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은 다른 곳에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지음, 김현철 옮김 / 새물결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갱이야 모르는 사람이 없는 화가인데 왜 그의 외할머니인 플로라 트리스탄은 이토록 알려지지 않았을까?

이 책은 플로라 트리스탄과 그의 외손자 고갱의 두 인생을 오가면서 서술된다.

그러나 독자를 압도하는건 고갱이 아니라 그의 외할머니인 플로라 트리스탄이다.

1803년에 태어나서 1844년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이 여성이 살았던 시대를 짐작하려면 영화 <레미제라블>을 떠올리면 될듯하다.

1830년 7월혁명으로 빈체제로 성립된 왕정을 무너뜨리고 루이 필립을 왕으로 세우며 입헌군주정을 시작했지만 당시 모든 민중이 같이 싸웠음에도 모든 이익은 오로지 부르조아들에게 돌아갔다.

이걸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치가 7월 혁명이에도 프랑스에서 선거권을 가진 사람들은 전체 인구의 0.6%에 불과했던 것.

이 시기 노동자의 상태를 잘 보여주는 통계가 하나 있다.

1842년 영국 노동계급의 위생상태에 대한 보고는 당시 영국의 공업도시이던 리버풀의 노동자계급의 평균수명 15세, 맨체스터 17세라는 충격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플로라가 살던 시대는 바로 이런 시대이다.

<레미제라블>에서 혁명가들은 공화정을 위해,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위해 목숨을 던져 싸운다.

하지만 그곳에는 아직 노동자들 스스로가 주인이 아니다.

공화정이 되면 투표권이 주어지면 세상이 달라질 것인가?

1848년 2월혁명으로 프랑스는 공화정을 쟁취했고, 투표권도 얻었지만 노동자들의 세상은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이런 시대에 플로라가 말한다.

모든 억압받는 여성과 노동자들이 연대해서 노동조합을 만들고, 그 노동조합을 통해 모두가 평등한 새로운 세상을 노동자 여성 스스로가 만들어야 한다고.....

이때까지는 사상적으로는 공상적 사회주의가 태동한 시기였고, 마르크스는 아직 젊은이다.(책 속에 마르크스와 플로라가 잠시 스쳐가는 장면이 있는데 자기 책 출판외에는 안하무인인 무례한 젊은이로 잠시 등장한다.)


페루인 아버지와 프랑스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부모의 결혼이 정식으로 인정받지 못한 바람에 태어날 때부터 사생아가 되어버린 그녀는 그 시절 누구나 그랬듯이 공장에 취직을 했다가 결혼을 한다.

하지만 이 빌어먹을 남편이란 놈은 술주정뱅이에 폭력적이기까지 했으므로 플로라는 도망을 결심하고 실행하지만, 여성이 이혼을 주장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남편의 추적에 시달리다가 남편으로부터 총까지 맞고 몸에 총알을 박은 채로 살던 플로라는 자신의 삶과 여성의 삶, 그리고 노동자들의 삶을 바꾸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을 만나고 외가가 있는 페루까지 갔다오는 그녀의 일생은 플로라라는 한 여성이 어떻게 자신을 만들어가고 삶의 태도를 정립하는지를 끈질기게 추적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녀의 삶은 늘 길 위에 있다.

그 길은 현실의 길이기도 하고, 자신의 삶과 생각을 만들어가고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를 엮어가며 새로운 인간상, 새로운 인간관계의 틀을 만들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당대 여성의 몸으로 프랑스 전역을 여행하며 노동자들을 만나, 노동자가 스스로 노동조합을 만들과 여성과 노동자가 함께 만들어가는 새로운 세상을 제시하는 그녀의 노력은 놀랍다는 말 외에 어떤 말도 할 수가 없다.


자신의 신념에 따라 온갖 고난을 마다하지 않는 삶 - 심지어 그 삶을 바꿔 안락한 부르조아의 삶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있었음에도 그것을 팽개쳐버리는 결단과 용기를 갖춘 삶은 어떻게 가능할까?

그녀가 만들고자 한 것은 여성과 노동자의 천국이었지만, 우리는 그 천국이 그녀 당대에 또 그 이후로도 오랫동안 지금까지도 실현되지 않았다는 것을 안다. 

제목 그대로 천국은 다른 곳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이런 사람들 덕분에 세상은 그래도 살만한 곳이 되어가고, 그 너머 어딘가에서 우리는 다들 우리들의 천국을 만들어가고 있는걸거다.

온 세계가 그녀에게 빚을 졋다고 할 수 있는데 이제야 그녀를 만나다니 미안할 따름이다.


