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닉에 다녀왔다


패티 스미스와 현대 소닉 아트 플랫폼 사운드워크 컬렉티브의 협업 전시 <끝나지 않을 대화>를 하고 있다.




지도를 보면 회현역에서 가까워서 걸어가기 만만해보인다. 그러나 짧은 구간이지만 급경사라 만만하지 않다. 산악지형의 서울은 넓은 간토평야의 도쿄에 비해 군데군데 언덕이 많아 도시임에도 도시안에서 작은 등반하는 재미가 있다. 산맥의 한국, 등산의 민족이다. 피크닉은 근처 갤러리 눈, 화이트스톤과 동선연계성이 좋다. 다만 여기도 급경사다.

지난 전시는 우에다 쇼지의 모래극장 사진전이었다. 이번에는 풍성한 음향과 깊은 해류느낌의 짙고 느린 예술영상작품이다.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의 종교적 영상도, 늑대와 고래와 남극과 난교가 병치된 영상도, 박제된 동물에서 불타는 자연으로 이어지는 영상도 모두 서정적인 이미지의 영상이다. 자근자근 전달되는 성우음성과 풍성하게 밀려오는 파도음향과 함께 작가가 전달하는 풍경에 적시다못해 잠기는 기분이다.


밤에 잠에 잘 못 드는 이들이 있다. 자더라도 가벼운 수면을 하다가 종종 깨는 이들이 간혹 있다. 감각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의미화하고 맥락화하는 뇌세포가 발달해서 눈을 감아도 쉽게 수면상태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걱정하며 왜 그 사람이 그런 말을 했을지 되새김질하는 사고회로가 강제적으로 멈춰지지 않는다. 그래서 잠이 못 든다. 대략 MBTI중 N계열에 많다.


반면 무던한 S계열 중 멍때리는 게 가능한 이들이 있다. 생각을 멈출 수 있고 따라서 누우면 잠이 온다. 아예 걱정이 없다는 말은 아니다. 주어진 정보를 잘 인식하고 그것으로 그치는 사람들과 의미를 이끌어내는 데 특화된 사람들이 다르다는 뜻이다. 그렇게 멍 때리는 게 가능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각기 좋아하는 예술도 다른 편이다.


스토리 없이 알 수 없는 이미지들의 연속만 보여주는 영화가 있다. 의미추출능력이 발달해 밤에 잠 못 드는 이들은 잘 못 보는 영화다. 네러티브가 없고 대사의 의미를 파악할 수 없다. 보고 나서 뭔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쉬이 흥미를 잃는다. 한편 멍 때릴 수 있는 부류들은 재밌다고 찾아본다. 원래도 큰 의미부여를 안 하기 때문에 체르노빌 흑백배경에 폐허에서 수풀 사이를 걷는 컷을 편집한 화면에 의미심장하지만 기승전결없는 신디사운드에 방사성 동위원소 번호와 싯구를 섞은 내레이션이 ㄴㅏ오는 영상을 보아도 재미있게 볼 수 있다.


피크닉 이번 전시는 큰 줄기에서는 재밌는 아이디어가 있다. 다만 매층 2편 연속 30분-40분 영상 3개를 다 봐야 전시설명도 이해가고 예술가가 의미하는 바를 납득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이해의 지점까지 도달하기 위해서는 직관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이미지의 향연을 몇 분씩 인내하며 보고 있어야한다.


예를 들어 마지막 3층 대멸종과 산불연작은 1946년 출생일듯한 저자가 매년 멸종된 동물을 자기 생애주기와 함께 읊는다. 1966년 20살이 되었다. 1967년 딱따구리가 멸종되었다. 범상어 듀공 등등.. 작가가 70살이 될 때까지 매년 어떤 종이 지구상에서 사라진다. 자연재해와 인간재해에 대한 화두를 섞었다.


매 영상마다 교육받은 30대 여성 미국인의 중음 내레이션이 있다. 끝까지 완강했다면 시의 대구처럼 반복되는 대사를 놓칠 수가 없다.


