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견새 울고
울다가 또 날다가
분주하다 - P104

취해 잠들리
패랭이꽃 피어난
바위에 누워 - P105

여름 장맛비
한밤중에 물통 테
터지는 소리 - P106

나팔꽃은
솜씨 없이 그려도
애틋하다.
- P107

절에서 자니
참된 얼굴이 되는
달구경 - P108

객지 잠 자면
내 시를 이해하리
가을바람 - P109

고개 쳐드는
국화 모습 어렴풋
비 내린 뒤에 - P140

야위었지만
어쩔 수 없이 국화는
꽃을 맺었네 - P111

소리 투명해
북두칠성에 울리는
다듬이질 - P112

무엇이든지
손짓해 부르다 만
참억새풀 - P113

여행자라고
이름 불리고 싶어라
초겨울 비 - P114

교토까지는
아직 절반의 하늘
눈 머금은 구름 - P115

별의 마을
어둠을 보라는가
우는 물떼새 - P116

겨울날의 해
말 위에 얼어붙은
그림자 하나 - P117

날이 추워도
둘이서 자는 밤은
든든하여라 - P118

걱정한 대로
황폐하기 그지없는
서리의 움막 - P119

먼저 축하하라
마음속 매화를한
겨울 칩거 - P120

약을 먹는다
그렇지 않더라도
서리 내린 베개 - P121

재미있게도
눈으로 변하겠지
겨울비 - P122

자, 그럼 안녕
눈 구경하러 가네
넘어지는 곳까지 - P123

향기를 따라
매화 찾다 보았네
곳간 처마 끝 - P124

객지 잠 자며 보네
덧없는 세상의
연말 대청소 - P125

고향에 와서
탯줄을 보고 우는
한 해 저물녘 - P126

손으로
코 푸는 소리
매화는 한창 - P12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ne of the proudest moments of my childhood was the time I recited a longpoem for the Christmas program at school. When I was in elementaryschool, every year the school put on a program at Christmas time, When Iwas about eight years old, the teacher asked me to memorize a very longpoem. I was really excited because I loved to memorize and recite in frontof a group. I worked hard to learn the poem.

길라잡이
 reciting in front of a group (to) recite in front of a group
 타동사(Loved)의 목적어로서의 to  부정사의 병치 문제이다.
어구 . recite : 낭송하다, 암송하다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 P4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들판의 해골 되리라
마음 먹으니
몸에 스미는 바람 - P66

