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포터 불의 잔 4권 14장 용서받지 못할 저주(The Unforgivable Curses)의 한 구절이다. 론이 매드아이 무디의 암흑방어술 수업에서 부모를 죽인 저주를 실견하고 놀란 해리의 눈치를 보는 장면이다.


But Ron fell suddenly silent at the look on Harry's face, and didn't speak again until they① reached the Great Hall, when he said he supposed they② had better make a start on Professor Trelawney's predictions tonight, as they③ would take hours


이 문장에서 they가 세 번 나온다.


첫 번째와 두 번째 they는 Ron and Harry 둘 다 가리키고 세 번째 they는 과제물로서 predictions를 지칭한다. 영어 대명사 형태는 동일해서 때론 지칭대상이 불분명해 문맥으로


파악해야한다. 프랑스어나 독일어에서 남성/여성/복수 등 성수가 많고 일반명사를 대명사로 받아줄 때 성수일치를 해야해서 언뜻 영어보다 복잡해보인다. 그러나 복잡하다는 것은 그만큼 선명하고 정교한 구분을 한다는 뜻이다.


다른 외국어로 번역했을 때 이 they 가 어떻게 처리될지, 더 정교해질지 더 불명확해질지 살펴보자


한국어는 이렇다.

론은 해리의 표정을 보고 갑자기 말을 멈췄고, 둘이① 그레이트 홀에 도착할 때까지 입을 열지 않았다. 그제야 론이 "(우리②) 오늘 트릴로니 교수 예언 해석 과제, 이제 시작해야 할 거 아냐? (그것은③) 몇 시간은 걸릴 테니까"고 말했다.


①은 살리고 ②는 대화문 속에 우리로 빼고 ③은 굳이 언급하지 않는다.  한국어는 주어를 여러 번 반복하지 않으며 대명사의 활용이 자연스럽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일본어도 마찬가지인데 번역본에서 살펴보니


그러나 해리의 얼굴을 보자, 론은 갑자기 말이 없어졌다.

しかし、ハリーの顔を見て、ロンは急にだまりこんだ。


그 후로는 한마디도 하지 않다가, (①) 대광장에 도착하고서야 겨우 입을 열었다.

それからは一言もしゃべらず、大広間に着いてからやっと、


"트릴로니 선생님의 예언 숙제는 몇 시간이나 걸리니까, 오늘 밤이라도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아"

「トレローニー先生の予言の宿題は何時間もかかるから、今夜にも始めたほうがいいと思う」と口をきいた。


"둘은 대광장(그레이트홀)에 도착했다"라고 할 수 있을 주어 1번도 생략

우리가 숙제를 시작해야해의 2번도 생략, 과제물의 주어 3번도 생략

모두 생략했다. 없다. 그래도 의미가 잘 통한다.


프랑스어와 독일어의 경우 명사의 성수일치가 영어보다 엄격하니 언뜻 3번 they를 더 정교하게 직역할 수도 있을 것 같다.

특히 프랑스어는 어미가 시옹tion일 경우 여성명사이고 트릴로니 교수의 예언과제(predictions)이 여성명사로 판별될테니 원문 영어 "as they③ would take hours"에서 elles로 받아줄 수 있을 것 같다.


직역을 해보자면 예컨대


il dit qu’ils feraient mieux de commencer les prédictions de Trelawney ce soir, parce qu’elles prendraient des heures. 이런 식으로 말이다.


그런데 정작 번역본에서 보니 대화문으로 풀었다.


Mais Ron s’interrompit soudain en voyant l’expression de Harry et ne prononça plus un mot jusqu’à ce qu’ils① soient arrivés dans la Grande Salle.

그러나 론은 해리의 표정을 보자 갑자기 말을 멈추었고, 그들이① 그랑살(대광장)에 도착할 때까지 더 이상 한 마디도 내뱉지 않았다.


