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1월 9일 기사에 따르면, 무슨 까닭인지 모기장도 있었다고 한다. 모기장을 높은 값에 밀매하는 국제범죄 조직이 있을 리는 없으므로, 그 물건이 모기장이라는 데에 특별한 의미는 없다. 즉, 이 배에는 아무 짝에도 쓸모없는 쓰레기 148톤이 정성스럽게 포장된 채 여러 인물의 관심을 받으면서 아주 중요한 거래를 하는 것마냥 운반되고 있었다는 이야기다.
1960년대 후반 한국에서는 수출 주도의 경제성장이 가속화되면서, 정부가 수출 기업에 대해 여러 혜택과 정책적 지원을 보장하고 있었다. ‘수출 보국輸出報國’, 즉 국산 제품 수출이야말로 나라에 대한 충성의 길이라는 용어가 유행할 정도로 수출을 강조하던 때였다.
1950년대 후반, 도시의 사회적 약자였던 17세 여성이 죽음을 맞기 전까지 그 주변에 나타났던 위협은 지긋지긋할 정도로 갖가지 방향에서 계속해서 이어졌다. 그런 상황이 몇 날, 몇 달간 이어지는 와중에도 치안 당국이 결국 피해자를 보호하지 못했다는 점은 사건 수사 과정에서 보인 미흡함보다도 더욱 부끄러워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사건이 일어난 지 60여 년이 지난 지금, 그날의 사건 현장은 완전히 변해 서울의 여느 다른 지역처럼 아스팔트 도로와 아파트 단지가 가득한 곳이 되어 있다. 보육원도 소나무밭도 그 흔적조차 찾기 어렵다. 적어도 그 모습이 바뀐 만큼은 사회의 문화도 같이 바뀌었기를 바란다.
작업은 그날 밤 11시까지 계속되었지만, 보물을 찾을 수는 없었다. 깨진 그릇 조각 몇 개가 더 나올 뿐이었다고 한다. 그때까지 땅을 파고 들어간 깊이는 3미터 60센티미터였다. 『경향신문』 9월 27일 기사에서는 강씨가 작업 포기를 결심한 후 "쥐구멍이라도 있으면 들어가고 싶습니다. 이런 망신이 어디 있죠?"라고 말했다고 되어 있다. 그러면서도, 그래도 지난 7년 동안의 궁금증은 사라지게 되어 후련하다고도 했다.
60여 년의 세월이 다시금 흐른 지금, 보물찾기 일행이 흙을 파냈던 자리에는 근사한 옷 가게가 입점한 큼지막한 건물이 들어섰다. 보물이 있든 없든 60여 년 동안 명동의 땅값은 무섭게 상승해 지금은 1제곱미터 넓이의 가격이 무려 1억 원을 훌쩍 넘게 되었다. 그 때문에 그 자리에 들어선 건물의 가격은 이미 100억 원을 초과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니 고작 20억 원 가치의 보물을 위해 건물을 포기하고 그 지하를 파 내려갈 사람은 당분간 다시 나타나지 않을 듯하다.
‘폴터가이스트poltergeist’라는 독일어 단어는 ‘시끄럽게 하다poltern’와 ‘혼령geist’의 합성어로, 보통은 집 안에서 접시나 장난감 따위가 이유 없이 떨어지거나 의자나 가구가 저절로 움직이는 것 같은 이상한 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집에 귀신이 들려서 이런 일이 발생한다는 식의 이야기가 따라붙기도 하는데, 한국에서는 <폴터가이스트>(1982년)라는 할리우드 영화 때문에 이 단어에 익숙한 사람이 많지 않을까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