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아서스가 이 영화의 로튼토마토 지수를 알려주면서 보지 말라고 하였다.
흐음... 사실 고민을 많이 했었다.
평소에 마블 영화를 많이 보지도 않고, 덕후는 전혀 아니며, 15세 관람가인 이 영화를 봐야 하는가?
나의 선택은 보는 것이었고, 보고 난 직후 후회는 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1. 기대를 하지 않고 보면 재미는 있다. 2. 나는 영화 할인권을 사용했다. 이 두 가지였다.
주말, 영화 할인가로 싸게 본다면 그리고 큰 기대를 하지 않는다면 가격 대비 괜찮은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의문은 있다.

첫 번째로 심비오트 베놈이 마음을 바꾼 이유.
베놈은 에디 때문에 지구인을 살리는 데에 동참을 한다. 근데 그 이유가 상당히 많이 생략되어 있다.
에디의 감정과 생각을 공유했기 때문에, 그 공유한 내용에 공감했고 동의했기에 지구를 파괴하지 않는 데에 힘을 쓰기로 한 베놈. 근데 그 구체적인 이유가 나오지 않았다.
에디가 사회정의감이 넘치는 사람이라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회정의감에 반비례하여 바로 옆에 있는 사람의 감정(굳이 한 명만 대자면 애인이 앤 웨잉)에는 공감을 좀 덜하는 사람 같던데 말입니다.
베놈이 지구인을 살리는데 동참하고 싶은 이유로 에디 때문이라는 말에 공감하기 어려웠다.

두 번째. 라이프 어쩌고 하는 회사의 수장인 칼튼 드레이크.
물론 이 사람 나쁜 사람이다. 문제는 이 사람이 중간에 했던 말인 '사람이 지구를 파괴하고 있다.'라는 내용. 이 대사가 핵심이다. '사람이 지구환경을 파괴하고 있고 계속 사용하기만 한다. 대책이 필요하다.'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을 거고, 그 대책을 '과하게 극단적으로' 지구에 있는 사람을 모두 죽이는 것으로 설정했다. 물론 모든 사람을 죽이는 것은 잘못된 것이기는 하나 칼튼 드레이크의 입장도 있을 텐데 그 내용이 너무 적게 나온 것은 아닌가 싶다.

세 번째는 베놈이 그래서 왜 빌런이 되는가?
베놈이 스파이더 맨에서의 빌런이라고 하던데, 왜 빌런이 되는 거지? 이거는 1편이니까 그 내용까지 모두 담을 수는 없는 건가? 그다음 편에서 빌런이 되는 이유가 나오는 건가?

네 번째는 관람 연령.
15세이기는 한데 15세가 아닌 이 느낌은 뭘까? 흐음. 차라리 관람 연령을 더 낮춰서 12세로 만드는 것을 어땠을까? 초등학교 3학년이 내 조카가 보고 재미있다고 했다. 대략 10세인 내 조카가 보고 재미있다고 말하는 수준이라면... 차라리 12세로 만들어.

내가 마블 덕후도 뭣도 아니라서, 영화에 담긴 모든 내용을 모를 수도 있다.
마블 덕후가 이 영화를 본다면 뭐라고 할 지는 모르겠지만, 내 기준에서는 아무 기대도 하지 않고 즐겁게볼 마음가짐으로 간다면 재미있게는 볼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많은 사람이 예술, 그리고 그 예술을 창조하는 예술가에 대해 환상을 가지고 산다.
아마 스스로 예술을 창조하는 삶을 살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나, 단 한번도 예술을 창조했다고 생각하지 않아서일지도 모른다.
다른 면에서는 정확하게 악기를 다루거나 그림을 그리는 예술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반복작업을 한 번도 해본 적이 없었을지도 모른다.
악기를 제대로 연주하기 위해 그림을 제대로 그리기 위해 하나의 음을 연주하고 색을 칠하는데 수억번의 단순작업이 반복되는지 모르는 사람도 있다.

자코메티를 보면서 그가 하는 행동에 가끔 많은 사람이 헛웃음을 터뜨렸다. 이해할 수 없을 행동이었을 수도 있다.
미친듯이 집중해서 그림을 그리다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색을 덧칠하거나, 음식을 먹으러 가서 짧은 시간안에 음식과 와인 세 잔, 그리고 커피 두 잔을 먹어치우거나.

자코메티는 왜 예술을 한 걸까? 영화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그는 예술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자코메티의 연인(이자 불륜녀)이었던 캐롤린의 포주가 돈을 달라고 할 때, 그는 모델료를 더 주려고 했다. 1년치의 값을 치를 때(이런 문장과 어감이 싫지만), 그는 돈을 아까워하지 않았다. 그리고 말했다. 그게 더 중요하다고. 모델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그림을 그릴 때도 그랬다. 그림을 그리기 어려울 때, 더 쉬운 부분부터 그리라는 조언에 그는 어려운 부분부터 해야한다고 이야기했다. 자코메티는 그런 사람이다. 예술이 더 중요하고 어려운 부분을 먼저 하는 사람. 예술에 완성이 없다고 한 사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영화보는 것을 좋아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영화를 보는 것이 불편해졌다. 영화에 담겨있는 내용이 여성, LGBTQ, 장애인, 동물에 대하여 왜곡된 시선이 있다고 느껴졌다.
그렇지 않은 영화도 있었지만, 대다수의 영화에서 느껴지는 왜곡된 시선과 세상에 녹여져 있는 차별때문에 너무 불편했다. 영화를 볼 때마다 스트레스를 받았다.