— On② ferait bien de commencer le devoir pour le professeur Trelawney dès ce soir, dit alors Ron. Ça③ va nous prendre des heures pour arriver au bout…

"오늘 저녁부터 트릴로니 교수의 숙제를 시작하는 게 좋을 것 같아" 하고 그때 론이 말했다. "끝내려면 우리에게 몇 시간이 걸릴 거야"


프랑스어는 ①은 남성 그들(ils, 일, s는 묵음)로 성별 상관없는 영어의 they보다 더 정확하고 ②는 대화문 속에 무인칭 주어 on(옹, 우리, 사람들 등을 의미)으로 우리로 변환했으며 ③은 문장을 끊고 그거(Ça 싸)로 받았다. 싸는 해석 안해도 무방하다.


그러니까 이를 영어로 직역하면

①until they had arrived...

②"We would do well to start the homework for Professor Trelawney this evening,"


③Ron then said. "It is going to take us hours to finish…"

이다.


프랑스어에서 영어의 they 세 개를 다 직역할 수 있으나 역자는 조금 더 잘 읽히게 문장을 끊고 다듬었다.


독일어의 경우는 어떨까?


Doch Ron verstummte, als er den Ausdruck auf Harrys Gesicht sah, und sprach erst wieder, als sie① in die Große Halle gelangten, wo er vorschlug, am Abend schon mal mit den Voraussagen für Professor Trelawney anzufangen, da sie③ sicher Stunden dafür brauchen würden.


독일어는 영어처럼 한 문장으로 처리했는데 예언과제에 해당하는 ②가 없다. mit(with)에 수반되는 3격(여격 Dativ) 복수여성명사 den으로 처리되었다.


로망스어 계통의 프랑스어와 달리 그리스라틴어의 명사곡용이 남아있어 격 구별이 명확하다.


그러나 론은 해리의 얼굴에 있는 표정을 보자 말을 잃었고, 그들이(소문자 sie①) 대광장에 도착할 때까지 다시 말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그는 트릴로니 교수에게 제출할 예언들을(mit den Voraussagen) 저녁에라도 미리 시작하자고 제안했는데, 그것들에는 sie③ 틀림없이 몇 시간이 필요할 것이기 때문이었다.


영어로 직역하면

But Ron fell silent when he saw the expression on Harry’s face, and did not speak again until they① reached the Great Hall, where he suggested starting the predictions for Professor Trelawney already in the evening, since they would surely need hours for them


독어와 영어는 모두 한 문장이지만 차이는 이렇다


영어는 시간 접속사로 연결했다. "도착했을 때 말했다. 그들이 시작하는게 낫겠다고"

when he said he supposed they② had better


독어는 장소 접속사로 연결했다(wo) "그곳에서 그는 시작하자고 제안했다"

where he suggested starting the predictions


영어와 달리 they를 한 번 더 쓰지 않고 suggested starting(vorschlug + anzufangen)으로 풀었다. 참고로 영어 suggest+to는 틀렸다.


이때 anzufangen은 to start로 분리동사(trennbare Verben)이며 방향, 시작을 의미하는 분리전철 접두사(an)와 동사어간(fangen)으로 구성되었다


1과 2의 they는 론+해리

3은 숙제인데


같은 유럽어라도 영어를 기계적으로 직역하지 않고 어순과 문맥에 더 알맞은 표현을 찾아 문장을 다듬는다는 점을 살펴볼 수 있다.


원문과 다른 문법구조를 지닌 도착어의 결을 잘 살려 각기 다른 방식으로 명확성과 가독성을 추구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름만 다르게 붙여진 세계의 거울상


자본주의에서는 광고비와 마케팅비가 시장을 움직이는 윤활유다.

독재정권에서는 뒷돈과 뇌물이 같은 자리를 차지한다.


이게 왜 필요하지 싶은, 본질과는 관련없이 관계자들에게 찔러줘야하는 돈이다. 체제가 돌아가려면 늘 보이지 않는 비용이 따른다. 최근 개봉한 연상호 감독의 영화 <얼굴>은 제작비 2억, 마케팅비13억으로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사례다. 탈북하려면 찔러줘야하는 온갖 브로커비, 구사회주의블록에서 사업하려면 꽌씨에게 줘야하는 와이로(뇌물)와 같ㅇ느 포지션이다.


