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의 사진 출처: https://ptable.com/#%EC%86%8D%EC%84%B1
언뜻 과학용어는 국제적으로 공통일 것 같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다
한 나라의 언어체계가 알파벳 영어를 얼만큼 자유롭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다르다
한자문화권은 수소, 서유럽은 하이드로젠(물+유래), 독일은 Wasserstoff바서스토프(물+재료), 러시아어는 Водород 바다롣이라고 한다
17세기 이전 연금술 등 초기 과학의 발전에 따른 차이도 있다
금, 은, 동, 철, 탄소 등은 원래 쓰던 자국어를 쓰고 이후 발견된 알루미늄, 마그네슘 같은 것은 영어를 음차해서 쓴다 윰은 라틴어다
예컨대 한국은 금, 일본은 킨, 중국은 찐, 아랍어는 다합ذهب
여기서 재밌는 것은
1) 중국은 싹 다 한자 표의문자로 바꾼다. 어질어질하다
2) 한국일본은 한자에 영어식 음차를 섞는다
3) 영프독스포 등 서남유럽은 비슷한 어원에서 유래한 말들을 강세와 발음을 달리 해서 서로 사투리처럼 들린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젠이 이드로!헤노(Hidrógeno), 이드로젠!(Hydrogène) 이드로!제노(Idrogeno), 이드로제뇨(Hidrogénio ) 이런식이다. 순서대로 스페인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다.
일본어는 영어 음차를 카타카나로 표기한다. 아래 사진 출처는 야후에서 검색 https://sciencenotes.org/list-elements-japanese/

중국어는 싹 다 한자+한자의 중국어발음(병음)으로 외우고 이에 더해 영어발음도 익혀야한다.
어질어질하다. 그러니까 중국은 내부용과 국제용이 다른 것이다. 시스템, 문화, 상품에서도 그런 경향이 발견된다.
중국 화학원소에서 우리의 '수소', 영어의 '하이드로젠'에 해당하는 단어는
공기+가볍다의 부수를 합해 만든 한자인 氢으로 쓰고 칭으로 읽는다.
그리고 나중에 Hydrogen 하이드로젠이라고 나중에 한 번 배워야한다. 과학은 국제적이니까.
그렇지만 중국인들끼리 대화할 때는 칭으로 말하지 이상하게 영어를 섞어쓰지는 않는다. 중국어 자체가 그런 속성이다. 외국어나 외래어가 자리잡기 조금 곤란한 면이 있다.
이때 공기 기라는 부수 안에 쏙 들어가 있는 한자는 가벼울 경의 간체자다. 氫(경)의 간체자(簡體字)
그래서 한국 일본은 이 글자가 헷갈린다. 가벼울 경의 부수는 輕는 이렇게 생겼기 때문 + 애초에 하이드로젠을 경이라고도 하지 않고 수소라고 하니까.

재밌는 것은 기체 계통은 기체 부수, 금속계통은 금 부수, 돌 계통은 돌 석 부수(117 Ts)물 계통은(35 Br)은 물 부수가 있다는 점. 80Hg가 조금 특이하다. 영어를 중국식으로 음차한 것을 풀로 다 발음하지 않고 앞의 자음 느낌만 살려서 더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한국어는 한글로 망간, 알루미늄, 마그네슘이라고 한다.
일본어는 외래어 전용 표기법인 카타카나로 マンガン(망간), アルミニウム(알루미니우무), マグネシウム(마구네시우무)라고 한다.
중국어는 망간의 ㅁ, 알루미늄의 ㄹ, 마그네슘의 ㅁ만 따서
멍 锰
뤼 铝
메이 镁
이렇게 만든 식이다.
왼쪽에 금속 부수 金이 들어가있는 상태에서 오른쪽은 아무 의미없는 발음용 글자다. 마그네슘이 아름다워서 아름다울 미(메이)를 쓴게 아닌 것.
아래 사진 출처는 위키피디아
https://zh.wikipedia.org/zh-cn/%E5%85%83%E7%B4%A0%E5%91%A8%E6%9C%9F%E8%A1%A8#/media/File:Periodic_table_zh-hans.svg

아래는 옛날에 학생들 가르칠 때 만들어 본 표다.

ⓒSaga Wasser 2024
1. 한국어 외우기 : 수헬리베 붕탄질산 플네나마 알규인황 염아칼칼
(중고등 과학시간에 그냥 이렇게 외운다. 사실 이 안에는 한자음+한자뜻+영어+일본어유래한자+라틴어가 어지럽게 섞여있다)
2. 영어로 외우기 : Happy Hector Likes Beer But Could Not Obtain Food
(스토리식으로 외우는거다. 대충 처음 9개만 이렇고 그 이후는 초중학교 선생님들 재량이다.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외우기 쉽게 mnemonic으로 만들기도 하고)
3. 한자 뜻인 경우 영어 음도 추가로 외워야함 : 수소 Hydrogen (볼드체)
4. 소듐/나트륨과 포타슘/칼륨은 둘 다 허용
나트륨은 이집트의 소다 광산 이름
소듐은 소다에서 옴
칼륨은 재를 뜻하는 아랍어 알칼리, 알칼랴에서 옴
포타슘의 재 탄 주전자(pot ash)에서 옴.
5. (~윰) ium은 라틴어로 중성명사, 광석 등을 말할 때 사용한다.
6. 보라색 두 개 (한자음만 딴 경우 주의)
- 붕소 (세제의 원료. 아랍어의 부라크-하얗다라는 뜻에서 보론이라는 영어로 오고 '부'와 '보'를 한자로 '붕'으로 바꿈
- 규소 부싯돌(cobblestone)의 네덜란드어 Keisteen (네덜란드어 steen은 영어의 stone)에서 kei를 일본어 한자로 규(케이)라고 바꿈
7. 아르곤 : 게으르다 a+ergos (without work) a는 그리스어접두사로서 부정접두사(not, without) 반응을 잘 하지 않는 특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