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케임브리지 시 한가운데 시원하게 펼쳐진 파커스 피스 한쪽에는 이곳이 축구 규칙이 태어난 곳임을 알리는 기념비가 세워졌다.

기념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생들이 만든 규칙이 새겨져 있다. 또한 ‘축구’를 뜻하는 세계 각 나라의 언어가 기념물을 장식한다. 케임브리지 대학교는 숱한 학자와 위인들을 배출했지만, 이 학교 학생들은 학문과 상관없는 스포츠 발전에도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의 작은 나라 포르투갈이 아프리카, 아메리카, 인도, 아시아의 해안을 지배하는 해상 제국으로 부상한 15세기 말. 수도 리스본Lisboa에서는 이제껏 유럽 어느 나라에서도 본 적 없던 신기한 장터가 열렸다.

부둣가에서 멀지 않은 도시 한복판, 펠로리뉴Pelourinho(형틀) 광장. 구매자들이 어슬렁거리며 살 ‘물건’을 살펴본다. ‘물건’들은 꿈틀거린다. 네 발 달린 짐승들? 아니다. 꼿꼿하게 두 발로 서서 앞을 응시하는 인간들이다. 벌거벗은 몸, 늠름한 몸매, 검은 피부. 이들의 손과 발에는 쇠사슬이 채워져 있다. 각 사람의 목에는 헝겊 조각 같은 것이 걸려 있다. 양피지에 적어 놓은 ‘가격표’이다.

크레모나Cremona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주의 도시 중에서도 결코 큰 편은 아니지만 바이올린의 세계에서만은 홀로 우뚝 솟아있는 거봉이다. 크레모나가 바이올린의 성지가 된 것은 과르네리Guareri와 스트라디바리Stradivari(라틴어로 스트라디바리우스Stradivarius)라는 두 현악기 명장의 가문이 크레모나 출신으로 이곳에서 활동했기 때문이다.

지중해 푸른 바다를 바라보는 모나코Monaco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작은 국가다. 면적이 2.1제곱킬로미터에 불과하다. 서울 여의도의 면적도 채 안 되는 크기인 데다 여의도처럼 고른 평지도 아니다.

이 좁은 나라는 모든 이에게 활짝 문이 열려 있다. 돈만 있으면 얼마든지 부동산을 취득할 수 있다. 집값이 좀 비싸긴 하다. 평균 1제곱킬로미터당 10만 유로로, 한국 돈으로는 1억 3~4천만 원이다. 그러나 부자들에게는 이보다 더 좋은 나라가 없다. 소득세는 한 푼도 내지 않는다.

그러면 국가를 어떻게 운영할까? 이 나라 재정의 비밀은 이름 하나에 담겨 있다. 몬테카를로 카지노Casino de Monte Carlo.

몬테카를로 카지노. 세계 어디에서 어떻게 벌었는지 알 수 없는 거액을 물 쓰듯 하는 외국 손님들만을 위한 이 도박의 성전은 다른 이들에게는 몰라도 그리말디 가문에게는 무한한 축복이다. 카지노 덕에 소득세를 안 내는 모나코 시민들에게도 복덩어리임은 분명하다.

뤼베크에 남아 있는 것은 한 위대한 작가의 자취만은 아니다. 돈을 벌되 돈의 노예가 되지 않고, 인간에 대한 신용과 하느님에 대한 신앙이 상업을 지탱했던 자랑스러운 전통이 그 도시에 서려 있다.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한 달 넘게 스페인 북쪽 도시 산티아고Santiago까지 매일 걷고 또 걷는 오늘날의 ‘순례자’ 대부분은 일반 관광객이다. ‘카미노 데 산티아고Camino de Santiago’, 산티아고로 가는 길이 관광 상품이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 1985년만 해도 불과 690명만이 그 길을 완주했으나 2017년부터는 그 수가 30만 명을 넘었다. 천 년 넘는 세월 동안, ‘카미노 데 산티아고’는 관광객이 아니라 ‘순례자’의 발길을 안내했다.

