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작가가 미군 PX에서 근무하던 시절, 가난한 무명의 화가 박수근을 만난 경험을 소재로 한 <나목>으로 마흔에 등단한 일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박완서 작가는 박수근 화가의 사후 사람들이 그와 그의 작품을 두고 벌이는 과열된 소동을 보고 생전 그가 받았던 대우, 겪었던 가난을 떠올리며 그를 제대로 증언하고자 하는 욕구를 느꼈다. 그 조용하고 성실하고 거창한 예술이 아닌 검박하고 처절한 생 그 자체에 복무했던 한 남자에 대하여 박완서 작가보다 더 생생하게 잘 그려낼 수 있었던 사람은 없었을 성싶다. 처음에는 논픽션으로 쓰려던 시도가 점차 소설로 확장되었고 이는 세상에 박완서라는 거장을 등장시키는 발판이 되어준다. 아무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는 박수근 작가의 생전의 초상은 그렇게 세상에 공개된다. 스무 살 초입의 여대생과 중년의 화가의 만남은 그 둘이 이윽고 세상을 흔드는 소설가와 위대한 화가로 남게 될 것이라는 예감을 전혀 품고 있지 않았기에 더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을 절절하게 만드는 것이다. 전후 극심한 가난과 자국 정부가 아닌 미군에 기대어 생존을 도모해야 하는 그 위치를 공유해야 하는 처지에서 박수근은 화로 가득 차 있는 어린 여대생에게 소중한 것을 일깨워준다.
그럴 때는 밑도 끝도 없이 불쑥 자애라는 게 이런 게 아닐까, 생각하곤 했다. 사는 일의 악착같음 때문에 거의 잊고 지낸 자애라는 게 따뜻한 물에 언 몸을 담갔을 때처럼 쾌적하게 스미는 것 같은 시간이었다.
기다렸다가 같이 퇴근을 한다고 해도 할 말이 있는 것도 아니었다. 우린 그냥 을지로 입구까지 같이 걸었다. 둘이 다 전차를 탔지만 방향이 달라서 거기서 헤어졌다.
-박완서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죽은 오빠를 대신하여 집안의 실질적 가장이었던 박완서 작가와 줄줄이 식구가 딸린 가난한 간판장이였던 박수근 화가가 서로 이렇다할 말도 나누지 않고 조용히 을지로 입구까지 퇴근길에 걷는 그 풍경을 상상해 본다. 가난했고 때로 그 가난 때문에 가장 중요한 것들을 숙이고 들어가야 하는 순간들도 있었지만 그 둘은 그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자애'를 공유했다. 훗날 이 시대의 거장으로 우뚝 서게 될 그 둘의 퇴근길의 동행 풍경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뭉클하다. 이 풍경이 사라지지 않고 박완서 작가의 섬세하고 절묘한 언어로 다시 길어 올려져 세상 바깥으로 나오게 된 것이 얼마나 다행인가. 기억 속에만 묻어두었더라면 우리는 절대 알 수 없는 그 시대의 이야기들은 이렇게 비로소 부활한다.
박수근 작가의 그림은 이제 평범한 사람들은 전시회를 통해서 가까스로 감상할 수 있을 정도로 그 가치가 천문학적으로 불어났다. 박완서 작가의 소설은 전집이 간행될 정도로 작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끝내 재회하지 못한 그 둘에 남은 것은 그러나 여전히 그 시절의 풍경들일 것이다. 가난했고 무명이었고 그럼에도 꾸는 꿈들이 있었던. 무명의 화가는 항상 화가 나 있고 자기보다 나이 많은 화가들에게 잔소리와 조언을 남발하는 여대생에게 말없이 자신의 화집을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여태껏의 익명성으로부터 돌출되어 자신을 박수근으로 봐주길 요구하고 있다고" 그녀는 생각했다. 아무에게도 동류의식을 느끼지 못하고 모두를 싸잡아 집단화해서 보던 편견에서 그 여대생은 비로소 사람 하나하나를 개별화해서 받아들일 수 있는 여유를 배우게 된다. 그리고 거기에서 그녀는 시대에 남을 작가로서의 소양을 키우게 된다.
사진, 영상, SNS로 남을 이 시대의 부스러기들은 진정한 의미에서 증언이 될 수 있을까. 이제 아무도 무언가를 제대로 기억하려거나 기록하려는 의지를 느끼지 않는 것 같다. 동영상으로 채집하고 짧은 문구들로 갈음해 버리는 이 시대의 이야기들이 어떻게 남을지 우려가 되는 부분이 있다. 우리의 모든 행동과 발언은 누군가에게 큰 의미를 남길 수 있을까. 설사 그랬다 하더라도 그것이 기억으로 복원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