신문을 보면 이런 것도 있다.

자본주의에서는 주가 폭락, 환율 요동이 공포를 증폭시키는 신호다. 블랙먼데이

독재정권에서는 권력자의 실각설, 갑작스러운 병환설, 친위세력의 이상한 움직임이 같은 풍파를 일으킨다.

경제지표냐 소문이냐, 시장그래프냐 권력자의 요동이냐

현상적 차이는 있어도 같은 충격파를 일으킨다.

두 체제는 서로 다른 언어로 말하지만 함의는 같다. 기표는 다르나 기의는 같다.

숫자로 흔들리거나 소문으로 흔들리거나

불안과 공포로 체제가 유지된다.


자본주의에서는 신뢰자본이 중요하다.

소비자의 신뢰, 브랜드 평판, 기업의 투명성이 시스템을 앞으로 굴러가게하는 양질의 연료다.


독재정권에서는 충성자본이 중요하다.

충성 맹세, 권력 핵심부의 내부 결속, 서열의 안정성이 같은 역할을 한다.


자본에 대한 신뢰냐 권력에 대한 충성이냐

신뢰가 무너지면 시장이 얼어붙고 충성이 흔들리면 권력이 무너진다.

어떤 방식으로든 붕괴되면 시스템이 삐걱인다.


그러니까 IMF외환위기, 모기지사태와

소비에트 개혁개방으로 인한 공산주의 블록 내부의 연쇄적 붕괴, 연개소문 사후 내분으로 인한 고구려 멸망은 같은 셈


자본주의에서

현금흐름이 튼튼한 기업, 불황에도 쓰러지지 않는 브랜드는 건강의 신호다.


독재정권에서는

권력 핵심이 장기간 교체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버티는 것이 긍정적 징후로 여겨진다.


하나는 기업의 생존력이고

다른 하나는 권력의 생존력이다

둘 다 체제가 괜찮다는 메시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생각의 단상

1. 시즌별 마케팅 : 기후위기로 점차 환절기인 봄가을은 줄어들고 여름, 겨울이 길어진다. 각종 공휴일이 포진된 봄과는 달리 수능을 제외하면 가을에는 마케팅에 힘을 줄 뚜렷한 대목이 없다. 내년 내후년(26, 27년) 모두 추석이 9월인데 작년 올해 이상기온으로 계속 더웠다. 선선한 옛 가을이 아니라 그 느낌을 줄 수가 없다.


그나마 밤, 고구마 같은 가을 제철 식재료가 있으나 글로벌 물류 체인에 따라 얼마든지 여름에도 구할 수 있다(고구마케잌은 사시사철나온다) 따라서 앞으로 가을 프로모션은 줄어들고 더 긴 겨울에 집중하게 될 것이다. 할로윈(10.31), 빼빼로(11.11), 수능, 크리스마스(12.31), 연말연시세일, 신년과 구정, 신학기까지


2. 그림자 노동, 데이터 노동, 제공자의 노동을 편리라는 이름으로 소비자가 가져오는 현상에 대해

서버의 주문업무가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고객에게 전가된다고 언급했었다.

원고지에 펜으로 글 쓰던 옛날 작가가 출판사에 넘겨주면 편집자나 알바가 타이핑해주던 업무가 각자 타이핑하면서 업무가 자연스레 전가되었다.

