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주의 책 함께 읽기 5월 도서인 이 책. 그제 도착했고 어제부터 시작했다. 시작, 시작. 항상 시작은 빠르나 끝은.. 거의 몰아치기 연속이었음을 자백하며 이번만큼은 차분차분히 읽어서 몰아 읽는 일이 없어야겠다.. 불끈 하고 있다.
흑인여성은 자신의 일상생활에 대한 의식을 바꿀 때 스스로의 힘을 기를 수 있다. 변화된 의식이 일차적으로 한 개인의 정신에만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개인의 자유를 향유하는 삶을 살도록 개인을 자극할 수 있다. 의식의 변화를 체험한 개인이 자신과 비슷한 여정을 경험하고 있는 다른 이들을 운좋게 만날 수 있다면 다른 이들과 따로 또 함께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바꿀 수 있다. (p16, 2000년 개정판 저자 서문 중)
이제 겨우 1장에 진입한 상태인데 (이랴이랴), 사실 서문에서부터 이 책이 좋은 책이라는 것을 바로 알았다. 저자가 책 앞에 밝힌 이 이야기들. 흑인이자 여성이자 노동계급 출신이었던 저자가 최고이며 엘리트에 속한 소수이며 어디에서나 유일한 흑인여성으로 살아가야 했던 저자가, 이러한 점에 천착하여 스스로의 존재 의미를 찾고 동시에 함께 연대해나갈 방법을 찾아나갈 여정이 기대되기까지 한다.
지금 나는 흑인여성의 힘기르기empowerment는 억압과 사회 부정의가 판치는 사회적 상황에서는 결코 일어날 수 없다고 본다. 이러한 상황에서라면 어떤 집단이든지 오직 다른 이들을 지배함으로써만 권력을 획득할 수 있따. 흑인여성의 사상에서 발견되는 힘기르기는 이런 식의 것이 아니다. 나는 흑인여성의 저작을 읽으면서 어떻게 힘기르기가 개인에게 중요한 체험인 동시에 다른 이들과 연대할 수 있게 하는 지 알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흑인 페미니즘 사상은 일차적으로 흑인 여성을 위한 것이지만 궁극적으로 다른 사회정의 기획과도 연결된다. (p16, 2000년 개정판 저자 서문 중)
코로나가 와서 어디 마음대로 가질 못해서 답답하긴 하지만, 어쩌면 이런 좋은 책들에 좀더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나에게 허락된 것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마음이 평안해진다. 이번엔 좀 찬찬히 여유를 두고 음미하며 읽고 싶다. 이 책은 서문부터가 그런 느낌을 팍팍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