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소한 풍경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4월
평점 :
'생의 어느 작은 틈은 검푸른 어둠에 싸여 있다. 이 이야기는 그러므로 비밀이다.' 라는 띠지의 문구가 소설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내는데 프롤로그의 ' "소소한 풍경"의 화자는 ㄱ이다' 라는 첫 문장에 의문부호를 하나 더 추가하게 된다.'ㄴ과 ㄷ의 이야기를 화자인 ㄱ에게서 듣는다.' 등장인물이 남자1호,그리고 집주인 ㄱ과 더플백을 메고 온 남자 ㄴ 그리고 연변에서 온 아가씨인가 했는데 탈북녀인 ㄷ이다. 그들의 이야기를 소설가가 화자가 되기도 하고 데스마스크의 주인인 ㄴ이 그리고 ㄱ이 이끌어 가기도 하는 독특한 구성의 소설이다. 소설을 읽다보면 작가마다 선호하는 플롯이나 트릭이 있고 이번 소설은 어떻게 풀어냈을까 궁금한 것이 독자의 몫이기도 하지만 이 소설은 정말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선인장은 잎이 가시거든요.전 가시가 좋아요.그래서 선인장을 기르지요."
저자의 소설은 <은교> 이후로는 오래간만이다.<은교>라는 소설도 놀라웠는데 이 소설 또한 놀랍다고 해야하나.저자의 소설로는 <촐라체>나 <나마스테>가 오래도록 여운이 남아 다른 소설들이 조금 덜 들어 오기도 했는데 <소소한 풍경>의 먹먹함에 또 한참 그 기억속에 머물 듯 하다. 아픔을 가진 사람들,아니 결핍을 가진 자들의 사랑은 어떨까? 사랑은 사랑으로 치유된다고 했던가. 소설속에 ㄱ,ㄴ,ㄷ은 모두 결핍을 가진 이들이다. 등장인물 ㄱ은 어린시절 오빠의 죽음을 간직하고 있으면서 대학 첫 수업에서 만난 남자와 결혼과 동거로 이어졌지만 그야말로 동거로 끝난 불행한 시간을 보내고 부모님이 포도밭을 일구시던 소소로 돌아간다. 부모님 또한 오빠처럼 그렇게 일찍 그녀의 곁을 떠나고 그녀 곁엔 아무도 없다.그런 그의 집에 삽으로 우물을 파겠다는 ㄴ이 오고 그 뒤를 이어 ㄷ이 무거운 가방을 이끌고 들어오게 된다.모두 아픔을 간직하고 마음 한구석 가족에게 혹은 사람에게 사랑의 결핍을 가진 이들이다.그들이 소소에서 한덩이리가 되어 서로 사랑하고 사랑 받는 자가 되어 그들만의 비밀을 간직하며 그야말로 소소하게 살아가는 풍경을 자아낸다.
그런데 '시멘트로 뜬 데스마스크'가 등장하게 되고 그들이 이루어냈던 덩어리가 결코 소소하지 않음이 드러나게 된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내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라는 어느 시인의 싯귀처럼 그들의 이름을 부르기 전에는 그저 평범함에 그쳤던 이들의 삶이 하나 하나 부표처럼 물 위로 떠 올라 데스마스크 속에 숨겨진 자신의 이름이,자신의 삶이 무엇인지 이야기 한다.어떻게 보면 그들의 동거는 비정상적이며 한 캔버스 속에 들어갈 수 없는 재료들 같은데 왜 그들은 하나의 덩어리가 되어 서로의 결핍을 채웠던 것일까? 오빠의 죽음에 이은 부모님의 죽음으로 세상에 홀로 떨어지게 된 ㄱ의 결핍을 채워주지 못한 남자1호,ㄱ은 남자1호에게 어제 신다 버리는 운동화보다 못한 삶일지 모르지만 ㄴ에게는 더없이 공감을 나누고 마음을 채워줄 수 있으며 눈빛만 봐도 아니 쳐다보지 않아도 서로 무엇을 하고 있는지 느낄 정도의 서로 거울과 같은 존재가 된다.그들 사이에 끼어 든 ㄷ이라는 존재는 그들을 밀어내기 보다는 사이에 끼어 함께 뭉쳐 덩어리로 거듭난다.정말 이상한 조합이지만 그들은 서로 사랑하고 사랑 받으며 나르시시즘에 빠지듯 서로의 모습에서 자신을 발견하듯 하나의 덩어리 속에 위험하게 빨려 들어간다.
'무슨 다급한 일이 있었는지 교문 쪽을 향해 뛰다시피 걷는 남자의 뒷모습은 햇빛 속이라서,그냥 흰빛이다. 오빠의 유골처럼.'
