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게 참 무얼까 싶은 건... 나이들수록 더 자주 느끼게 되는 것이지만, 유독 그런 생각이 많이 들 때는 내가 알던 사람이 서 세상으로 떠날 때가 아닌가 싶다. 사실 가수나 연예인도 내가 알던 사람의 범주에 들어가는가는, 잘 모르겠지만, 나의 어린 시절 혹은 과거의 어느 시절에 내 시간을 들여 듣고 보고 했기 때문에 남 같지 않다 뭐 그런 차원인 것 같다.
어제 미국 컨트리 팝의 대명사 격인 케니 로저스가 돌아가셨다 라는 기사를 접하고 여러 심정이 교차했었다. 연식 너무 드러나는 얘기라 별로 하고 싶지 않지만, 뭐 어떠냐. 쩝. 내가 중학교 고등학교 다닐 때는 가요라는 게 일천하기 짝이 없는 수준이었어서 노래를 듣는다는 애들은 전부 팝송을 들었었다. 주로 심야에 라디오를 켜 놓고 당시 유명했던 DJ들의 목소리로 소개되는 팝송과 가수들에 매료되었었다. 지금은 어디 갔는 지 찾을 수도 없는 그 낭만이라는 괴물은 아마 중고등학교 시절에 다 소진되었다 싶을 정도로 매일 밤 가슴 설레는 마음으로 노래를 듣고 따라 부르고 했었던 것 같다.
케니 로저스는 그 당시도 중년에 가까왔고 나이는 어땠는 지 모르지만 수염 덥수룩하게 길러 나와서는 걸걸한 목소리로 얘기하곤 했기 때문에 내게는 거의 할아버지로 느껴졌었다. 엄마가 좋아해서 알게 된 가수였는데... 엄마나 나나 그의 노래 중에서 제일 좋아한 노래는 이 곡 "Lady"였다... 몇 년 전에 폐암으로 돌아가신 이종환 DJ가 심야시간에 진행하는 프로에서 자주 틀어주었더랬다. 어쩌고 저쩌고 말하다가 "케니 로저스의 레이디, 나갑니다." 하면 하던 공부(일)를 멈추고 조용히 노래에 귀를 기울였었다. 그냥 좋았다. 그 선율이.. 그 음색이. 깜깜한 밤에 어울렸던 그 노래. 그렇게 케니 로저스를 소개하던 DJ도 가고 이젠 그 가수도 하늘의 별로 사라졌다 하니, 참 세월이 무상하구나 라는 마음에 문득 적적해진다.
최근 사진을 보니 못 알아볼 정도로 할아버지가 되어 있었다. 그러니까 내가 기억하는 케니 로저스의 모습은, 지금 보니 젊은 시절이었고 한참 전성기를 구가하던, 소위 말해 잘 나가가던 시절의 모습이었다. 수십 년 지나고 나면 이리 늙어 언제 그랬냐는 듯한 모습이 되는구나.. 다시 한번 또 적막스러워진다. 누구나 이 세상에 찰나로 왔다가 가는 것이겠고 아마 나이든다는 것은 내가 늙는다기 보다는 내 주위의 사람들이 하나둘 세상의 시간에서 벗어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다 나도 저렇게 스러지겠지... 이 화창한 날에 이런 쓸쓸한 생각이 들다니.. 코로나 때문에 너무 집에 있었던 탓인가.
케니 로저스의 명복을 빕니다.
나의 어린 시절의 추억어린 한 때를 무심히 돌아보며... 좋은 곳에서 평안하시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