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최초로 이론적으로 정립해 제왕학을 만들어 낸 사람이 바로 관중이다. 그가 정립한 제왕학은 기본적으로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지만 배를 전복시키기도 한다는 뜻의 이른바 ‘수가재주水可載舟, 역가복주亦可覆舟’의 이치 위에 구축된 것이다.

"치국의 방법으로 백성에게 이익을 주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다."

"관중은 제환공을 도와 제후들을 단속하고, 일광천하一匡天下의 업적을 이뤘다. 덕분에 백성들이 지금까지 그 혜택을 받고 있는 것이다. 그가 없었다면 우리는 지금 머리를 풀고 옷깃을 왼편으로 여미는 오랑캐가 되었을 것이다. 어찌 그를 필부가 작은 절개를 위해 목숨을 끊는 것에 비유할 수 있겠는가."

훗날 순자와 한비자 역시 공자처럼 관중이 패업을 이룬 것을 높이 평가했다. 난세에는 치세와 전혀 다른 이치가 작동한다는 사실을 통찰한 결과다. 그럼에도 맹자만큼은 관중의 패업을 맹렬히 비판했다. 난세에도 오직 덕치를 통해서만 천하를 평정할 수 있다는 확신 탓이다.

"법과 도덕의 관계는 법철학의 케이프혼이다."

법과 도덕의 간극을 끝까지 추적하다 보면 남미 최남단의 곶인 케이프혼을 항해하는 배처럼 이내 좌초할 소지가 크다는 좌절감을 드러낸 것이다. 여기서 나온 것이 바로 "법은 최소한의 도덕이다"라는 금언이다. 그러나 동양에서는 이미 수천 년 전에 이에 대한 해법을 찾아낸 바 있다. 『논어』 「위정」에 나오는 공자의 언급이 그것이다.

"정형政刑으로 다스리고자 하면 백성들이 이를 면하려고만 하여 이내 부끄러움을 모르게 된다. 그러나 덕례德禮로 다스리고자 하면 부끄러움을 알고 선한 마음을 갖게 된다."

"예는 서인까지 내려가지 않고, 형은 대부에게 미치지 않는다."

지배층에 대해서는 법치보다 도덕적 수위가 높은 예치의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는 유가의 입장을 요약해 놓은 것이다.

동양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전통은 바로 여기서 나왔다. 『관자』에서는 예치를 ‘예의염치’로 풀이해 놓았다. 위정자가 예치의 세계를 무시한 채 법치의 세계에 함몰돼 법리 공방을 전개할 경우 자칫 순자가 경고한 위도危道 내지 망도亡道로 치달을 소지가 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이끼”의 배경과 흡사한 거 같다.
이 책의 도입부를 읽으며,,,, 바로 이끼가 떠올랐다.

한적한 산골에 위치한 이상한 마을 청호리와 비리 형사 천용덕이 건설한 이상향.....청호리 사람들이 거천시에 기부금을 내고 사회 각층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청호리 마을에서 무슨일이 벌어지든 신경쓰지 않듯이 천용덕 또한 사회 각계 각층에 뇌물을 뿌려 천용덕의 마을에 무슨일이 생겨도 신경쓰지 않는다.

1. 청호리 이장 황보00, 율도국의 이장 천용덕
한적한 산골에 유토피아를 건설한 이장 천용덕(공권력을 이용해 불법적인 이득을 챙기던, 부동산 뒷사업도...전직 비리형사)

2. 마을에 살다 도망쳤다가 다시 청호리에 이사온 주경, 아버지 유목형의 부음을 듣고 아버지가 살던 마을에 온 류해국

3. 청호리 이장의 변재선녀(부를 축적하는 원천), 천용덕의 땅과 돈

결국 청호리와 율도국의 비리를 파헤치고 해결하게 되는 두 사람... 물론 청호리에서는 미주, 미주의 친구들 이장의 아들 등 여러사람의 도움이 있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화 “이끼”의 배경과 흡사한 거 같다.
이 책의 도입부를 읽으며,,,, 바로 이끼가 떠올랐다.

한적한 산골에 위치한 이상한 마을 청호리와 비리 형사 천용덕이 건설한 이상향.....청호리 사람들이 거천시에 기부금을 내고 사회 각층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어 청호리 마을에서 무슨일이 벌어지든 신경쓰지 않듯이 천용덕 또한 사회 각계 각층에 뇌물을 뿌려 천용덕의 마을에 무슨일이 생겨도 신경쓰지 않는다.