아주 오래 전 인구급증으로 인건비는 싸고 교통시스템 도입되던 초기에는 농촌에서 올라 온 저학력 젊은 여성이 버스노선안내를 하며 검표를 맡았다. 노선체계가 정착되고 국민이 교통시스템에 익숙해지자(즉 일상에서 길들여지는 교실 밖의 교육) 각자 표를 사서 알아서 통에 넣는다. 버스안내양의 업무가 고객에게 전달되었다. 서울지하철의 경우 티켓구매처에서 현금을 주고 노란색 티켓을 사서 개찰구에 넣고 들어갔다. 어디까지 가세요? 400원이요 하며 돈을 거슬러주던 그 역무원의 업무가 이용자의 것으로 여겨진다. 각자 지도를 보고 환승지점을 생각해보고 기계 앞에서 충전과 씨름한다. 이를 쉽게 해주는 애플리케이션이 각광을 받는다. 티머니에 각자 알아서 카드에 돈을 충전해와서 교통수단에 탑승한다. 현금이용할 필요 없는 신용카드 후불교통기능이 보편화된다. 물론 테크의 도움을 받는다. 환승처리는 기계가 대신 계산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시간단축이라는 편리를 미끼로 업무를 고객에게 외주화한다. 그리고 하나의 업계 전체가 변하면 어쩔 수 없이 따라가고 부적응자가 생긴다. 플랫폼소유자가 지배하는 테크기반 중세에서 대다수가 데이터 노동하게 될 현상의 효시다.


10년 전까지만해도 홀서빙하는 점원이 메뉴설명하고 주문을 받아주었으나 코로나 이후 키오스크와 서빙로봇으로 점차 대체된다. 이런 업계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이 안되는 고령자를 위한 키오스크 이용 강좌도 생긴다. 지금이야 키오스크 도입 적응기이므로 점원을 불러도 괜찮지만 5년쯤 지나면 QR로 주문하세요~ 하면서 나른하게 답하거나 질문에 답하지 않고 젠지스테어하는 알바를 만나게 될 거다. 


대면할 필요없이 즉각 주문이 되어 기다리지 않아도 된다는 시간 상의 편의를 담보로 주문업무를 고객이 하고 있는 것이다.


20년 전에는 현금계산이 일반적이었는데 이제 현금계산할라치면 바쁜데 부른다는, 셔터 닫고 또 현금 계산 업무를 준다는 볼멘소리를 듣는다. 


카드계산도 도입 초기에는 수수료 너무 먹느니 반대가 있었지만 2-3% 내고 세금계산 발행편의, 지폐구비하러 은행가야하는 시간절약 등 자영업자에게도 득이 있어서 시스템이 지속 유지되었다.


가끔 시장이나 지방 번화가에 옷, 신발이나 잡화를 두고 파는 매장이 있다. 김태용의 영화<가족의탄생>에서 공효진(딸)의 김혜옥(엄마)도 이런 잡화점을 운영한다. 이것저것 다 있다. 그런데 어떻게 장사가 되지 싶을 정도로 늘상 사람이 없다. 요목에 부동산을 점유하고 있거나 이전에 벌었거나 시장상공회나 협회 소속으로 운영비를 지원받거나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중요한 건 물품을 팔아서 돈을 버는 것 같지는 않다는 것.

새천년 전에는 


이런 매장이 정보제공 및 배송서비스 업무를 담당했다. 며칠 몇 주 단위로 사람들이 읍내에 가서 물품을 산다. 물론 2, 3천원 비싸게 주고 사는 것이겠다. 서울 같은 도매시장에서 싸게 살 수 있으나 갈 시간과 교통비와 노력을 절감시켜준다. 


요즘 패션트렌드가 어떤지도, 어떤 연예인이 잘 나가는지도 교육받는다. 필요한 게 있으면 알아봐준다


이 업무가 요즘엔 각자 인터넷을 통해 알아보는 방식으로 고객에게 외주화되었다. 그리고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는 개인이 임대료 아끼는 대신 염가로 팔아서 박리다매로 이익을 얻고 소비자도 싸게 사서 이득을 얻었다. 대신 소비자는 자기가 어떤 사이즈인지 정확히 알고 피팅 없이도 맞는 옷을 골라야하며 요즘 트렌드가 어떤지 파악하고 있어야한다. 물론 그 싸게 파는 쇼핑몰의 위치까지도. 소비자가 전문가가 되어야한다. 읍내 시장 가게에 얼마 더 얹어주는 대신 대충 피팅해보고 거기서 좋다고 하는 옷을 사던 시대에서 서비스 제공자의 업무가 고객에게 아웃소싱되었다. 사람을 만나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유는 많다