ㄱ에게는 ㄴ혹은 ㄷ이 사랑의 마중물과 같은 존재라면 ㄴ에게는 ㄱ이 혹은 ㄷ이 마중물과 같은 존재이고 ㄷ에게는 ㄱ과 ㄴ이 또한 마중물과 같은 존재가 되어 서로의 우물 속의 깊이 깊이 빠져 들게 된다. 그들의 덩어리가 위험하다고 어느 순간 터져버릴 것만 같은 풍선과 같은 느낌을 받고 있으면서도 그들의 이야기에 빠져 들어가게 되는 것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점점 알 수 없는 마법의 나라 속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여행하게 토끼를 찾아 여행하는 것처럼 그들의 비밀의 빗장을 자꾸 풀어봐야 할 것만 같은 느낌 속에서 허우적 거리게 된다.그렇다면 ' 시멘트로 뜬 데스마스크'의 주인은 살해 된 것일까? 아님 자살일까? 아니 살아 있었을까? 왜 그의 죽음을 확인도 하지 않고 우물을 메웠어야 했을까? 소설의 시작은 장르소설 같은 느낌이 든다. 연신 '데스마스크'에 집중하게 되어 범인을 찾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되는데 ㄴ을 죽음으로 몰고 간 범인이 있을까.
'손가락 하나가 버튼을 눌러 세탁기는 다시 돌아가고,손가락 하나가 버튼을 눌러 나 역시 우물 속 숨겨진 물길 따라 아주 자연스럽게 나의 세탁기 안으로 흘러내려갔답니다. 오랫동안 꿈꾸던 그 세례의 길로요.'
문득 결핍의 끝은 어디일까라는 생각을 가져본다. 처참하도록 인내해야 했던 그들의 결핍이 한순간 소소에서 사랑이라는 사랑 받을 수 있다는 존재로 거듭나면서 순간 어둠속에 있을 것만 같은 '비밀의 길'을 찾아 떠나야 했던 슬픈 나르시스 같은 삶 그리고 죽음,그가 남긴 마지막 자신의 존재는 모두의 삶을 다시금 재조명 해보게 만든다.풍경 속에는 아름다운 삶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결핍도 사랑도 죽음도 존재한다는 것을,그것이 우리네 삶의 한 단면인것을 보여주는 듯 하여 허망하면서 먹먹하다.유독 내 자신에게만 닥친 것과 같은 깊은 슬픔,그러나 어느 삶에나 다 존재한다는 것을.ㄱ의 인생에도 ㄴ의 삶에도 그리고 ㄷ의 아름답고 청아한 웃음 속에도 존재한다.끄집어내지 못하고 우물 속에 갇혀 있는 슬픔일 뿐이지 누구에게나 한줄기 결핍과 슬픔의 우물은 존재한다.그것을 퍼 내거나 메우는 것은 자신의 문제이다.과거의 아픔으로 얼룩진 상흔을 꾹꾹 밟고 일어나 훌훌 털고 전진 할 수 있는 것은 자신이다. 지금 우물 속 자신의 모습을 향해 뛰어 들지 못하는 것은 행복해서 웃는 것이 아니라 웃어서 행복을 만드는 것과 같은 아직 퍼내지 않은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ㄴ의 죽음을 논하기 보다 자신의 삶을 찾아 떠난 ㄱ의 행보에 우물안을 벗어나 파란 하늘아래 놓인 것과 같은 개운함으로 소설을 놓을 수 있음이 다행이다.
소설 <은교>도 파켝이었다면 파격인데 <소소한 풍경> 또한 파격이라 할 수 있을 듯 한 삶과 죽음이다.읽고 잊어버리면 그만인데 '시멘트로 뜬 데스마스크'처럼 어느 순간 불쑥 떠오를 것만 같은 느낌이 들고 좀더 깊게 빠져들면 선인장의 가시에 찔릴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소설 <나마스테>에서는 '세상이 화안해져요'라는 문장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는데 이 소설에서는 기억에 남는 문장들이 많다. "나는 불완전한 인간이에요!" '고독은 정적의 알집이다.' '방문하기엔 좋지만 체재하기엔 불편한 장소가 정적이다.''그해 겨울, 플롯에서 비어져 나온 또 다른 풍경이다.' '육체란 본래 멍청해서 그 어떤 영광도 알아보지 못한다.' 우물에는 비밀이 있다고 오랫동안 생각했어요.' 그만의 한문장이 따로 떨어져 나와 좀더 깊이 있는 느낌을 준다.그리고 감성의 골을 후벼판다.그의 소설에 좀더 독하게 달려들라는 말처럼 그의 언어는 긴 메아리가 되어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