호박과 마요네즈도 마찬가지였다. 시놉시스를 두 남자 사이에서 갈등하는 여자라는 단순하게 이해한 내 잘못이었나?

세이치가 왜 밴드를 그만두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세이치가 돈을 벌려고 하거나 다시 밴드를 하려고 마음먹기 전까지 그는 츠지다에게 빌붙어먹는 남자였다. 돈도 벌지 않고, 집안일도 하지 않고, 곡도 쓰지 않는 사람. 영화 초반, 세이치가 왜 그렇게 상처투성이의 사람이었는지 잘 모르겠다. 뭔가 이유가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이유는 나오지 않았고, 나왔다고 해도 나에게까지 와닿지 않았다.

츠지다가 세이치를 먹여살리기 위해 일을 하고 투잡으로 술집 종업원이라는 일을 선택하는 내용도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하기오. 즐거움과 재미만 쫓던 사람. 그리고 지나간 일을 기억하지 않는 사람. = 마음에 안 듬.

세이치가 츠지다에게 헤어지자고 했을 때, 그녀는 울었다. 세이치가 평범하고 츠지다만 사랑해주는 사람을 만나라고 했지만, 츠지다는 그런 사람이 어디있냐며 울었다. 츠지다가 울 때 너무나 슬펐다.

세이치도 츠지다도 하기오도 모두 싫었다. 이 감독이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이 불편했다. 그래도 츠지다가 울 때마다 슬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 서치가 개봉하기 전, 그리고 개봉한 후 많은 영화 사이트와 관련 프로그램에서 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했다.
이야기거리가 많은, 그래서 할 이야기가 많은 아주 좋은 영화이다.

인터넷과 SNS가 이전 세대보다 과다하게 발달하고 아주 과도하게 사용되며 익명이 보장되는 것 같지만, 익명이 없는 세대. 나를 숨기고 싶어하면서 드러내고 싶어하는 아주 이중적인 세상.
한국인으로 이루어졌지만 모국어가 영어인 가족.

'searching'하는 내용을 말 할 수 없다.
영화를 보는 내내 난, 인터넷에서 글을 쓰고 댓글을 다는 모든 내용이, 꾸미고 있는 모습의 단면이 진실과 사실이 아니며 왜곡되고 굴절된다고 생각했다.
왜곡되고 굴절된 내용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미 세상은 겉잡을 수 없이 돌아가고 있다. 모두가 자신의 글이 남에게 상처가 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서도 행하고 있다.
우리는 자신의 상처를 누군가 보살펴주길 바라지만 자신의 마음을 솔직하게 이야기할 사람은 적고, 너무 외롭고 슬픈  존재라는 것을 안다.

딸을 찾던 데이빗, 새벽에 호수로 향하던 마고. 모두 외로워보였다. 우리에게 세상과 연결되어있는 통로가 생겼지만 더 외로워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관객 요청으로 강제 개봉되었다는 영화 더 보이스.
영화를 보려고 했더니 상영관이 거의 없고, 상영시간도 극악이었던 영화.

영화를 보면서 사실 중반 이후까지는 제리의 상황에 공감했고, 동정심이 생길 때도 있었다.
플래시백으로 제리의 아동/청소년기가 나왔을 때는 제리도 많이 외롭고 고통스러웠을 거라고 생각했다.
영화를 보면서 제리에게 감정이입을 하고 슬펐던 기분이 엄청 더럽다는 기분으로 전환된 것은 리사를 연기한 안나 켄드릭이 죽고 연이어 앨리슨이 죽었을 때부터였다.
피오나가 죽은 것은 우연에 이은 실수였다 생각되었고 제리가 어머니를 죽이는 일은 어머니가 원했고 강제로 시켰던 일(개인적으로는 아동학대라고 생각한다.)이었다.
하지만 리사와 앨리슨을 죽인 그 순간부터 이것은 남성이 정신착란 증세를 핑계로 자신보다 약한 여성을 죽이는 일이라고 밖에 생각되지 않았다. 새로운 여성 혐오 영화인가?

게다가 영화 끝에서 제리가 죽인 여성(피오나, 리사, 앨리슨)과 제리가 예수와 함께 노래를 부를 때, 예수는 왜 거기서 나와?
가해자와 피해자가 즐겁게 웃으며 Happy song 노래를 부르며 춤추는 것을 보니, 이 영화는 뭐지? 싶기도 하고.

단지, 감독이 조현병(정신분열)에 대해 최대한 편견없이 영상을 찍으려고 한 것 같았다. - 주인공인 살인만 안 했다면 더 좋았을 텐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