길가에 핀
무궁화는 말에게
뜯어 먹히고 - P67

난초향 난다
나비의 날개에다
향을 스민듯 - P68

손에 잡으면 사라질
눈물 뜨거운
가을의 서리 - P69

이슬 방울방울
시험 삼아 속세의 먼지
씻고 싶어라 - P70

죽지도 않은
객지 잠의 끝
가을 저물녘 - P71

날 밝을 녁
흰 물고기의 흰 빛
한 치의 빛남 - P72

달과 꽃을
아는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주인들 - P73

겨울 찬 바람
이 몸은 돌팔이 의사
닮아 가누나 - P74

바다 저물어
야생 오리 울음
어렴풋이 희다 - P75

봄이 왔다
이름도 없는 산에
옅은 봄 안개 - P76

저 떡갈나무
꽃에는 관심 없는
의연한 모습 - P77

산길 오는데
왠지 마음 끌리는
제비꽃 - P78

두 사람의 생
그 사이에 피어난
벚꽃이어라 - P79

나비 날 뿐
들판을 가득 채운
눈부신 햇살 - P80

흰 양귀비에
날개를 떼어 주는
나비의 유품 - P81

모란 꽃술 속에서
뒷걸음질 쳐 나오는
꿀벌의 아쉬움 - P82

여름에 잎은 옷
아직까지 이를 다
잡지 못하고 - P83

구름이 이따금
달구경하는 사람들에게
쉴 틈을 주네 - P84

곧 운 좋은 사람의
숫자에 들겠구나
노년의 세밑 - P85

자세히 보니
냉이꽃 피어 있다
울타리 옆 - P86

오래된 둥지
그저 적막할밖에
이웃이 없어 - P87

땅에 떨서져
뿌리에 다가가니
꽃의 작별 - P88

동쪽과 서쫀
느낌은 하나
가을바람 - P89

둥근 보름달
연못 둘레 도느라
밤이 새도록 - P90

맹인이라고
사람들이 여기는
달 바라보기 - P91

가진 것 하나
나의 생은 가벼운
조롱박 - P92

물은 차갑고
갈매기도 쉬이
잠들지 못하네 - P93

첫눈 내리네
다행히 오두막에
있는 동안에 - P94

첫눈 내리네
수선화 잎사귀가
휘어질 만큼 - P95

불을 피우게
좋은 걸 보여 줄 테니
눈 뭉치 - P96

물 항아리 터져
한밤중 빙결에
잠을 깸이여 - P97

술을 마시면
더욱더 잠 못 드는
눈 내리는 밤 - P98

달과 눈을
뽐내면서 살아온
한 해의 끝 - P99

주인 없는 집
매화조차 남의 집
담장 너머에 - P100

잊지 말게나
덤불 손 피어 있는
매화꽃을 - P101

유별나구나
향기도 없는 풀에
머무는 나비 - P102

작은 새끼 게
발등 기어오르는
맑은 물 - P10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최인호. 산으로 내가 갈 수 없으면 산이 내게 오게 할 수밖에(산중일기)

출생1945. 10. 17. 서울특별시, 사망2013. 9. 25.
학력 연세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1985년 잃어버린 왕국 발표부터 역사를 소재로 한 소설을 많이 썼다. 그 전의 작품들은 별들의 고향 하나 읽어 봤지만 내 취향은 아니다. 영화로도 많이 만들어 졌고 대중적, 저질, 통속문학이라는 비평이 많다. 그래선지 잃어버린 왕국 이후론 그런 성향의 작품이 보이지 않고 내 취향의 작품이 많다.
2008년 고령의 지산동 고분으로 기억한다. 최인호가 고분에 누워 가야의 바람을 맞으며 가야의 하늘을 보고 있다. 제4의제국 가야 다큐멘터 첫 장면이다. 최인호의 역사 추적. 이때부터 최인호에 빠져 그의 역사소설들을 읽기 시작했고 그의 소설들은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
다만, 유림, 이황의 단양군수 시절 관기인 두향과의 관계 서술부분에서 작가의 역사인식에 실망.
근데 첫 작품인 잃어버린 왕국을 아직도 읽지 못했다.
아이러니다.ㅠㅠ
드라마도 상도 임상옥, 해신 장보고
해신 장보고는 소설과 내용이 너무 다르다. 최인호 해신이 원작이라지만 완전 다른 작품이라...

☆ 임상옥과 홍경래 http://naver.me/xev83k4c
☆ 상도 http://naver.me/5i9fEoNk
☆ 홍경래 평서대원수, 혁명아, 천하제일왕
http://naver.me/5thxya8f
☆ 박기풍 홍경래의 난(?) 진압
http://naver.me/xsUO0auU
우군칙 http://naver.me/FPuvx1lS
홍총각 http://naver.me/FUGJd4jX
김창시 http://naver.me/FtYerEW1