플로라의 삶에 압도당한 나머지 그녀의 외손자 빌어먹을 고갱의 삶은 관심이 하나도 안 생긴다.

책의 반이 고갱의 삶인데 그의 지독하게 자기중심적이고, 제국주의자 백인의 오리엔탈리즘 가득한 천국은 당연히 없다.

아마도 고갱의 천국은 그의 머릿속 관념에서만 존재할 것이다. 




댓글(12)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삭매냐 2022-02-10 14:54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요사스러운 요사샘의 팬으로
오래 전에 이 책이 나오자
마자 읽었던 것으로 기억합니
다.

왜 요사샘의 신작은 나오질
않는지 그것이 안타깝습니다.

바람돌이 2022-02-12 00:56   좋아요 0 | URL
저는 요사샘 책을 읽은게 처음이므로 앞으로 많은 책이 저에게 남아있습니다. ㅎㅎ
혹시 요사샘 계속 정치한다고 바쁘신걸까요? ^^

mini74 2022-02-10 20:3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도 고갱의 외할머니에게 반했던 ㅎㅎ 너무 당당하고 똑똑하고 멋지고 그리고 안타깝고 ㅠㅠ 그랬습니다. 썩을놈의 남편은 분노를 부르고 ㅎㅎ

바람돌이 2022-02-12 00:58   좋아요 1 | URL
저 시대에 남편놈들이 대부분 저렇게 썩을놈들이었다는게 문제겠죠. 전 책보면서 19세기 유럽의 야만성이 확 와닿더라고요. 맨날 문화인인척 하는 그들도 별수 없었다는.... ^^

새파랑 2022-02-10 19:2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고갱이 나빴군요 ㅎㅎ 아 이건 실화를 바탕으로 한 책인가 보군요. 전 ˝트리스탄˝은 첨 들어봐요 ㅜㅜ

바람돌이 2022-02-12 01:00   좋아요 2 | URL
플로라 트리스탄과 고갱 모두 실존인물입니다. 플로라가 죽고 몇년 뒤에 고갱이 태어났다죠. 가끔 이런 소설이 어떤 인문학적 책보다 한 인물을 제대로 살려내는 것에 감탄하는데 이 책이 그랬습니다. 고갱에 대한 평가를 보면 대부분 인간성은 별로인데 그림은 훌륭한 뭐 이렇던데 이 책에서 묘사된 고갱은 정말 빌어먹을 인간입니다. ㅎㅎ

그레이스 2022-02-10 19:3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아직 손도 못대고 있는 책
바람돌이님이 제 마음을 바쁘게 하시네요 ㅠ
ㅎㅎ

바람돌이 2022-02-12 01:01   좋아요 2 | URL
그런 책은 저에게도 많습니다. 심지어 집에 읽을 책을 쌓아놓고도, 또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온다는..... 마음은 바쁘고 욕심은 나는데 시간은 항상 제 편이 아니네요. ㅎㅎ

coolcat329 2022-02-10 20:3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고갱은 참 정이 안가요 ㅎ
저도 이 책 있는데 올해 꼭 읽어야겠습니다.

바람돌이 2022-02-12 01:02   좋아요 2 | URL
저는 고갱 그림도 딱히 좋아하지 않는데 이 책에 묘사된 고갱은 진짜 나쁜 놈.... ㅎㅎ
올해 안에 올라올 쿨캣님의 리뷰를 기다리겠습니다. ^^

희선 2022-02-12 00:3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고갱하고 외할머니인 플로라 트리스탄은 만난 적 없을 것 같기도 하네요 플로라가 일찍 죽어서... 플로라 대단하네요 그때 여성이 노동조합을 만들고 평등한 세상이 되어야 한다고 하다니... 고갱이 생각하는 천국은 자기 머릿속에만 있는 거 맞을 듯하네요 플로라가 생각하는 천국도 쉽게 만들기 어렵겠지요 지금도 다르지 않다니...


희선

바람돌이 2022-02-12 01:03   좋아요 2 | URL
네 플로라가 죽고 몇년 뒤에 고갱이 태어났대요. 이 책에 보면 플로라가 그렇게 노동조합을 이야기하고 다닐때 실제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이 뭔지도 모르는 상태예요. 대단한 인물이죠.
둘다 천국을 생각했으나 사실 이루기 어렵다는 점에서 공통된데 그래서 아마 제목이 천국은 다른 곳에가 아닐까 싶었어요. 그런데 그 다른 곳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제목의 다른 함의라고도 생각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