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을 나는 새 - 동물 행동학자의 펭귄 관찰 일지
이원영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원영 박사야 펭수를 통해 알게 되었다.

펭귄에 관심을 갖게 된게 펭수 때문이라, 요즘 펭귄 관련된 책을 섭렵중이다.


이 책은 이원영 박사의 개인 일기같다.

조류학자라 그런지 펭귄에 대한 이야기 뿐만 아니라 까치, 까마귀, 남방큰재갈매기에 대한 이야기도 들어있다.

정말 조류를 사랑하는 저자다.


책 말미에는, 온난화 현상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는 펭귄 이야기, 남극동물 이야기가 나온다. 

어쩜 남극 기지의 인간들 때문에 남극 생태계에 해로운 영향을 끼칠지도 모른다. 

그럼에도불구하고 이 책을 읽고 나니, 나도 언젠가 기회가 되면 꼭 남극에 가고 싶은 생각이 든다.

젠투펭귄, 아델리팽귄, 턱끈펭귄, 임금펭귄, 도둑갈매기를 직접 보고 싶다.


조류에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나이 드니 관심이 생긴다.

탐조(버드위칭, 버딩)가 인기인 이유가, 새들은 포유류나 파충류처럼 몸을 숨기지 않아서라고 한다.


아직 조류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 놀랍다. 인간들은 착각하는 것 같다. 영장류가 제일 위대하다고...

하지만 조류가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가 분명 있을 것이다. 인간이 그걸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 뿐.

까치도 도구를 쓰고, 심지어 지구를 한바뀌 도는 새들도 있다. 


이 책을 통해 가장 큰 수확은 펭귄의 성별을 식별할 수 있게 된 점이다. 수컷의 부리는 암컷보다 더 길고 두껍다고 한다.

그리고 임금펭귄의 경우 부리 아래 오렌지색이 선명한 데 이는 나이나 몸무게를 반영한다고 한다. 노란눈펭귄의 눈 위에 노란 띠가 있는데, 건강 상태가 좋은 펭귄일수록 눈 주변 노란 띠의 채도가 높다고 한다.


펭귄 이혼에 대한 내용도 흥미롭다. 알을 잘 부화한 경우 이혼율이 17퍼센트지만, 실패한 경우 52퍼센트라고 한다.

세종 기지 인근에는 펭귄 마을이 있다. 5000쌍의 젠투 펭귄과 턱끈펭귄이 둥지를 만들고 새끼를 키운다. 나레브스키 포인트. 2009년 남극 특별 보호 구역 171호로 지정.
호모 하빌리스 도구를 쓰는 사람
펭귄과 도둑갈매기 체내에서도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검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n Writing: A Memoir of the Craft (Paperback)
스티븐 킹 지음 / Scribner / 2010년 7월
평점 :
품절


역시 저자의 기본은 많이 읽는 것. 그리고 많이 쓰는 것.

거장 스티븐 킹도 공통적으로 말한다. 


의외로 "The editor is always right."라고 한다. 결국 거장도 외부의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는 것. 스티븐 킹은 항상 자신의 아내에게 첫번째로 모든 책의 원고를 보여준다고 한다. 심지어 와이프를 생각하며 글을 쓴다고도 한다.(제1독자) 내가 만약 글을 쓰게 되면 나의 제 1독자는 누구로 해야하지? 나랑 성향이나 취향이 비슷한 사람이 누가 있지?


책은 크게 3부로 나눌 수 있다.

1부는 저자의 유년시절. 자신이 글을 쓰게 된 계기. 작가로 데뷔하기 전의 모습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가장 놀라운 것은 초등학교 때부터 잡지 등에 글을 보냈다는 것. 그때의 피드백이 많이 도움 되었다고 한다. 와이프를 대학교 때 글쓰기 모임에서 만났다. 그리고 결혼해서 가난한 신혼부부로 국어 교사로 있으면서 글을 썼다. 마땅히 집에 공간이 없어서 고생한 점 등이 인상적이었다.



2부는 본격적으로 글쓰기에 대해서 조언한다. 부사를 너무 많이 쓰면 안 된다는 점, 식상한 표현 쓰지 말기, 그리고 초고를 쓸 때는 무조건 휘갈겨쓰기. 초고 쓰고 며칠 안 본 후에 다른 사람의 글처럼 객관적인 눈으로 수정하기. 그런 다음에 지인 몇 명(5명 정도?)에게 원고 보내주기. 

