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얼굴 보면 두근거리고 만날 생각에 설렜던 사람과의 관계가 늦더위와 함께 끝났다. 그 어떤 관계든 마지막이 매번 최악인건 똑같아서인지 이젠 점점 익숙해져가는 걸 느낀다. 이런 더러운 기분엔 면역이 없을 것만 같았는데 그래도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익숙해지더라. 감정은 점점 무뎌지고 뜨거웠던 나는 미지근하게 식어간다. 가끔 두렵다. 더이상 뜨거워질 수 없을 것만 같아서. 니가 좋아. 너도 날 좋아해줬으면 좋겠어. 하지만 니가 날 좋아하지 않아도 상관없어. 나의 마음도 그렇게 깊은 건 아니니까. 이게 내 자기방어라던가 상처받지 않고 싶은 마음인지 뭔지는 모르겠다. 아마 아닐 것이다. 단지, '너'를 아직 만나지 못했을 뿐.
[Let the right one in]
이 영화의 원제가 [렛미인]보다 마음에 각인되었던 건 아무래도 내 마음이 어느 때보다도 내가 그것을 간절히 원했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딱 들어맞는 것을 알아 보는 것. 그리고 그것을 내 퍼즐의 잃어버렸던 한 조각을 끼워넣듯 내 안으로 들이는 것. 그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었던가. 생각한다. 사랑에 빠지기란 얼마나 쉬운 일인지, 사랑에 빠질만한 사람을 만나기란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나와 같은 종류의 사람을 첫눈에 알아보고, 평생의 관계를 쌓아가기 시작하는 어린 연인들을 영화에서 볼 때면 마음이 사무친다. 이제 갓 걸음마를 뗀 것처럼 휘청거리며 사랑을 시작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보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이젠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때묻고 편협해진 내모습이 자꾸 어린 연인의 모습에 겹쳐져 슬프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들의 미래가 밝지만은 않을 것을 이젠 알기 때문이다.
여러가지 장면들이 스쳐지나간다. 다 맞춰진 큐브, 피를 마시지 못해 점점 야위어가는 이엘린의 얼굴, 염산을 붓기 전의 아저씨의 목소리, 눈 위에서 피투성이가 되어 비명을 지르는 코니, 수영을 하며 아이처럼 웃고 있는 오스카, 이렇게 살 수는 없다며 숨을 들이쉬는 아줌마, 숨을 참고 있는 오스카, 가방 안의 이엘린.. 빛이 사라지면 너에게 가겠다는 이엘린의 쪽지까지.
그 끝이 어찌 될지 알면서, 연인들은 사랑을 시작한다. 사랑할 수밖에 없으니까. 나의 아름다웠던 시절은 이미 다 스러져버린 것 같아서 그들의 모습을 보며 괴로웠다. 내게도 사랑하지 않을 수 없어서, 사랑할 수밖에 없는 날들이 다시 오지 않을 것만 같아서.
![](http://image.aladin.co.kr/product/314/58/cover150/m912435089_1.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