‘산티아고’는 도시이자 한 사람의 이름이다. 인종은 유태인, 원래 이름은 ‘야고보Jakobus’. 2천 년 전에 팔레스타인 지방에서 활약한 예수의 제자로, 예수의 복음을 전하다 죽임을 당했다. 최초의 순교자 중 한 명인 그는 일찍이 성인으로 추앙되었다. 라틴어 ‘성 야고보’(스페인어로는 Sant Iago)가 스페인 토착어로 변하며 ‘산티아고’가 됐다.

주교가 왕에게 이 사실을 알리자 왕도 와서 직접 눈으로 확인했다. 그리고 즉각 거기에 교회를 지을 것을 명령했다. 교황도 이 소식을 듣고 지체 없이 기적임을 인정했다. 귀한 성인의 시신을 찾는 데 별빛이 결정적으로 기여했기에 산티아고의 지명에는 ‘별의 들판’이라는 뜻의 ‘데 콤포스텔라de Compostela’가 덧붙는다.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는 중세 유럽인 사이에서는 기독교 문명권의 3대 순례지 중 하나로 꼽혔다. 다른 두 성지는 예루살렘과 로마. 둘 다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대도시다. 반면에 산티아고는 오로지 성 야고보의 시신 덕분에 생겨난 소도시로, 엄청난 영예가 아닐 수 없었다.

‘비첸차Vicenza’라는 도시의 이름은 한 인물의 이름, 안드레아 팔라디오Andrea Palladio(1508~1580)와 떼어놓을 수 없다. 그가 남긴 건물들은 이 도시가 자랑하는 문화 자산이다.

비첸차 시내와 외곽에 흩어져 있는 23개의 팔라디오 건축물을 감상하려면 장시간의 산책을 각오해야 한다. 눈이 즐거우려면 발의 협조가 필수적이다. 건물과 건물 사이를 이동할 때뿐만 아니라 건물에 도착해서도 마찬가지다.

여럿이 모여 공 하나를 차는 놀이를 영국에서는 중세 시대부터 ‘축구football’라고 불렀다. 정확한 규칙은 알려진 바 없으나 이 ‘축구’는 일종의 민속놀이로, 마을과 마을이, 도시의 한 동네와 다른 동네 사람들이 집단으로 대결하는 경기였다. 공놀이는 쉽게 패싸움으로 변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커피 한 잔의 맛은 뜨거운 물과 뜨겁게 볶은 원두가 합작해서 만들어낸다. 차는 잎을 말리기만 하면 되지만, 커피 원두는 최소 섭씨 200도에서 최대 섭씨 280도까지 강한 불에 볶아야 한다. 센 불에 익어 까맣게 변신하지 않은 녹색 커피 원두는 푸석푸석한 푸성귀 맛밖에는 나지 않는다.

에티오피아Ethiopia 사람들이 즐기던 커피가 16세기에 오스만 제국Ottoman Empire의 본부인 터키Turkey로 유입된다. 오스만 제국은 무슬림 제국. 술은 공식적으로 금지되어 있다. 알코올이 차단된 제국의 백성들에게 커피는 강렬한 기호 식품으로 퍼져나간다. 통치자들은 처음에는 커피를 금지하기 위해 맹렬한 조치들을 취했다. 커피 가게에 평민들이 모여서 나랏일에 대해 떠드는 꼴을 두고볼 수 없었기 때문이다.

터키 사람들은 무슨 일이 있어도 커피는 반드시 마셔야 했다. 전쟁에 나갈 때도 병사들의 사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커피를 두둑이 챙겨가야 했다.

오스만 제국과 합스부르크 제국은 오랜 원수. 서로 영토가 닿아 있고 종교가 달랐으니 싸우지 않을 도리가 없었다. 1683년에는 터키군이 합스부르크 제국의 수도인 빈 문턱까지 진격한다. 이들은 화약통 곁에 커피 자루를 높이 쌓아놓았다. 연일 대포로 빈의 성벽을 가격했으나 적은 항복할 조짐을 보이지 않는다. 답답한 병사들은 커피로 무료함을 달랬다.

교회 안에서 불온한 집회가 열리고 있음은 익히 알고 있었다. ‘평화의 기도 모임’을 한다며 반동분자들이 거기서 모인 지는 벌써 여러 해됐다. 집회가 끝나고 교회 문이 열린다. 그런데 이날따라 안에서 나오는 인원이 평소보다 많다. 대략 7천에서 8천 명? 놀랍기는 하나 어느 정도 예상했던 상황이다.