저자의 특이한 점은 상황을 먼저 설정하고 글을 쓴다고 한다. 가령 작가가 미치광이 팬에게 납치된다면? 그래서 인물 위주보다 사건 위주로 서술한다고...그래서 장르 소설가랑 문학을 하는 소설가는 조금 다른 것 같다. 보통은 주제 의식을 갖고 쓰는 것 같던데....물론 킹도 쓰다보면 주제 의식을 갖게 된다고 한다. 상징도 자신에 의도하지 않았는데 만들어지기도 하고....

저자가 Carrie를 쓸 때 가장 많이 배웠다고 한다. 작품을 쓸 때 어렵다고 그만두면 안된다는 것. 그리고 인물은 저자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발전하기도 한다는 것. 

그리고 글쓰기는 규칙적이어야 한다. 매일 몇 시간씩 나만의 공간에서 글을 써야 한다. 아무거나 써도 된다. 하지만 정직해야 한다. 다른 사람들이 듣고 싶어하는 것, 있어보이는 것을 쓰면 안 된다.

As long as you tell the truth. The assumption that the writer controls the material instead of the other way around. The book is the boss.

소설은 서사, 묘사, 대화로 이루어진다(narration, description, dialogue) 저자는 플롯을 별로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다. 

결국 저자는 자신이 몰입하는 것 관심있는 것을 쓸 수밖에 없다. 저자의 경우 1) 판도라 상자를 열었을 때 상황(The Stand, Tommyknockers, Firestarter), 2) 신이 있다면 왜 나쁜 일이 일어날까 (Stand, Desperation, Green Mile) ,3) 현실과 환상의 경계 (Dark Half, Bag of Bones, Drawing of the Three), 4) 착한 사람들이 폭력에 끌리는 이유 (Shining, The Dark Half). 5)아이와 성인의 근본적 차이 6) 치유의 힘으로써 상상력


결정적으로 글을 쓰고 싶다면 그냥 쓰면 된다. 다른 동기가 필요없다. 저자도 쓰는 걸 사랑해서 쓰는 것 뿐이다. 돈은 부차적인 문제다. 


3부는 1999년 저자가 죽을 뻔한 사고 이야기다. 교통 사고로 재활치료를 받아야 했고 그 기간에 이 책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한다. 실제로 1997년 11월에 이 책을 시작했고 1998년 3월까지 쓰다 그만뒀다. 자신에게 글쓰기만큼 치유가 되는 활동은 없다고....작가는 소명인 것 같다. 적어도 스티븐 킹에게는...


If you want to be a writer, you must do two things above all others: read a lot and write a lot. I‘m a slow reader, but I usually get through 70 or 80 books a year, mostly fiction. I don‘t read in order to study the craft; I read because I like to read. It‘s what I do at night, kicked back in my blue chair. Similarily, I don‘t read fiction to study the art of fiction, but simply because I like stories. Yet there is a learning process going on. Every book you pick up has its own lesson or lessons - P139

and quite often the bad books have more to teach than the good ones.

I think we‘re actually talking about creative sleep. Like your bedroom, your writing room should be private, a place where you go to area.
You can train your working mind to sleep creatively and work out the vividly imagined waking dreams which are successful work of fiction.
But you need the room, you need the door, and you need the determination to shut the door. You need a concrete goal, as well. Don‘t wait for the muse. - P152

Clancy, Crichton, Alfred Bester (The stars my destination, the demolished man), Grisham, Elmore Leonard, Valley of the Dolls, East is East

Dead Zone : Can a political assassin ever be right? - P15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 증상, 등 스트레칭이 해결해드립니다
요시다 가요 지음, 최서희 옮김, 가와모토 도오루 감수 / 비타북스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대 때는 몰랐다. 등에도 살이 찔 수 있다는 것을.

30대 중반을 넘어가니 등에도 살이 찌기 시작했다. ㅜㅜ 

그러면서 어깨가 굳는다. 다행히 조금만 연습하면 등 뒤로 악수는 할 수 있다. (물론 쉽지는 않다)

어깨가 안으로 말렸기 때문에 꾸준히 팔 운동을 하려고 노력한다.


이 책에서는 40대부터 꾸준히 등 스트레칭을 해주라고 한다.

4가지 등 스트레칭을 제안한다.

1. 양손으로 벽 밀기

2. 벽에 팔 대고 돌리기

3. 어깨뼈 풀어주기

4. 등 풀어주기


생각날때마다 등을 풀어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루 3분, 3주를 하면 등을 굳은 사람도 등 뒤로 악수가 가능하다고 한다. 

