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별비교

1.시험: 중학내신<<수능<토익<텝스<토플<<SAT<AP<GRE,LSAT<<영문학

-텝스는 리딩시간이 너무박함(1분에 하나씩, 만점이 힘든 채점구조)

-토플은 시간재고녹음(스피킹)+통합형작문

-SAT는 미국인을 위한 수능이므로 외국인용 시험이 아님

-SAT는 선지식을 묻지 않는 독해능력측정이지만 AP는 미국대학교양레벨로 1년이상 방대한 리딩을 했다는 전제로 라이팅을 해야함(세계사<미국사<유럽사<미술사=영문학)

-GRE는 미국대학원수준 단어레벨을 요구하고 LSAT는 논리싸움

-영문학은 사회문화경제 다 알고 저자와 동시대에 살아야함. 한국인 네이티브도 혈의 누, 관동별곡 읽는 것은 어려움



2.영자신문: Yonhap,AP<중앙데일리<더코리아타임즈<<FT,WSJ,NYT(주제에따라)<The Guardian(영국인만의 어떤 특이한 논리구조가 있음)<<The New Yorker/New York Review of Books(원어민 지식인대상. 일본어로 주간 문예춘추 읽는 것과 같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의 이과적 모먼트

詩 - AI시대에 인간은 정보의 채집꾼일지니


AI는 학습된 모델

인간은 모델을 의심하는 존재


AI는 완성의 손짓

인간은 질문의 흠칫

AI는 잇는 자

인간은 띄우는 자

AI는 스무스하게

인간은 시냅스로 스파크


AI는 따라붙는 동무

인간은 앞서 걷는 길잡이 탐색자

낯선 데이터 사이

뾰뿅 무심히 튀어나온 점 하나를

사뿐 직관의 발끝으로 눌러보고

여기 뭔가 있다를 느끼는 자


인간의 시냅스 회로망은

논리보단 직관

확률보다는 감각

서로 전혀 연관

없어 보이는 데이터를

엉뚱한 회로로 튕겨내며

뜻밖의 뉴런 불꽃을 튀긴다


AI는 데이터셋에 기반

패턴분석에 특화

알고리즘을 돌려

결과물을 정제

노이즈는 줄이고

출력은 부드럽게

슥슥, 정교하게


벡터 스페이스 위에 띄운 언어의 점

유클리디안 거리로 잰 의미의 선


attention하나면 context의 relation

sequence는 흘러 temporal relation

layer를 넘나들며 정보의 migration


단어는 더 이상 고정된 notion이 아닌
position에 따라 바뀌는 new definition
masking으로 noise는 limitation
gradient는 흘러가는 direction

의문은 튄다
툭, 툭, 틱, 스파크처럼 번뜩
딥러닝은 확률
인간은 직감으로 점프

AI는 노이즈를 줄이는 클린 필터
백프로퍼게이션으로 가중치 조정
멀티모달 인풋, 멀티태스크 아웃풋
매끈하게 다듬는 파라미터 튠

인간은 불규칙한 감정의 파형을 가진
즉흥성 기반의 자율 신경망
논리의 궤도를 벗어나
뚝, 갑작스레 튀는 연결성

코퍼스를 모아 문장을 쪼개

태그걸어 벡터화

통계적으로 스르르

단어들을 자석마냥

끌어다 붙여


순간 번개가 번쩍

잡음에서 정보가

의미가 반짝


잡스옹왈

커넥팅닷

어떤 점을 볼 것인지 어떤 점을 엮을건지

인간만의 인지설계


뵈지 않던 상관관계
묻혀 있던 패턴관계
직감으로 훽 낚아채


고정된 좌표가 아니라 과정중 감각, 감각의 앵커
시냅스는 라벨링되지 않은 점들 사이
뜻밖의 피드포워드로 연결되고


AI는 오직 그 뒤를 따라 뚜벅뚜벅 걷는다
GAN으로 이미지 생성
NLP로 요약 생성
Diffusion Model로 상상 생성
지피티, 미드저니, 루미나이, 에이아이

질문 던지는 건 우리
길을 정하는 건 나비
모델이 도우는 건 맞지
허나 날개는 인간의 직감이지
무엇을 생성할지
인간이 던진 불완전한 질문이지

세상은 거대한 비지도 학습필드
인간은 그 안에서
엉켜 있는 의미를
느릿느릿 풀어내는
해석의 프롬프트 엔지니어


데이터는 넘실
모델은 척척
하지만 통찰은
인간에게
툭, 번쩍, 덜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내 인생 최악의 일주일 4 : 목요일 내 인생 최악의 일주일 4
이바 아모리스.맷 코스그로브 지음, 김영진 옮김 / 비룡소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넷플영화 <계시록> 봤다