라이프치히는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1483~1546)가 개신교 종교 개혁을 일으킨 작센Sachsen 지방에서 가장 번화한 도시였다.

20세기 역사상 가장 감동적인 정치 혁명의 진원지 니콜라이 교회는 18세기 초, 감동적인 교회 음악을 수없이 창조해낸 한 거장이 활동하던 곳이다. 그의 이름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1685~1750).

코린토스 Korinthos (코린트)가 위치한 코린토스 지협을 가로지르는 직선거리는6.3킬로미터밖에 안 된다. 이 좁은 지협은 양편의 두 바다, 사로니코스만과코린토스만을 연결해준다. 고대 그리스시대에는 여기에 육로 디올코스Diolkos를 건설해 배를 끌어서 반대편 바다에내려놓았다.

아프로디테의 고유 영역은 성적 욕구와 섹스. 코린토스항에 정박하는 배들에는 성욕이 들끓는 사내들이 넘쳐났다. 선원과 상인 외에도 순전히 섹스 관광이 목적인 자들도 많았다. 이들이 코린토스에 도착하면 언덕 위에 하얀 대리석으로 아름답게 지어놓은 아프로디테 신전부터 눈에 들어왔다. 그곳은 이도시의 섹스 산업을 주도하고 관리하는본부였다.

기원전 1세기에 지중해 지역을 두루두루 여행했던 그리스인 지리학자 스트라본Strabon(B.C.64?~A.D.23?)은 언덕 위 신전에서 1천 명 정도의 ‘여사제’가 ‘신도’들을 맞이했다고 기록했다. 이들이 여신을 섬기는 방식은 ‘신도’들과 성관계를 맺는 것이었다. 스트라본이 분명히 밝히지는 않았지만, ‘섬김’의 장소가 신전 내부는 아니었다. 아크로코린토스에서 발굴한 신전 터는 그다지 크지 않다. 여사제들이 열성 신도들을 맞이할 시설도 발견되지 않았다.

신전으로 올라온 사내들은 언덕 아래도시의 주점들이나 ‘여사‘들의 거처에서 일을 치렀다. 사내들은 정해진 액수를 미리 지불했다. 이들의 아프로디테 경배는 한 번으로 끝나지는 않았다.
스트라본은 코린토스에 온 남자들이 가져온 돈을 모두 탕진하는 일도 빈번했다고 기록했다. 이 때문에 생긴 격언마저 있었다. "코린토스 여행은 아무나 할게 아니다."

포르나이급이건 헤타이라이급이건,
코린토스에서 이들이 섹스를 팔아 받은돈은 온 도시를 살찌웠다. 코린토스가섹스의 여신 아프로디테를 극진히 섬긴이유다.

단테는 『신곡』의 「천국Paradiso」 11곡에서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San Francesco d’Assisi(1182~1226)의 위대함을 이렇게 칭송한다. 프란체스코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그녀’와의 결혼이다. 그녀의 이름은 ‘포베르타Povertà’(가난). ‘포베르타’는 예수가 첫 ‘남편’이었으나 예수가 부활, 승천한 후 아무도 거들떠보지 않았다. 일천백 년이 넘도록 천대받던 이 여인은 1200년대 초, 드디어 새로운 짝 프란체스코를 만난다.

그는맨발에 사시사철 옷 한 벌만 입고 이탈리아 도시들을 걸어 다니며 설교했다.
"돈의 종이 되지 마세요, 가난한 이들을돌보세요,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하세요."
돈 버는 재미에 푹 빠진 이탈리아 도시 상인들로서는 매우 듣기 싫은 소리였다. "어디 조용한 수도원 하나 지어줄테니, 거기서 기도나 하고 지내지?"
돈 있는 사람들은 이렇게 제안했으나
‘가난‘과 결혼한 그는 받아들일 수 없었다.