그토록 질펀한 눈물 such great tears

Smothered lamb crushed

All the muscles are contracting

그리고 모든 근육이 수축하고 있었다

종을 주조한다

Sweeping time sleeping time scheming

Prince of anarchy

Do you remember me 등등


각본이 좋다. 영어대사의 리듬과 전달이 좋다.

I was just a country girl

With the mind of God

Who loved you

다른 메시지 세 개다


더러는 이게 뭐야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하고 스치며 볼 거다. 더러는 피크닉이라는 전시장 이름에 데이트장소라고 생각해서 왔다가 실망할거다. 아무래도 이번에는 혼밥하듯 나홀로 피크닉을 해야할 것 같다. 그래야 잦아드는 사운드스케이프에 세례를 받고 1층으로 들어갔다가 4층으로 나오는 기분이 되어 전시장을 나올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멈춰서 바라보면 - 2022년 볼로냐국제아동도서전 국제 일러스트레이션 어워드 수상작
아술 로페즈 지음, 김서정 옮김 / 목요일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강 하류 서울에는 대교가 많이 있으나 상류 양평 부근에는 대교가 별로 없다. 일산부터 팔당까지 북쪽과 남쪽의 땅을 이어주는 대교가 32개나 있는데 양평에는 양근대교와 양평교 2개 밖에 없다. 그것도 팔당대교 이후 최단거리 22km 동안 하나도 없다.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있지만 진입위치가 멀리 떨어져있고 양평을 통과하는 용도로 건설된 것이지 양평의 위아래를 연결하기 위함이 아니다.


무슨 말이냐고? 연휴나 주말에 양평을 가면 양근대교과 88번 국도 모두 꽉 막혀서 거북이걸음을 하는 차들의 행렬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스포츠카, 외제차도 많다. 칙칙폭폭 땡 뒤뚱뒤뚱 오리걸음을 하며 1차선을 힘겹게 건넌다.



오늘도 그랬다. 뮤지엄산을 가려다가 곤지암부근 고속도로 20km이상 정체인 것을 보고 얼른 양평으로 튀었다. 스타벅스 더양평에서 스페셜 메뉴 막걸리크림 콜드브루를 마시고 양평군립미술관을 갔다. 커피맛은 거의 없고 낱알뿌리 흰 막걸리 프라푸치노였다. 파리바게트 장수막걸리 셰이크와 이균 미나리주 이후 막걸리향 나는 F&B음료는 세 번째다. 오픈런했을 때는 사람이 너무 많았고 시스템도 불안해보였는데 이제 매장도 안정화가 된 것 같다.


날씨도 꾸릿꾸릿해서 사람이 많지 않아서 편하게 마시고 관람했다. 나와서 다음 행선지를 정하려니 근처 양근대교와 88국도 정체가 심각한 것이 아닌가!  위잉 위잉 레드 얼럿 레드 얼럿!


마치 갓난쟁이가 몸뒤집기를 하듯 얼른 나도 플랜을 뒤집었다. 어디를 가야하나? 보니까 이함캠퍼스가 괜찮다. 양평군립에서 이함캠퍼스를 가는 반대차선은 하나도 안 막힌다. 그래서 건진 컷이 바로 이 뒤뚱뒤뚱 차들의 칙칙폭폭 땡 열중셧 차렷 오리걸음으로 가 행렬 사진이다.


이함캠퍼스에서는 매우 특이한 폴란드 포스터전을 하고 있다. 윌리엄 켄트리지도 생각나고 억압적 문화검열 속에서 일러스트레이터들이 어떻게 창작욕을 불태웠는지 알 수 있다. 특이한 디자인을 10개의 테마로 잘 분류했다. 전시관 외부의 산책동선은 좋은데 내부의 관람동선은 불편한 점만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양평군립미술관에 왔다


한국현대 구상미술의 단면 사실과 재구성전을 하고 있다. 며칠 후 폐전인데 원주 뮤지엄산과 묶어서 가려고 미뤄두고 있었다.