30세가 넘으면 어깨뼈는 점점 더 쇠퇴한다고 한다. 그래서 어깨뼈 주변을 제때 풀어주지 않으면 힘줄이나 인대는 뻣뻣해지고 근육도 쇠퇴하게 된다. 

어깨뼈가 굳으면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하고 점점 노폐물이 쌓인다.

이렇게 꾸준히 등 스트레칭을 해준다면 냉증이 사라지고, 살도 빠지고 변비도 해결된다고 한다.

그러니 하루라도 젊었을 때 충분히 등 스트레칭을 합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인생이 빛나는 정리의 마법 1
곤도 마리에 지음, 홍성민 옮김 / 더난출판사 / 2012년 4월
평점 :
품절


넷플릭스에서 '곤도 마리에의 설레지 않으면 버려라'를 보고 처음으로 곤마리에 대해서 알게 되었다.

옷을 하나하나 들고 설렘이 기준이 되어 버린다는 게 신선했다.

이 책은 2012년에 나왔다. 엄청 반항을 일으켰던 것 같다. (계속 리뉴얼 돼서 재출판되는 것을 보면...)


일단 핵심은 한꺼번에 정리하라는 것이다. 매일 조금씩 정리할 것이 아니라 마음 먹고 완벽히 정리된 상태를 만들어야 관성의 법칙처럼 쭉 이어진다는 것이다. 


'정리는 한 번에, 단기간에, 완벽하게'


일단 순서는 의류, 책, 서류, 소품, 추억의 물건 순 이다. 

옷은 철 지난 옷부터 정리하고, 포개지 말고 세워서 수납해야된다는 것이다. 

이부분을 읽고 나도 실천해봤더니 확실히 수납 공간이 넓어진다. 그냥 포개서 수납할 때보다 많이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양말과 스타킹을 묶어서 수납하지 말라고 했는데, 평생 묶어서 수납해서 이 부분이 제일 충격적이었다.

그리고 옷은 계절별로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소재별로 정리하라는 조언도 도움이 된다. 

아직은 옷 빼고는 정리를 시작하지 못했다. 솔직히 책이 제일 어려울 것 같다. 난 일단 읽은 책 중에서 '설레지' 않은 책들은 알라딘 중고로 팔아버리고 있다. 문제는 읽지 못한 책들이 아직 읽은 책과 비교해서 2배로 많다는 것;;;;


곤도 마리에는 '정리의 목적'을 생각하라고 한다. 가장 이상적인 생활 모습을....내 이상은 방에 있는 책장 4개 중 2개를 버리는 것이다....과연 올해 그 목표를 이룰 수 있을지....

그리고 물건을 소중히 여기라는 조언도 명심해야겠다. 옷도 그냥 거는 것보다 애정을 갖고 걸면 훨씬 오래간다는 말이 맞는 것 같다. 

이번에 옷을 정리하면서도 옷에서 에너지가 느껴졌다. (믿거나 말거나)


물건의 소유 방식이 삶의 가치관을 나타낸다. '무엇을 갖고 있느냐'는 '어떻게 사느냐'와 같다. 

물건을 버리는 것은, 자신의 가치관으로 판단하는 경험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물건을 버리는 것으로 결단력이 키워진다.


정리를 했더니 내가 진짜 하고 싶은 일을 찾게 되었다. 자신이 갖고 있는 물건은 자신이 어떤 선택을 해왔는지 선택의 역사를 정확히 말해 준다. 정리는 자신이 진짜 좋아하는 일을 찾아내는 자신에 대한 ‘재고 조사‘다. - P219

정리를 하면 인생이 극적으로 달라진다. 정리의 효과가 인생에 미치는 영향은 절대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묻다 - 전염병에 의한 동물 살처분 매몰지에 대한 기록
문선희 지음 / 책공장더불어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10~2011년 구제역 사태 이후 어떻게 우리 땅이 변했을까?


관료주의에 함몰된 정부와 이윤추구에만 얽매이는 사기업. 그 사이에서 살처분되는 생명들.

너무 끔찍하다. 얼마전 <감기>라는 영화에서 전염병에 걸린 인간의 시체를 똑같이 대하는 장면을 봤다.

한 생명을 차별하면 인간도 같은 벌을 받게 된다.


정부는 3년이 지난 땅은 다시 쓸 수 있다고 한다. 

매몰지인 비닐하우스에 부추를 심었다. 놀랍게도 그 부추를 판매했다....곰팡이 핀 땅에서 자란 부추는 누구의 식탁에 오를까?