이렇게 점차 고객에게 비즈니스 제공자의 업무가 분배된다. 이제는 ODM방식으로 자체 생산해 소비하게 될지도 모른다. 그러면 제작자의 지식까지 갖고 있어야한다. 이게 데이터 노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波特異傳 卷之一 파특이전 권지일
【序】論巫與凡
서장 무(당)와 범인(머글)을 논하다
○각주: 범은 일반인으로 무령지도(無靈之徒)와 같으닌 영점감응 없는 이들, 하늘의 기운이 막힌 이들을 뜻하며 서방세계에서는 막격루라고 부른다.

昔有異族焉,能以氣御物,以言役形,世謂之巫。
석유이족언, 능이기어물, 이언역형, 세위지무.
옛날에 다른 족속이 있었으니, 기로 사물을 부리고 말로 형상을 움직였으므로 세상은 그들을 무(巫)라 불렀다.

巫之道幽而不測,或隱於市井,或遁於山林,世人難知。
무지도유이불측, 혹은어시정, 혹돈어산림, 세인난지.
그들의 도는 깊고 헤아리기 어려워, 혹은 시장 속에 숨고 혹은 산림에 은거하니, 세상 사람들은 그들을 알지 못했다.

又有一類,心蒙而目窒,不通靈氣,無感於天地之妙者,曰莫格魯。
우유일류, 심몽이목질, 불통령기, 무감어천지지묘자, 왈막격로.
또 한 부류가 있었는데, 그 마음은 어둡고 눈은 막혀 영기가 통하지 않아 천지의 신묘한 기운에 감응하지 못하므로 막격루(莫格魯, 머글)라 하였다.

巫與莫格魯,共處一世,而界若晝夜,不相通也。
무여막격로, 공처일세, 이계약주야, 불상통야.
무와 머글은 같은 세상에 살되, 그 경계는 낮과 밤처럼 달라 서로 통하지 않았다.

巫之道自古有焉而其盛衰隨世運轉, 若潮之往復。
무지도 자고유언이기성쇠수세운전, 약조지왕복.
무의 길은 예로부터 있었으나 그 성쇠는 세상의 운과 함께 돌며, 조수의 밀물과 썰물처럼 오간다.

夫天地之間,氣有靈濁,人有通塞。
부천지지간, 기유영탁, 인유통색.
무릇 하늘과 땅 사이에는 맑고 탁한 기운이 있고, 사람 또한 통하는 자와 막힌 자가 있다.

韓之俗傳曰,俗離山派善醫治與療癒,金剛山派習鍛骨縮地之術,皆能以氣御物。
한지속전왈, 속리산파 선의치여요유, 금강산파 습단골축지지술, 개능이기 어물.
한국의 풍속에 전하되, 속리산파는 의술과 치유에 능하고, 금강산파는 단골과 축지의 술을 익혀, 모두 기운으로 사물을 다스릴 수 있었다한다.

自東方韓嶺之巖棲道士與佛子,至西方希臘之德爾玻伊神女,吐蕃之高僧,安地斯之薩滿,亞塞拜然之修士,皆潛修玄術,避世而居。
자동방한령지암서도사여불자, 지서방희랍지덕이포이신녀, 토번지고승, 안지사지살만, 아세패연지수사, 개잠수현술, 피세이거.
동방의 한국 영산에 사는 도사와 불자에서, 서방 그리스의 델포이 신탁 신녀, 토번(티베트)의 고승, 안데스 산맥의 샤먼, 아제르바이잔의 수도사에 이르기까지, 은거해 현묘한 도술을 익히고 세상 눈을 피해 숨어 살았다.

古者多以靜坐修心,然功難成,近世之士遂假器以輔行。
고자다이정좌수심, 연공난성, 근세지사수가기이보행.
옛사람들은 주로 고요히 앉아 마음을 닦았으나, 그 성취가 어려워 근세에 이르러는 도구로써 그 행을 보조하였다.