1. 연상호 감독과 김지운 감독 작품은 거의 다 봤다. 희대의 괴작 <라스트스탠드>를 포함해 김지운 10개 연상호는 단편 제외 대략 11개


두 감독 다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다

시놉시스 상에서는 매력적이고 캐릭터도 좋은데 중반부터 힘을 잃는다


연상호는 기승전결의 전부터 힘이 빠지고

김지운은 항상 결말이 부족하다 <거미집>의 미술, 디자인, 캐릭터, 배우, 연출, 각본 다 얼마나 좋은가! 그런데 이상하게 결말이 엉크러진다. 본인도 엔딩을 수십 개 놓고 고민한다고 했는데, 누구나 잘 안되는 부분이 있는 것 같다


2. <계시록>에 대한 로튼토마토 리뷰를 먼저 읽고 영화를 봤는데

평이 박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찰진 대사, 정확한 캐릭터 연기,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과하지 않은 톤, 약간의 철학적 화두, 인물 관계도, 그럴 수밖에 없는 상황, 경제적 전개, 초반 대사 복선의 회수

다 괜찮다고 생각했다


정확히 1시간 11분까지



이 부분부터


이후로는 엉망이라는 리뷰에

대해 동의하게 되었다. 로튼 토마토는 이렇게 말했다

톤이 거칠다(gritty tone), 대사가 엉성하다(sporting poorly written dialogue), 도무지 믿기 힘든 상황(situations that beggar belief-좋은 영어 표현임), 서사가 뒤죽박죽(messy narrative) 지체된다(drags its feet),


심지어

한국의 거장 연상호에게는 드문 실패작(A rare misfire for South Korean maestro Yeon Sang-ho)이라는 평까지

거대한 아이디어들이 제자리에 안착하지 못하고 붕 떠 있는 느낌을 준다( filled to the brim with big ideas that barely hold together)


https://www.rottentomatoes.com/m/revelations/reviews


1시간 11분 이후 40분 동안 모든 장면이 맥아리가 없다

호텔은 왜 간 것이고

왜 목사는 그런 행동을 하며

왜 정신과 의사 앞에서 고해성사를 하며


특히 끝나기 전 15분 남겨놓고 정신과 의사와 대화가 나오는데 5분만에 급히 마무리되고


대화는 깨달음 없이 '교수님 학과장님이 보자고 하시는데요'라는 조교의 난입으로 중단된다


글자수 제한에 막혀 말하다 말은 트위터, 스레드 글 같다.


그래서 각본을 못 썼다는 말이 이해가 되었다


분명 전반부 각본의 단타로 치는 캐릭터 대사는 좋았는데, 핵심 코어인 클라이맥스오 엔딩에서 밀렸다



3. 아시바는 일본 용어다 足場 발 디디는 곳=비계=나는 계단


작업자가 높은 곳에 올라갈 수 있게 만든 임시가서물이다


영어로는 스캐폴딩 scafolding. 자동적으로 노트르담성당이 생각이 난다. 자동적으로 높은 건물을 짓도록 가능하게 한 건축장치인 버팀도리, 공중부벽(flying buttress)가 생각난다. 단어의 연계


초반의 부녀관계의 대화에서 나온 정보가 나중에 철거로 연결된다. 좋은 연출이다.


이 식탁 신에서 1)둘의 관계 2)오늘 비 3)모레 철거까지 다 드러난다




4. 한국어는 사회적 관계와 우열이 대사에 드러난다. 자기가 안 밝혀도 상대가 나한테 어떤 위치인지 무조건 드러나게 되어있다


유럽어는 남자인지 여자인지가 드러난다. 자기가 안 밝혀도 he, she, his, her로 무조건 드러나게 되어있다


스크린 라이팅할 때 참조해야할 부분,

관람시 재밌게 유추할 수 있는 부분,

다국어 자막으로 볼 시 차이를 눈에 띄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5.

영화 끝나기 10분 남겨놓고 외눈박이 괴물과 오큘러스 창의 의미가 드러나는데


엔딩에서 밝혀야할 타이밍은 아닌 것 같다


시즌제 드라마로 풀거나


20분 전에 말하거나 했어야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립중앙박물관은 최근 4년 정도 폼이 좋다 열일하고 있다

굿즈도 많이 팔고 전시기획도 좋다

박물관으로 정체성을 살리는 기획전시도 꾸준히 하지만

너무 마이너한 전시는 사람들이 안 오니까

유럽회화나 삼성이건희의 네임밸류를 앞세워 대중취향 전시도 많이 한다

티켓판매로 인한 수익은 덤


예를 들어


국중박의 대중취향+상업모먼트는

비엔나1900(24.11-25.3)

영국내셔널갤러리(23.6-10)

빈미술사박물관 (22.10-23.3)

이건희 1주기전(22.4-22.8)

이건희 기증전 (21.7-9)

-이때는 확실히 홍보+바이럴되고 사람도 미어터지게 많았다


국중박의 열일모먼트는

오세아니아(25.4-9)

고려청자(24.11-25.3)

한중일칠기(24.7-9)

미국원주민(24.6-10)

인도스투파봉분(23.12-24.4)

상형토우(23.5-10)

아스테카(22.5-22.8)

아시아 칠기(21.12-22.3)

중국고대청동기(21.9-11)

-이런 마이너한 전시는 사람이 확실히 적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