♧ 읽은책 24 📚
상도 3
해신 3
길없는길 4
제4의제국 3
제왕의문 2
유림 6
별들의 고향 2
산중일기

♧ 읽어야할 책 12 📚
잃어버린왕국5
지구인3
가족2
인연
천국에서온 편지...가지고 있는 책 여기까지만 읽자


☆ 홍경래의 난. 변태섭 한국사 통론 362~363p

이러한 농민층의 저항은 마침내 민란으로 발전하였다. 이미 세도정치가 시작된 직후인 1800년(순조 즉위년)에 경상도 인동에서 60여명의 농민이 관아를 습격한 사건이 발생한 것을 비롯하여 1808년 이후로는 함경도 단천·북청과 개성·춘천 등지에서 이러한 사건이 계속 일어났으니, 이는 조선사회의 모순이 농민의주체적 항쟁으로 표출된 것이었다. 그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1811년(순조11)에 평안도에서 일어난 홍경래의 난이었다. 이 난은 그 규모나 성격에 있어서 단순한 민란의 단계를  벗어나 농민전쟁으로 발전한 것이었다. 
몰락 양반인 홍경래·禹君則·李禧著(희저)·金昌始 등의 지도 하에 영세농 등 몰락농민을 기본 구성원으로 하고 여기에 광부·일용노동자·뱃사공 등이 가세하여 봉기한 것이었다. 이들은 처음 嘉山에서 난을 일으켜  곽산 · 박천 · 정주 · 태천 · 선천 · 철산 ·용천 등 7개 고을을 점령하였지만 곧 정부군의 반격에 의해서 만 4개월만에 진압되었다.

홍경래의 난은 진압되었지만 그렇다고 그 원인인 사회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이 난의 구성원은 당시의 사회변동에 의해서 배출되고 그 속에서 피해를 받는 계층들이었으니, 몰락 양반·상인·광산경영자 · 임노동자, 그리고 농민등 모두가 그러하였다. 세도정치의 부패와 특권 어용상인에 대한 반발, 그리고지주제에 대한 부정 등이 이들의 사회의식을 고양시키고 투쟁의 대열에 서게 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만연되어 있었으므로 따라서 민란은 이후에도 각지에서 계속 일어나게 되었다.
홍경래의 난이 진압된 이후 제주도 · 용인 · 전주 등지에서 민란이 계획 되었다가 사전에 발각당한 사건이 계속 일어났다. 또한 1833년(순조 33)에는 서울에서 미곡상과 관리들의 농간으로 쌀값이 폭등하자 영세 시민들이 폭동을 일으킨사건이 일어났고 1841년(헌종 7)에는 경주의 농민 수백명이 서울까지 올라와환곡의 부정을 고발하는 복합상소(대궐 앞에 엎드려 올리는 상소문)를 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도시민이나 농민들의 동향은 적극적인 항거의 방향으로나아가고 있었으니, 이제 민란은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밖에 없었다.

☆ 박기풍(朴基豊)

조선후기 황해도병마절도사, 평안도병마절도사, 좌우포도대장 등을 역임한 무신.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여유(汝有).
부사 박성(朴聖)의 아들이다.

1777년(정조 1) 무과에 급제, 1780년에 선전관이 되었고, 1800년(순조 즉위년) 함경북도절도사, 1807년 황해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1811년 홍경래(洪景來)의 난이 일어났을 때 도총부부총관으로 양서순무중군(兩西巡撫中軍) 겸 선봉장이 되어 청천강 이북의 각 고을을 회복하였다.
이듬해 평안도병마절도사를 겸하여 정주성을 네번이나 공격하여 전세는 유리하였으나 박기풍의 성격이 유약하여 규율을 잡지 못하고 모두 실패하였으므로, 홍문관의 탄핵을 당하고 그 대신 유효원(柳孝源)을 교대하여 마침내 파성하게 되었다.
그 뒤 1813년 좌포도대장·경상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815년 이후 좌우포도대장, 1821년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1823년 좌우포도대장을 역임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박기풍(朴基豊))]


댓글(4) 먼댓글(0) 좋아요(3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22-04-02 13:36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골동품 서적이네요. ^^
대장정님 서재의 대장정은 어디까지일까요.
가족 앞모습 뒷모습 참 좋습니다.
고령 지산동 고분 위에 누운 최인호 작가 다큐는 보지 못했지만 2006년 갔었던 기억이 납니다. 고분길에 개망초 만개했었지요. 순장묘를 보며 상상의 나래를 펼쳤던 기억도요.
봄날입니다. ~

대장정 2022-04-02 15:00   좋아요 3 | URL
ㅎㅎ 😂 안버리고 쟁여놓다 보니 이리됐네요. 같이사시는분께선 다 읽은책은 제발 정리하라는데 그게 안되네요. 쬐끔 더 있습니다 ^^ 오전 아내와 산책다녀왔는데 봄꽃이 이제 활짝 피기시작했네요 날이 너무 화창하고 좋습니다. 즐거운 휴일되세요~~☆☆

쎄인트saint 2022-04-02 21:3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저는 지구인(3)은 읽었는데...유림(6)은 진작 구매해놓고..아직 책등만 바라보고 있습니다. 포스팅 올리신 글 보니...곧 읽어줘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올해 안에...