동탄, 파주, 용인, 대전이나 청주는 서울에서 시간이 좀 걸리지만 대중교통이 편해서 접근성이 좋다. 시외버스 한 번만 타서 도착할 수 있으면 앉아서 유투브로 세미나나 해외토크나 팟캐스트 같은 것을 들으면서 시간 보내면 된다. 지하철이라면 책 읽으면 된다. 그렇게 매일 루틴 책1권 신문국내외1종 영화1편 전시1개를 아슬아슬 유지한다. 다행히도 지속한지 몇 년 됐다.


그런데 원주 뮤지엄산과 가는 길의 남양주, 양평지역 미술관은 운전 아니면 불편하다. 그래서 늘 묶어가는데 뮤지엄산의 임팩트가 너무 커서 시간을 거기서 다 쏟고 양평일정을 못 쳐내는 편이다.


오늘은 뮤지엄산을 못 가서 올 수 있었다. 대략 구하우스 설미재 벗이 같은 곳을 가면 좋다. 황금연휴이고 주말이라 해외출국하지 않은 사람을이 모두 교외로 나가는지 고속도로가 꽉 막혔다. 원주까지 보통 1시간반이면 가는데 도착시간이 이상해서 보니까 네비에서 3시간 반이 걸린다고 해서 중간에 길을 틀었다. 현명한 선택이었다. 비도 와서 어디서 사고가 낫나 보다. 빨간 선으로 표현된 병목구간인 고속도로가 여럿 보였다. 나도 중간 길에 사고차량 하나 보았다. 늘 조심해야한다


전시는 재료의 물성을 확인하는 재미가 있다. 비단에 석채, 즉 돌가루. 캔버스에 머리카락!?!, 유화에 마른 고목결을 표현, 컴퓨터기기를 붙인 작품 등.


폭 1.5미터에서 4미터는 되는 큰 작품들이 많다. 땅값이 비교적 싸서 큼직하게 지은 여유로운 군립미술관의 널찍한 공간을 잘 활용해서 대형 작품을 배치했다. 큰 그림에 인물도 크면 그냥 픽셀을 확대한 것밖에 안된다. 대형화면에 광활한 자연과 세밀한 인물이 있어야 그 대소비교가 극적으로 다가온다. 산수화에서 보이는 자그마한 인물의 전통이다


수묵화로 그린 남산풍경도 인상깊다. 강이지풀터럼 유연한 붓선으로 반듯한 건물의 윤곽을 표현해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버거런 동탄점은 창원본점의 직영점이다

친척이라고 한다


서울본점을 지방으로 확산시키는게 아니라

반대로 지방에서 시작해서 탄탄한 유통망을 확보하고 서울로 입점시키는 모델은 홈플러스가 먼저 했었다


요즘에는 일반 가게도 그러하다.


재료가 우수하다 청상추는 아삭하고 신선하며 한우 패티의 질이 좋고 떡같이 쫄깃한 쌀번이 어우러져 부드러우면서 저항감을 준다


버거킹 크리스피는 닭퀄은 좋은데 소스가 부족하고 밸런스가 아쉽다 불끈버거는 가격대가 좋지 않다

이마트24 최현석 트러플버거 패티와 씨유 넘버원 패티가 편의점버거 중 가장 좋다

프랭크버거 요돌버거 4개 라인업 전반적으로 좋다

에드워드리의 베이컨잼은 비프에만 잘 어울리는데 싸이버거는 비프가 아니라 닭이 메인이다

롯데리아 나폴리 잘했는데 못난이감자와 쥐포튀김으로 좌충우돌한다 롯데리아는 라면버거 등 잘 하다가 너무 과격한 실험으로 좌충수를 두곤한다 원래 그런 애다

맥날은 투움바 다 별로고 과카몰리도 별로다 있는 메뉴에 시판 소스 넣어서 경쟁사 프로모션 속에 체면세울려했다 가만히 있을 수 없어 구색 맞추려고 억지로 낸 메뉴다 차라리 이마트24 여경래 깐풍버거가 맛있다

최고는 버터밀크치킨의 파파이스. 지점을 찾아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