佛子鳴木鐸而誦經,西方巫士執杖而詠呪。木者通靈之物,能載氣而應心,故為神器之最。
불자명목탁이송경, 서방무사집장이영주. 목자통령지물, 능재기이응심, 고위신기지최.
불자는 목탁을 두드리며 경을 외우고, 서방의 마법사는 지팡이를 쥐고 주문을 읊었다. 나무란 영적 기운을 통하는 물건이니, 기운을 싣고 마음에 응하므로 신기의 으뜸이라 하였다.

凡人不知其事,或笑之為妄。然天地之間,有形無形,皆理之流也。
범인부지기사, 혹소지위망. 연천지지간, 유형무형, 개이지류야.
범인(머글)들은 이를 알지 못하여 헛것이라 웃으나, 하늘과 땅 사이의 모든 유형무형은 모두 한 이치의 흐름이다.

今載哈利波特與佛之魔之事,以誌異焉。
금재하리파특여불지마지사, 이지이언.
이제 하리파특과불지마의 일을 적어 기이함을 기록하려 한다.

至於今世,巫之跡幾絕。惟英倫西土,尚存其裔。其人有稱鄧不利多者,學最博,德最厚。其徒多居於隱校,名曰胡格華特。
지어금세, 무지적기절. 유영륜서토, 상존기예. 기인유칭등불리다자, 학최박, 덕최후. 기도다거어은교, 명왈호격화특.
이제 근세에 이르러 무의 자취는 거의 사라졌으나, 오직 영국 서방땅(영륜서토)에 그 후예가 남아 있다. 그중 등불리다라 불리는 자는 학문이 으뜸이며 덕이 두터웠고, 그의 제자들은 은밀한 학교에 모여 살았으니, 이름하여 호격화특이라 한다.

時有惡巫,名佛之魔,貪權求永生,以血為咒,殺人無數。
시유악무, 명불지마, 탐권구영생, 이혈위주, 살인무수.
그때에 사악한 무당 불교의 마구니 불지마가 있었는데, 권세와 영생을 탐하여 피를 주문으로 삼고 무수한 사람을 죽였다.

有婦波特氏,與夫同為正巫,生一子,名哈利。
유부파특씨, 여부동위정무, 생일자, 명하리.
포터 부부는 정의로운 무당이었고, 아들 하나를 낳아 하리라 이름하였다.

佛之魔欲滅之,夜入其家,夫婦皆喪,惟嬰兒存。
불지마욕멸지, 야입기가, 부부개상, 유영아존.
불지마가 그들을(대명사 지) 멸하려 밤에 집에 침입했고 부부는 죽고 오직 아기만이 살아남았다.

其額留一痕,如電光,是父母以愛為盾,破惡咒所致也。
기액류일흔, 여전광, 시부모이애위순, 파악주소치야.
아기의 이마에는 흉터 하나 남았는데 전광(번개) 모양이니, 이는 부모의 사랑이 방패가 되어 악한 주문을 꺾은 까닭이었다.

佛之魔其身滅而靈存,化為影,隱於暗影之間。
불지마기신멸이령존, 화위영, 은어암영지간.
불지마는 육신은 사라졌으나 영혼만 남아, 어둠 속에 숨어들었다.

此事震動巫界,莫格魯亦無知。
차사진동무계, 막격로역무지.
이 일은 무속계 전체를 뒤흔들었으나, 머글들은 아무것도 알지 못했다.

鄧不利多恐嬰名之累,命權屬河吉利得以夜寄之於舅家,曰:
등불리다공영명지루, 명맥격여하길리득이야기지어구가, 왈:
등불리다는 아기의 이름이 세상에 누가 될까 두려워, 자기의 권속 하길리에게 명하여 득하게 하고 밤에 그를 외삼촌 집에 맡기며 이르길,

「使其在莫格魯之間,可免驕矜,以保其性命。」
사기재막격로지간, 가면교긍, 이보기성명.
“그가 머글들 사이에서 자라게하면(사역형) 교만을 피하고 생명을 지킬 수 있을 것이다.”라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