때는 “그”, 여자를 가리킬 때는 “그녀”라고 쓴다. 실생활에서 말로 할 때는 그이, 그 사람, 그 애, 그 여자, 그 남자 하는 식으로 쓰지만 글로 쓸 때는 그/그녀가 완전히 정착되었다.

예전에는 성별 구별 없이 , 그이(‘그’를 좀 높여서 하는 말)라고 했다 한다. ‘그 사람들’이란 뜻인 그네도 오래전부터 쓰였을 것이다. 연세 지긋하신 분들은 “그니”란 표현도 쓰는데, 그니는 그이의 경기도 사투리라 한다. 그런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 따르면, 신문학 초창기에 이광수, 김동인 같은 소설가들이 그/그녀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영어의 he를 ‘그’로 옮기고, she는 일본어 彼女(かの-じょ)를 본떠 ‘그녀’라고 번역했다.

“그녀”라는 말은 이제 아주 친숙해져서 별 거부감 없이 받아들여지긴 하지만, 가만히 글자의 모양새를 뜯어보면 볼수록 기이하다. 우선 “그”라는 토박이말에 “녀(女)”라는 한자어가 붙은 것도 어색하고, 그 남자는 그냥 “그”라고 하는데 여자만 굳이 “그녀”라고 하는 것도 그렇다. 우리말에는 명사, 대명사에 성별 구분이 없다. 아, 욕에는 있구나. 그놈, 그년. -.-

하긴 토박이말과 한자어가 한데 어우러져 생긴 말도 많다. 한참 동안 할 때의 한참도 한+참(站)으로 된 말이고, 감감소식도 감감+소식(消息)으로 이루어졌다. 관자놀이도 관자(貫子)+놀이, 난장판도 난장(亂場)+판...

그러니 어차피 널리 정착된 “그녀”란 말을 굳이 쓰지 않을 이유는 없다. 그래도 영 마음에 안 들었는지 그녀 대신 “그미”라고 쓴 작가도 있다. 하지만 그미는 그리 널리 쓰이진 않는다.

나는 그녀란 말보다, “그”라는 성별 구분 없는 말이 남자를 가리키는 말로 굳어진 게 더 못마땅하다. 뒤집어 말하면 남자를 가리키는 말이 3인칭 대명사의 대표어가 된 셈이다. 영어에서 남자를 뜻하는 man이 ‘사람’을 대표하는 말인 것과 같다. 전에 보니까 고려대 여성주의 교지인 <석순>을 만든 후배들도 그게 못마땅했는지, 남자를 가리킬 때는 “그남”이라고 썼다. 하지만 이 말이 널리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다.

그래서 나는, 되도록이면 “그” “그이”를 성별 구분 없이 쓰고, 여자와 남자를 구별해서 표시해야 할 때는 “그 여자”나 “그녀”, “그 남자”라 쓰기로 했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1-08 11: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그냥 그라고만 쓰는 경우가 많다네. 그런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혼동하기 쉬울 것 같아 작가들 먼저 실천했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그게 뭐 어때라고 하면 할 말이 없어서...

숨은아이 2005-11-08 12: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두 언니, 이름표 그림이 바뀌었네요? 호오, 신비스러워라. ^^ 뭐, 이런 문제는 강요할 수도 없고, 그냥 나름대로 쓸 밖에요.
따우님, 공부 안 해요? (ㅎㅎ, 한자어로는 궐자, 궐녀라고 썼다네요, 옛날부터.)

숨은아이 2005-11-08 12: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하, 일하는 날은 컴 앞에서 놀기도 하는 날? ^^

urblue 2005-11-08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녀'라는 말이 싫어서 안 씁니다. 그 내지는 그네 정도가 좋아요.

숨은아이 2005-11-08 14: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우님/오호홋~
블루님/그렇죠. 사실 그동안은 그냥 썼는데요, 이제부터는 가려서 쓰려고요.
 

요즘은 단무지를 “다꽝”이라고 하는 사람이 별로 없는 것 같다. 적어도 나는 몇 년 동안 주위에서 다꽝이라고 말하는 소리를 듣지 못했다. 내가 스무 살 무렵 되었을 때만 해도 반대로 “단무지”라고 하는 사람이 주위에 거의 없었던 걸 돌이켜보면 참 놀라운 일이다. 일본어에서 온 말을 꽤 많이 우리말로 다시 다듬었지만, 그중에서도 “단무지”와 “도시락”만큼 성공한 경우는 드물다고 본다.

가만 들여다보면 단무지는 참 잘 만든 말이다.
우선, 무를 썰어서 식초와 설탕으로 절였기 때문에 단맛이 난다.
그래서 맛이 나는 , 단무. (짠맛이 났으면 짠무라고 했겠지. ㅎㅎ)
그리고 ‘지’는 절인 채소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김치의 치, 장아찌의 찌도 다 ‘지’에서 왔다.
따라서 단무로 만든 , 단무지.
누가 만들었는지 참 잘 만들었다.