대장정 2022-04-02 22:24   좋아요 2 | URL
ㅎㅎ 저도 읽어야할 책 12권은 언제 산지도 모를만큼 오래됐어요ㅠㅠ항상 언능 읽어야지 생각만 굴뚝 같아요~~☆☆
 

꽃의 얼굴에
주눅이 들었구나
어렴풋한 달 - P22

꽃 아래서도
열 수 없어 슬프다
시의 주머니 - P23

파도의 꽃은
눈이 물로 돌아와
늦게 피는 꽃 - P24

안쪽 깊은 산
밖에서는 모르는
꽂들이 만발 - P25

여름 장맛비
깊이 재며 내리네
늘 건너는 강 - P26

꽃은 싫어라
사람의 입보다
바람의 잎이 - P27

말하는 사람마다
입속의 혀
붉은 단풍잎 - P28

바라보다가
나도 꺾어지겠네
여랑화꽃은 - P29

구름 사이에
벗이여 기러기 잠시
생이별하네 - P30

기다리지 않았는데
채소 팔러 오는가
두견새 - P32

가을 왔다고
내귀를 방문하는
베갯머리 바람 - P33

나무 자르니
밑동이 보이누나
오늘밤의 달 - P34

너무 울어
텅 비어 버렸는가
매미 허물은 - P35

나무 끝에서
덧없이 떨어지네
매미의 허물은 - P35

색 묻어난다
두부 위에 떨어진
옅은 단풍잎 - P36

서리를 입고
바람을 깔고 자는
버려진 아이 - P67

망우초 꺾어
나물밥 얹으리
한 해 끝 무렵 - P38

야, 아무렇지도 않네
어제는 지나갔네
복어 국 - P39

네덜란드 인도
꽃에 이끌려 오네
말 위에 안장 - P40

대합 조개가
입을 다물고 있는
무더위 - P41

바라볼수록
바라보면 볼수록
인생의 가을 - P42

서리 밟으며
절룩거릴 때까지
배웅했어라 - P43

눈 내린 아침
파만이 채소밭의
유일한 표시 - P44

거미여 무슨
음을 무어라 우나
가을바람 - P46

오두막에서 마시는 차
나뭇잎 긁어다 주는
초겨울 찬 바람 - P47

마른 가지에
까마귀 앉아 있다
가을 저물녘 - P48

여름 장맛비
학의 다리가
짧아지네 - P49

의지할 곳은 언제나
잎사귀 하나
벌레의 노숙 - P50

어리석게도
어둠 속 가시 잡은
반딧불이 - P51

한밤중 몰래
벌레는 달빛아래
밤을 뚫는다 - P52

외로움을
물으러 오지 않겠나
오동잎 한 잎 - P53

어디서 겨울비 내렸나
우산 손에 들고
돌아온 승려 - P54

눈 내린 아침
홀로 마른 연어를
씹어 먹는다 - P55

물풀에 모인
흰 물고기 잡으면
사라지겠지 - P56

나팔꽃 보며
나는야 밥 먹는
사나이 - P58

오두막에서
나는야 여뀌 먹는
반딧불이 - P58

일어나 일어나
내 친구가 되어줘
잠자는 나비 - P59

웃어야 하나 울어야 하나
나의 나팔꽃
시들어 갈 때 - P60

달은 보름 전날
오늘 밤 서른아홉 살
어린아이 - P61

봄의 첫날
생각하면 쓸쓸한
가을의 끝 - P62

싸락눈 듣네
이 몸은 본디
늙은 떡갈나무 - P63

두견새 운다
지금은
시인이 없는 세상 - P6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