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 다녀왔습니다. 피곤하네요. 육체적, 정신적으로...

모더니티의 수도 파리..

 

기억에 남는 감동은 르부르에서 다빈치(드빈치라던데..-_-;)의 모나리자와 에펠탑 정도...

모나리자는 특히, 그 신비로움, 그 기묘함에, 그 다음날 밤에는 모나리자에 귀신 쓰인 꿈을 꾸기도 했습니다. 진짜 대단해요. 이게 그 작품의 아우라인지, 그 작품에 대한 주위의 반응 때문인지, 그것의 복합인지는 모르겠어도, 그렇게 유명한 작품이 될 수 밖에 없었구나..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동양인이라는 아이덴티티가, 계속 의식되게 만드는 시선들,

미국인들(거진 미국, 그리고 국적을 알 수 없는 백인들..)의 무례함, 거침, 깔봄 때문에 입은 상처들

(훗. 부쉬가 정상회담때 짜증나는 표정으로 후진타오의 양복을 끌어댕기던 것이 생각나는 군요. ㅋㅋ 이런게 떠오르다니..

이것을 '다름'이라고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의 '다름'은 '다른'이들에게는 다르게 적용되는 것도 새삼 느꼈습니다..)

 

한국에 돌아오니, 편안함을 느낍니다.

끊임없이 타자에게 의식당하고, 또 그들을 의식하고 계속 배려해야 하는 것.. 그리고 끊임없이 '타자'로 인식되는 것.

쉽지만은 않아요.. 어쩌면 이것이 '여성'이라는 소수자가 남한에서 느꼈을 불편함과도 맞닿아 있는 것도 같고, 왜 유독 여성 친구들이 외국에 나가는 것을 '자유'라고 느끼는지 알 것 같기도 했습니다..

 

세계의 타자성에 대한 인식. 체코를 여행했을 때는 그렇지 않은데, 역시 프랑스라는 나라, 그 오만함을 둘러보고 오니

정말 피곤하네요..

 

남한에서는 그냥 걸어다닌다면, 파리에서는 계속 세계의 타자성을 의식하면서 걷는다랄까..

세계-내-존재가 아니라, 세계/존재랄까.......

 

여러가지 짜증나는 에피소드들이 많았어요. 미국 엑센트라면 경기가 날 정도로..

 

기억에 정말 남는 것은, 히라노 게이치로의 <<장송>>을 다 읽은 것이지요. 쇼팽과 들라크루아에 대한 예술가소설, 역사소설인데. 이 작가와 동시대에 살고 있는 것이, 비록 '일본-남한'이라는 차이는 있겠지만, 행운이라고 느껴졌습니다. '정통' 소설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 보겠다는 결심으로 썼다는 작가의 말이 과장이 아니라고 느껴집니다.

 

좀 쉬어야 하겠습니다. 파리를 다녀와서, 쓸 소설도 메모해 두었고요 ㅎㅎ

타자로서의 세계, 타자로서의 타자.. 잊고 있었던 것을 깨닫네요. 항상 '동일성'만을 생각했는데.. '타자' 없는 동일성이라는 것은 작동 할 수 없는 것이었건만.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07-06-04 0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인님, 파리 다녀오셨군요! 많이 느끼고 꽤 피곤하기도 하고 그러신 것 같아요.
소설 쓰실 준비를 하고 계시군요. 와, 대단합니다.
그리고 남한이라고 의도적으로 쓰시는 게 인상적입니다.
오만하던가요? 파리가?? ^^ 여행 중 이렇게 책을 읽으시니 부러워요.
그 중 장송, 건져갑니다. 오래 전 그의 작품, 달을 읽은 기억이 나네요.
푹 쉬며 여독을 푸시기 바랍니다...

드팀전 2007-06-04 08: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사귀환환영...여행이 아니면 얻을 수 없는 것이었겠습니다.머리로는 타자성을 인식해도 아시아 동쪽 끝..국가의 역사라는 우산 아래 내부적으로 언제나 각종 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는 곳에 살다보니 ..인식이 우물 속에서 허우적 거리고 있다는 생각이 가끔 듭니다.존재를 규정하는 타자성 역시 물질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지요. 짧은 시간이었지만 돌로 만들고 붓으로 만든 것들의 기억말고 담아 오신게 멋있습니다.부럽기도 하구요.

마늘빵 2007-06-04 1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앤님은 잘 보고 오셨나요? :)

Mephistopheles 2007-06-04 1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 다녀오셨군요...그런데..누가 감히 우리 기인님을...??
이것들을 그냥..!

yoonta 2007-06-04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작품 준비중이시군요. 어서 읽어 볼수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백인들의 유색인종에 대한 깔봄은 정말 뭐 어찌할수 없는 것이지요. 같은 백인계인 유태인들에게조차 그토록 심한 편견을 가졌던 사람들인데..그래도 과거보다는 많이 나아진 것일 겁니다.

기인 2007-06-04 22: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배혜경님/ 네 ㅋ 우리 커플은 여행하면 오전, 오후만 여행하고 저녁에는 책 봐요. 저는 약과고 제 애인은 5권은 읽었을 꺼에요. ㅋ 그냥 '읽어야 하는 책'에서 벗어나서 읽고 싶은 책을 읽는 시공간으로서의 여행.. 그런거 좋아하거든요.. 파리 물가도 넘 비싸서;; 그냥 점심 많이 먹고 저녁은 때우고 그랬답니다 ^^ 게이치로 참 좋아요..
드팀전님/네.. 가끔 이렇게 나갔다오면, '세계'라는 것을 느끼고는 해요.. 이번 경험을 토대로 뭔가 써봐야 할텐데.. 또 일상에 파묻히다가 말지.. 꼭 써봐야죠 ㅎ
아프락사스님/ 네 ㅋㅋ 아프님에게는 염장이 아니겠지만, 올만에 보고 애인이 그렇게 예뻤는지 새삼 깨닫고 엄청 놀라버렸죠! ㅋㅋ 함께 돌아와서 더 좋았어요.
메피님/ 오옷 어느새 바뀐 대문과 닉네임! 든든한 메피님. 역시 그 상황에서 메피님이었다면!!! :)
윤타님/ 네.. 으 이 '준비'가 얼릉 현실화로 되어야 할텐데... 네. 과거보다는 많이 나아졌을 테지만.. 쩝. 씁쓸하더라고요..

2007-06-05 01:27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기인 2007-06-05 02: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속삭이신L님/네 진짜 닮은 점이 있을 듯.. :) 고마워요~ ㅎ

나비80 2007-06-05 12: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인 님 부럽습니다. 언제 오시나 했는데..^^

누에 2007-07-22 18: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제작년 남한에 한번 다녀왔는데, 사람들이 모두 똑같이 생기고 똑같은 옷을 입고 똑같은 말을 해서 놀랐답니다. ^^ (차학경의 딕테를 타고 기인님 서재까지 오게됐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