그런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을 보니,
다꽝, 제대로 쓰자면 다쿠앙(たくあん)이란 이름의 유래도 꽤 재미있다.
고구려의 택암(澤庵) 스님이 일본에 건너가
무를 소금과 식초와 설탕에 절인 반찬을 처음 만들었고,
일본 사람들은 스님의 이름을 따서 그 반찬에 이름을 붙였는데,
택암의 일본식 발음이 바로 “다쿠앙”이라는 것이다. 하하하!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瑚璉 2005-11-08 1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야모토 무사시와 관계가 있었던 澤庵(보통 다쿠안으로 발음하는 것 같더군요)선사의 창안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물만두 2005-11-08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바람돌이 2005-11-08 10: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흠....

숨은아이 2005-11-08 1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다쿠안이란 스님이 미야모토 무사시 시대에도 있었던 모양이군요.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에서는 일본의 "고승대덕전"이란 책에 이렇게 나와 있다고 합니다.
만두 언니, 바람돌이님, 뭡니까? ^^

瑚璉 2005-11-08 11: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의 주장 중에는 조금 검증해보아야 할 것 같은 것들이 있더군요. 혹시 확인되는 것이 있으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숨은아이 2005-11-08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정무진님/네, 그렇습니다. 혹시 다른 정보 알게 되시면 알려주세요~

릴케 현상 2005-11-08 23: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사시 만화에서 봤는데^^

숨은아이 2005-11-09 0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책님/일본의 민간에서는 무사시 시대의 다쿠안설이 더 유력한가 보군요.

panda78 2005-11-09 19: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무사시 만화에서.. ^^;;;
숨은아이님, 방금 택배 아자씨가 박스 가져가셨어요. ^^
내일 들어갈 것 같아요. ^^

숨은아이 2005-11-10 12: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판다님, 오늘 오겠네요. 고맙습니다~
 

하청노동자들을 생각하며... | 할 말은 하고 살자
2005.11.02

 

전남 순천에 있는 현대하이스코에서 일했던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투쟁에 나섰다. 그들은 이미 해고되었다. 해고 이유는 단 하나다. 노동조합을 만들고 단체교섭을 통해 단체협약을 체결하자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헌법을 딱 펴들면 노동자는 노동3권을 갖는다고 적혀있다(제33조 제1항). 그런데 자본주의 사회는 자본가들 맘이니, 내가 노조 보기 싫어서 회사 하기 싫다는 데 어쩔 거야 하고 폐업해버리면 그만이다. 그것이 노동3권을 짓밟기 위한 것이라도 아무런 제재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그런 그가 다른 곳에서 회사를 또 차려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노동조합을 없애버리기 위해서 폐업하고는 다른 곳에 가서 회사를 차리는 것. 이것을 위장폐업이라고 한다. 자본가는 자본 축적을 위해 오늘도 내일도 뛴다. 그러니 노동조합 만들자 폐업하면 그것은 거의 위장폐업이라고 봐도 될 것이다.

위장폐업 중에서도 더 악질적인 것이 바로 하청업체의 위장폐업이다. 도급으로 하청회사와 계약을 하지만, 그 도급은 위장도급이다. 일의 완성 과정에서 도급인이 시시콜콜 감놔라 배놔라 해서는 안되고 일의 완성을 기다려 대가를 지급하면 되는 것이 도급이다. 같은 장소에서 같은 일을 하는데 원청회사 노동자에게는 감놔라 배놔라 하면서 하청회사 노동자한테는 그렇게 하지 않겠는가 ? 그렇지 않다고 말하면 그것은 웃기는 소리다. 직접 하지 않는다고 ? 아하 ! 그렇구나. 회사가 어떤 경영방침을 정해두고 대표이사나 사장이 직접 나서서 감놔라 배놔라 하지 않고 과장이 나서서 하면 그것은 회사가 하는 것이 아니라 과장이 하는 것이다 ? 원청회사가 직접 나서서 노동자들에게 이래라 저래라 하지는 않고, 하청회사가 그렇게 하니 원청회사는 아무런 책임도 없다 ? 도급이 더 많은 이윤을 주지 않는다면 도급을 하지 않을 것이기에, 도급을 준다는 것은 더 많은 이윤을 가져다 주기 때문인데, 그런데도 아무런 책임은 없다 ? 이윤은 더 가져갈 권리는 있되 책임은 없다 ? 