프라하 동쪽에 있는 아담한 중세 도시 쿠트나호라Kutná Hora는 세들레츠Sedlec 납골당으로 유명하다. 이곳에 수만 개의 뼈와 해골로 온갖 형상들을 만들어놓은 것을 구경하러 사람들이 모여든다. 미사용 제단이나 기둥 장식은 물론이요, 천정에 걸어놓은 샹들리에도 사람 뼈와 해골로 만들었다. 납골당을 보러 오는 사람들은 매년 20만 명에 육박한다. 이들이 쿠트나호라나 프라하에서 쓰고 가는 돈도 만만치 않다.

세월이 흘러 금화도 은화도 아닌 지폐와 신용 카드가 결제 수단인 시대에 쿠트나호라는 세들레츠 납골당의 하얀 뼈와 해골들과 함께 관광 도시로 다시 살아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위스는 유럽 연합 국가들 사이에 있지만 유럽 연합 회원국이 아니다. 자국 화폐도 스위스 프랑을 쓰지 유로를 쓰지 않는다. 고집스레 지켜온 자주성을 자랑하는 스위스의 도시들도 자주독립의 역사를 자랑한다. 제네바의 ‘에스칼라드L’Escalade’(방벽 기어오르기)가 가장 전형적인 사례다. 1602년 12월 12일, 제네바 성벽을 타고 야밤에 침투하려던 적을 무찌른 싸움을 기념하는 에스칼라드는 이 도시 최대의 축제다.

런던 남쪽 서식스Sussex 지방의 루이스Lewes는 도시를 가로지르는 우즈Ouse 강가에 자리 잡은 아름답고 조용한 소도시다. 시골 마을 분위기마저 느껴지는 이곳은 1년에 한 차례 어마어마한 불꽃놀이 축제로 타오른다. 그 이름은 ‘루이스 본파이어Lewes Bonfire’. 엄청난 화톳불 축제다.

우리 시대 브리스틀Bristol의 명소 리스트에서 ‘토바코 팩토리 극장Tobacco Factory Theatres’은 빠질 수 없다. 원래 담배 공장으로 사용하던 건물이었기에 이름이 그렇다. 이 건물에서는 1910년대부터 담배를 생산했다. 그러나 1980년대에 회사가 다른 도시로 옮긴 후에는 철거 직전의 흉물로 전락했다. 브리스틀 시는 1990년대에 이 건물을 인수해 다목적 공연장으로 개조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시Annecy, 참으로 아름다운 도시다. 맑은 안시 호수를 북쪽에서 바라보는 이 도시는 양편으로 셈노Semnoz산과 베이리에Veyrier산을 끼고 있는 분지에 단정하게 앉아 있다. 구도시 건물들의 붉은 기와가 화사하다. 이후 시대에 지은 건물들도 정갈하다. 안시는 호숫가 도시일뿐더러 강과 운하의 도시이기도 하다.

‘알프스의 베네치아’ 안시의 명소는 팔레드릴Palais de l‘Île(섬 궁전)이다. 12세기부터 이 자리를 지켜온 이 석조 건물은 삼각형 돌벽 위에 붉은 지붕을 얹고 서서 티우 강줄기를 양쪽으로 갈라놓는다.

1972년, 세계 대중음악계의 두 슈퍼스타 존 레넌John Lennon과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는 매우 특이한 신곡을 각자 발표한다. 두 젊은 뮤지션은 1960년, 영국 리버풀Liverpool에서 4인 밴드 ‘비틀즈The Beatles’를 결성한 후 주옥같은 명곡을 함께 쓰고 함께 노래하며 수많은 팬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러나 이런저런 사정으로 1970년에 그룹을 해체한 후 서로 다른 길을 갔다.

기원전 79년 베수비오Vesuvio(당시 이름은 ‘베수비우스Vesuvius’) 화산 폭발 당시 광경을 가이우스 플리니우스 세쿤두스(돌 6장 참조)는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바다로 떨어지는 재들이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었습니다. 밤이 되자 베수비오산 여기저기에서 붉은 불길이 높고 넓게 솟아올라 밤하늘에 번쩍거렸습니다. 집 안뜰에도 재와 뜨거운 돌이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샤르트르 대성당Chartres Cathedral은 유독 불에 취약했다. 지금의 우아한 고딕 대성당이 세워지기 전 다섯 채의 선배 건물들이 그 자리에 서있었다. 건물을 다시 지은 원인은 늘 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