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일 밤의 공포와 분노와 어이없음과 감히 저것들이라는 마음을 기억한다. 앉은 순간에 그토록 격정적인 온갖 감정들이 한꺼번에 들이닥치는 경험을 다시 하고싶지는 않다.
많은 이들이 함께 느꼈을 감정들을 세심하게 기록한 황정은 작가의 에세이를 읽으며 스 순간들을 다시 돌아본다
그러나 우리는 하나였다는 말에 들어있는 차별과 배제, 냉소를 살피는 것은 이 섬세한 작가의 몫이다. 그랬구나! 항상 대의를 위해서 소를 희생하는 것은 어쩔수 없지 않냐는 오래된 유교문화권의 역사와 군사문화의 그림자는 크고도 깊고도 넓다.
그래도 이렇게 그 순간을 포착하고 제발 조용히 하라고 말할 수 있는건 이렇게 작가들이 문학을 통해 , 또 다른 예술을 통해 그 찰나의 순간들을 포착하고 알려줘왔기 때문이리라.
좀 더 시간이 흐른다면 우리는 대를 위해서 소는 조용히 하라는 그 입에 제발 조용히가 아니라 큰 소리로 닥치라고 말할 수 있을지도..
세상에 희생되어도 되는, 묻혀도 되는 소는 없다.
그 무엇도 작지 않다.
그 누구도 소중하지 않은 샹명이 옶는것처럼.
황정은 작가가 말하는대로 우리는 희망보다는 가능성을 믿고 여기까지 왔으니 앞으로도 그러할것이다.

국회의원이든 시민이든 그 자리에 모인 사람 중에 절박하지 않은 이가 있었을까. 나도 계엄에 반대하고 윤석열의 탄핵과 구속을 간절히 바라며 서 있었지만, 윤석열과 그가 초래한 국가 상태를 묘사하려고 ‘정상‘과 ‘비정상‘을 반복해 말하는 몇몇 연설은 집중해 듣기가 어려웠다. 이 사회의 정상성 기준으로 불편과 부당을 겪는 사람들, 소수자들도 여기 있는데 별 조심성 없이 그 말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선 자리가 따끔했고, 뒤쪽 눈치가 보였다. 하지만 지금이 불편함을 말할 수 있을까, 지금은 그래도 되는 시간일까. 2016년 광화문에서 한 생각을 2024년 국회 앞에서도했다. 스스로를 비겁하다고 느꼈다. - P13
밀할수록 말하고자 하는 것이 가벼워지고 하찮아지는 것 같았냐고 묻자 어떻게 알았느냐고 반문한다. 나도 겪곤 하니까. 그 무서운 일을. 내게 너무나 중요한 그것이 당신에겐 중요하지 않다는 걸 목격하는 일, 사람의 무언가를 야금야금 무너뜨리는 그 일을. - P43
누가 그랬나. 케이팝과 응원봉의 물결을 보며 축제 같다고그런 면도 물론 있지만 이 집회의 가장 깊은 근원을 나는 그 순간에 본 것 같았다. 슬픔. 저마다 지닌 것 중에 가장 빛나는 것을 가지고 나간다는 그 자리에 내가 바로 그것을 쥐고 나갔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누군가의 무사를바라며 앉아 있었다. - P85
읽을 책을 고르려고 책장을 넘기다가 우연히 본 문장. "연결성이라는 사슬로 이어져 모두가 동등하다."" 나도 이런 말을 쓰고 싶다. 이런 시선과 마음으로 세상을 보고, 인간을 향해 돌돌 구부러드는 생각은 접어두고, 보고 듣는 것만을, 찰나의 생각만을 기록하며, 삶이 내게 주는 감각을편견 없이 흠뻑 음미하고, 그렇게 살고, 쓰고 싶다. 그런데자꾸 더러워진다. 산다는 건 결국 더러워진다는 것이지만, 더러운 도랑물을 마시며 사는 것이지만,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이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물줄기, 다른삶에서 내 삶으로 흘러드는 물을, 타인의 삶에서 흘러나온피가 스며든 도랑의 물을 내 도랑의 물로 받아 마시며 사는 일이고, 그래서 내가 받아들이거나 말거나 삶이란 끊임없이 더러워지는 일이지만. 이런 오염은 싫다. - P114
그런 생각을 했다. 기쁘고 아깝고 슬프고. 독서가 어떻게 고요한 활동인가. 좋은 책을 만나면 너무나 난리다. - P136
록산 게이의 칼럼 모음집을 읽기 시작했다. 희망보다는 가능성을 믿는다는 이야기에 깊이 감응했다. 나도 그렇다. 진작 그래왔다고 중얼거리며 서문을 읽었다. 희망을 나는 믿는 것 같지 않은데 그럼에도 세상을 보는 마음엔 늘모종의 믿음이 남아 있고 이것이 뭘까, 이것을 다른 이들은 뭐라고 부를까, 궁금했던 적이 있었다. 가능성. 너무 평범한 말이라서 그 말을 발견하는 데 오래 걸렸다. 가능성을믿는 마음, 그걸 믿으려는 마음이 언제나 내게도 있다. 언제나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가능성만을 바랄 수 있을 뿐인 세계는 얼마나울적한가. 희망을 가지고 그것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믿기가 너무나 어려운 세계, 그 어려움이 기본인 세계는 얼마나낡아빠진 세계인가. 세계. 너무 낡아서, 자기 경험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하는다만 이어질 뿐인. - P1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