원청회사는 배째라다. 하청회사(인력공급업체가 정확할 것이다. 인력을 공급하고 그 대가로 일정비율을 챙기는 그야말로 전형적인 중간착취자라고 할 것이다)는 널리고 널렸으니, 도급 계약서 하나로 모든 책임을 피할 수 있다. 하청노동자가 노동조합을 만들면 도급계약을 해지하면 그만이다. 그렇게 하기도 전에 하청회사는 알아서 긴다. 폐업한다. 그래도 된다. 그런 하청회사야 언제든지 다시 만들 수 있으니까. 노동조합을 절대 인정하지 못한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으니 원청회사에 확실히 잘 보인 것 아닌가 하면서 말이다. 원청회사는 말한다. 하청노동자의 사용자는 하청회사니, 우리보고 뭐라 하지 말라.

현대하이스코가 딱 그렇다. 도급으로 이윤을 뽑을만큼 뽑기는 할 테지만 그들에게 이윤을 가져다주는 하청노동자의 일에는 관심없어 보인다. 법적으로 책임을 물을 테면 맘대로 하라고 한다. 아주 당당하다. 그도 그럴 것이 대한민국 대법원은 하청노동자의 주장을 받아 주지 않는다. 하청회사에 취직한 것이니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한다.

계약직 노동자, 하청 노동자, 그리고 소위 특수고용직 노동자들에게는 노동3권은 법전 속에 죽어 있는 글자일 뿐이다. 그들은 더 이상 말할 데가 없다. 그런 그들이 행동에 나섰다. 그들은 생존의 문제를 가지고 행동했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 라는 구호 속에는 하청노동자의 삶과 생존에 대한 어떤 것도 없다. 대한민국의 기본적 경제질서인 자본주의는 그들이 요구하는 것을 거부해왔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법도 외면한다. 소위 공권력이라는 집단은 늘 그래왔듯이 또 그렇게 할 것이다. 

저항권이라는 것이 있다. 저항권이라는 것이 국가나 사회가 더 이상 국민의 기본권을 지켜주지 못한다고 할 때, 국민이 자기의 권리와 자유를 지키기 위해 실력을 행사하는 것을 말한다(법원은 그 적용을 엄격히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본주의 사회 자체는 늘 저항권이. 그 적용은 매우 엄격하다지만, 하청노동자들은 국가로부터, 사회로부터, 적극적으로 또는 소극적으로 생존권마저 박탈당했거나 늘 그럴 위험에 처해 있다. 정부는 자본가들은 불법이라고 엄단해야 한다고 하겠지만, 그리고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 공권력과 법원은 그 역할을 충실히 하겠지만, 그들은 그 누구도 비난할 수 없는 저항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공장이 멈추고 손실이 얼마라고 무엇이 파괴되고 폭력사태가 어쩌고 당장 눈에 보이는 것에만 개거품을 물지 말고 그들이 말하는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그런 일이 다시 생기지 않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개거품을 물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설렁탕이나 순댓국 따위, 고깃국물에 밥 말아 먹는 음식에는 다대기라는 양념이 딸려 나온다. 고추, 마늘 등등 갖은 양념거리를 잘게 다진 그것을 넣어야 고깃국물을 느끼하지 않고 얼큰하게 먹을 수 있다. 그런데 “다대기”란 말이 왠지 순수한 우리말이 아닌 느낌이 들어 사전을 찾아봤더니, 역시나 일본어인 다다기(tata[叩]ki)에서 온 말이라 한다. 그럼 이걸 뭐라 하지? [좋은 문장을 쓰기 위한 우리말 풀이사전]에서 보고 알았다. 바로 “다지기”였다.

다지-기
「명」「1」고기, 채소, 양념감 따위를 여러 번 칼질하여 잘게 만드는 일. 「2」파, 고추, 마늘 따위를 함께 섞어 다진 양념의 하나. ¶설렁탕에 다지기를 풀다. §「3」흙 따위를 누르거나 밟거나 쳐서 단단하게 하는 일. ¶이 정도 건물을 지으려면 다지기 공사만도 몇 달이 걸린다.§ (표준국어대사전)


하하, 한 글자 차이로 그 뜻이 분명하게 다가오는구나.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11-07 12: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지기!!!

인터라겐 2005-11-07 12: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냥 양념장이라고 했는데.. 다지기!! 머릿속에 넣어 둘께요

숨은아이 2005-11-07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근데 식당에서 "다지기 좀 주세요" 하면 못 알아들으실 것 같죠? ^^ 당분간은 병행 사용해야 할 듯...
 






지금, 만나러 갑니다  いま, 會いにゆきます(2003)
이치카와 다쿠지 市川拓司 (지은이) 양윤옥 (옮긴이) | 중앙M&B(랜덤하우스중앙) 


푸른 비 냄새가 코끝에 흠씬 풍기는 듯하다.
진상은 조금 더 남루할 터인데.

미오와 담임선생님이 주고받는 테디베어 이야기와 그 속편들, 멋지다. 아주 재미있었다.

정   가 : 9,800원
출간일 : 2005-02-18 | ISBN : 8959241091
반양장본 | 352쪽 | 205*150mm 

소굼님, 고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