1. 청호리 이장 황보00, 율도국의 이장 천용덕
한적한 산골에 유토피아를 건설한 이장 천용덕(공권력을 이용해 불법적인 이득을 챙기던, 부동산 뒷사업도...전직 비리형사)

2. 마을에 살다 도망쳤다가 다시 청호리에 이사온 주경, 아버지 유목형의 부음을 듣고 아버지가 살던 마을에 온 류해국

3. 청호리 이장의 변재선녀(부를 축적하는 원천), 천용덕의 땅과 돈

결국 청호리와 율도국의 비리를 파헤치고 해결하게 되는 두 사람... 물론 청호리에서는 미주, 미주의 친구들 이장의 아들 등 여러사람의 도움이 있었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바웃 타임 O.S.T.
론 섹스스미스 (Ron Sexsmith) 외 노래 / 유니버설(Universal) / 2013년 11월
평점 :
품절


How Long Will I Love You
Jon Boden & Sam 
Sweeney & Ben Colem

How long will I love you
As long as stars are above you
And longer if I can
How long will I need you
As long as the seasons need to
Follow their plan
How long will I be with you
As long as the sea is bound to
Wash up on the sand
How long will I want you
As long as you want me too
And longer by far
How long will I hold you
As long as your father told you
As long as you can
How long will I give to you
As long as I live through you
However long you say
How long will I love you
As long as stars are above you
And longer if I may

얼마나 오래 당신을 사랑할까요
존 보든 & 샘, 스위니 & 벤 콜렘

얼마나 오래 당신을 사랑할까요
별들이 당신 위에 있는 한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다면 더 오래
얼마나 오래 당신을 필요로 할까요
계절들이 필요로 하는 한
계절들이 그들의 계획을 따라야 하는 한
얼마나 오래 당신과 함께 있을까요
바다가 모래 위로 씻겨 내려갈 수 있는 한
얼마나 오래 당신을 원할까요
너도 나를 원하는 한
그리고 훨씬 더 오래
나는 얼마나 오래 너를 안고 있을까요
네 아버지가 말했던 한
네가 할 수 있는 한
나는 얼마나 오래 너에게 줄까
내가 너를 통해 사는 한
네가 아무리 오래 말하더라도
나는 얼마나 오래 너를 사랑할까
별들이 네 위에 있는 한
그리고 내가 할 수 있다면 더 오래

How Long Will I Love You
Jon Boden & Sam 
Sweeney & Ben Colem
How long will I love you
As long as stars are above you
And longer if I can
How long will I need you
As long as the seasons need to
Follow their plan
How long will I be with you
As long as the sea is bound to
Wash up on the sand
How long will I want you
As long as you want me too
And longer by far
How long will I hold you
As long as your father told you
As long as you can
How long will I give to you
As long as I live through you
However long you say
How long will I love you
As long as stars are above you
And longer if I may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릇 윗사람이 되어 백성들이 배불리 먹고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지켜 주기만 하면 백성들도 그를 믿고 따르며, 부득이한 상황에 이르러서도 차라리 죽을지언정 윗사람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이는 평소 윗사람이 그들의 안전과 식량을 충분히 제공해 주었기 때문이다. 공자가 「안연」에서 ‘거병’과 ‘거식’을 거론한 것은 실제로 군사와 식량을 버리게 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는 어쩔 수 없는 위기 상황을 전제로 한 것이다. 어쩔 수 없는 위기 상황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백성들도 ‘거병’과 ‘거식’의 부득이한 상황을 감내하면서 윗사람을 불신하는 지경까지는 이르지 않게 된다. 그래서 마지막에 ‘민신’을 언급한 것이다. 그럼에도 어리석은 성리학자들은 이와 정반대로 ‘믿음이 무기나 식량보다 더 중요하다’고 지껄이고 있다. 이는 성인이 하신 말씀의 참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소치이다."

이런 식의 논리를 외적이 쳐들어왔을 때와 같은 비상 상황에 적용하면 군민이 일치단결해 적과 싸울 생각은 하지 않은 채 매일 모여 적을 성토하는 짓이나 하는 것과 다름없다.

실제로 그런 일이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에서 빚어졌다. 김상헌을 비롯한 척화파들은 연일 ‘독 안의 쥐’ 신세가 되었는데도 산성에 들어오기 전보다 더 격한 어조로 매일 청나라 군사를 성토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주화파인 최명길이 쓴 항서를 마구 찢으며 울분을 토로한 게 전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