2010년 겨울 구제역 사태로 우리는 347만 9962마리의 동물을 살처분했다. (대만은 1997년 구제역 사태 이후 2001년까지 거의 매해 구제역이 발생했다. 이로 대만 정부는 양돈 수출 산업을 포기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대만의 국토가 급격히 회복되었다. 도시까지 진동하던 축산 악취가 사라졌고 시냇물은 맑아졌다.)


왜 나는 저자의 사진전을 몰랐을까? 참여하지 못해서 아쉽다. 2016년이면 서울에 있었는데....뭐가 그리 바빴을까?

책 중간중간의 사진을 보면 너무 끔찍하다. 물컹물컹 땅의 느낌이 느껴지고, 곰팡이가 보이고, 피처럼 보이는 붉은 땅....끔찍하고 미안하고 화난다. 


작년에는 그나마 무차별 살처분을 금지해야된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하지만 실질적인 법규정으로 이어지진 못했다.

제발 올해는 무차별 살처분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하길....


그리고 공장식 축산업에 대해서도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좁은 공간에 갇혀 살을 찌우는 사료만 먹고 자란 동물은 덩치만 클뿐 건강하지 못하다. 소는 2~3년, 돼재는 5~6개월, 닭은 35일 만에 도축당한다.

아직 갈 길이 멀지만, 올해는 살처분 소식을 뉴스에서 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1002500098&wlog_tag3=naver


근면한 작물 재배에 분노와 두려움이 일었다.(120쪽)


우리의 진정한 모습은 우리의 능력이 아니라 선택을 통해 드러난다. 해리포터 (180쪽) - P180

우리나라가 오늘날처럼 대규모 축산업을 시작하게 된 것은 일본과 관련이 깊다. 한국전쟁을 동력으로 경제를 급속히 회복한 일본은 전에 없는 경제적 풍요를 누리게 되었고 이는 곧 육식의 증가로 이어졌다. 전 국토에 축산 농가가 우후죽순 생겨나자 일본 내 돼지 사육이 큰 골칫거리로 떠올랐다. 풀만 먹는 소에 비해 잡식성인 돼지의 배설물은 양도 악취도 압도적이었기 때문이다. 환경 문제의 해법을 찾던 일본은 상대적으로 가는했던 우리나라와 대만에 돼지 사육 기술을 전수한 후, 돼지고기를 수입해 가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그때 삼례와 김해 등지에 대단지 양돈 농가가 조성되었다. - P70

경북 안동. 2010년 11월 23일 서현양돈단지의 농가에서 최초의 구제역이 신고되었다. 골든타임을 놓쳤다.

아직 톨이 보송보송한 새끼 송아지는 엄마 곁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무진장 애를 썼다. 엄마 소는 아무런 저항 없이 얌전히 서 있었다.질질 끌려가던 송아지가 버둥거리며 서럽게 울어댔다. 그러자 순한 얼굴로 무심히 앞만 바라보고 있던 엄마 소의 눈이 조금씩 커지기 시작했다. 엄마소의 눈이 무서울 정도로 커지더니 갑자기 주먹만 한 눈물이 뚝, 하고 떨어졌다. - P87

세계동물보건기구는 구제역에 대한 국제적인 표준대응으로 살처분을 권고했다. 1999년 우리 정부는 관련 법을 개정하면서 세계동물보건기구의 국제 규약과 외국 관례 등을 바탕으로 살처분을 구제역 박멸을 위한 기본 모델로 채택했다. 사료 소비, 생산량 감소, 수출 제한, 비용 절감. 살처분 정책 어디에도 생명에 대한 배려는 없었다. - P91

일제강점기였떤 1926년부터 1934년 사이 국내에 구제역이 돌았따. 살처분 정책도 백신 투여도 없었지만, 당시 구제역 회복률은 97.5%였다. 동물이나 사람에게 별로 심각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경미한 축에 속하는 전염병 때문에 영국과 우리 정부가 저지른 참상과 결과를 차근차근 되짚어보라.

1997년 조류독감. 홍콩의 한 탁아소에서 병아리와 놀던 3살짜리 남자아이가 조류독감에 걸려 폐, 신장, 간의 기능이 마비되어 사망했다. 6개월 뒤 다시 홍콩에서 조류독감에 걸린 어린이와 성인 5명이 면역체계가 완전히 망가진 채로 사망하여 전 세계를 충격에 빠뜨렸다. - P1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