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해 볼 만한 아이디어와 리스트다.


처음 영어를 그대로 받아적기만 하는 영화제목에 대한 생각을 해본 건 종합운동장역 근처에 있었고 지금은 없어진 키노극장에서 2004년 즈음에 영화 투모로우를 볼 때였다


짜친다고 생각했다. 내일이라고 하면 되지 굳이 이렇게 하나


그런데 나중에서야 깨달았는데 영화제목이 사실 모레(The Day After Tomorrow)고 우리나라 사람들은 재난이 일단 내일 안 온다고 생각하면 급할 것 없다고 생각해 투모로우라고 했다는 것이다. 중국어로는 明日之後(명일지후, 내일 이후)다.

수입영화제목에 음차만 해도 커뮤니케이션이 되는 이유는 한국인은 다른 나라에 비해 영어를 잘하고 글로벌한 감각이 있기 때문이고


나아가 한글의 놀라운 과학적 표기법과 다양한 모음으로 인해 음차가 잘된다는 언어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요건이 마련되어있기 때문이다.


음차만 하는 한국과

의역만 하는 중국을 비교해보자

우리는 center를 센터 중국은 중심(中心 쭁신)이라고 한다


무엇이 더 나은가? 일장일단이 있고 사람마다 받아들이는 감각과 취향이 다르다.


에브리씽에브리웨어올앳원스라고 13자로 음차하는게 좋은가?

아니면 영어 발음 그대로 한자로 쓸 수 없기에 의미를 살려

중) 瞬息全宇宙 순식(순간) 전우주

대) 媽的多重宇宙 엄마의 다중우주

홍) 奇異女俠宇宙 기이여협 완구 우주 (장난하고 구원할 완구)

이라고 하는 게 나은가?


어쨌든 일본어와 중국어는 한국어에 비해 모음이 적다. 이때 일본어는 가타가나라는 외국어 전용 문자로 음차라도 하는 반면 중국어는 표음문자고 문화적으로 보수적이여서 의역을 해야한다.


(한편 현대한국어의 자음이 아쉽다. 속히 초기 훈민정음 모델에 있었던 유/무성 순치 마찰음 v/f와 무성 치간 마찰음 th를 복원해야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


머터리얼리스트는 물질주의자가 아니라 천작지합(하늘이 만든 합 天作之合)이다.


겟아웃은 逃出絕命鎮 (도출절명진, 도망쳐 나온다, 목숨을 걸 정도로 위험하 마을-읍에서)다.


어스는 (우리 달라, 아문 이我們·異)


놉은 아니 불(不!)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는 일전재전(一戰再戰) 즉 하나의 전쟁 다시 전쟁


외래어를 한자로 변환하는 순간 국한문 혼용체를 쓰던 100년 전, 혹은 홍콩 영화가 유행하던 8-90년대로 돌아간다.


마블 영화 아이언맨은 강철협(钢铁侠)


인크레데블 헐크는 무적호극(无敌浩克) - 호극은 헐크를 중국어로 읽은 음차(후크어)다


토르는 뇌신(雷神), 그 후속작 다크월드는 흑암세계(黑暗世界)


캡틴 아메리카 퍼스트 어벤저스는 미국대장: 복수자 선봉(美国队长:复仇者先锋)

그 후속작 윈터 솔져는 혹한전사(酷寒战士)

그 마지막 2부작 인피니티 워(무한 전쟁 无限战争), 엔드게임(终局之战 종국-지-전, 어조사 之지는 의of)


가디언즈오브갤럭시는 은하 호위대(银河护卫队)


앤트맨은 의인(개미 의 蚁人) 


닥터 스트레인지는 기이박사(奇异博士)


스파이더맨 홈커밍은 지주협 영웅귀래蜘蛛侠:英雄归来 (지주는 한자로 거미다)

그 후속작 파프롬홈은 영웅원정(英雄远征)


블랙팬서는 흑표(黑豹)


대안을 생각해보면 선택이 쉽지 않다.


북한의 문화어로 순화해볼 수도 있겠다.


에에올 : 한꺼번에 온 누리


겟아웃 : 어서 도망치라!


스파이더맨: 거미사나이


가오갤: 은하지킴이


기생충은 얹혀사는 자


프로즌은 얼어붙은 나라


타이타닉은 큰 배의 비극


라라랜드는 꿈나라 천사의 땅


인셉션은 꿈속의 꾀임


라이언킹은 사자왕..


몇 개만 해도 이렇게 생각해볼 수 있겠다



한글의 과학성을 바탕으로 외래어 그대로 음차 vs

한자로 의역 vs

뜻을 풀어서 순화


모두 나름의 판단인데


이는 해당 사회문화의 대다수가 적절하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해리포터는 부모님의 원수를 갚겠다(따라서 졸업은 관심사가 아니니 자퇴함)

나루토는 호카게가 되어 동료를 지키겠다

진격의 거인은 사람을 먹는 거인이 벽을 넘어 다가오니 막아야한다

이렇게 한 방향으로 직진하는 스토리가 있다


초코맛 크로와상 같은 선명한 맛인데 연재물이다보니 길이감이 있다. 부피가 크다보니 늘어지고 물리는 구간도 있다.


PTA의 원배틀애프터어나더는 깔끔하게 만든 4단 도시락이다. 혁명을 성공시키겠다, 쥐새끼가 불었으니 피난처로 도망가야겠다, 대령이 공격하니 도망가야겠다, 헤어진 윌라를 다시 찾아야겠다


4단 부스터로 달리는 스피드카 같다. 그래서 계속 새롭게 시작하는 느낌을 받았다. 목표달성은 매력요소의 하나다. 데어윌비블러드처럼 전혀 미디어에 드러나지 않는 열화된 삶,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체는 본 적 없는 음모론의 대상들의 면면을 보는 재미가 있다.


박찬욱의 어쩔수가없다는 재취업하겠다는 목표. 그러나 뱀파이어 신부 같은 설정으로 시작했을 때가 더 다차원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영화시장 하반기 서프라이즈가 있었구나 뒷심이 좋다


1. 작화와 노래가 훌륭해서 N차 관람하고 싶은 영화는 일본애니이고

귀칼(무한성 공간감과 호흡기술 작화, 그리고 무한성 진입테마)과

체인소맨(원작은 설정과 스틸컷은 좋은데 달리는 다리 표현이 별로인데 애니화가 되면서 움직임과 액션이 매우 좋아졌다 그리고 요네즈 켄시는 OST의 악마다)

이다.


내용적으로 훌륭한 것은 오늘 개봉한 PTA의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다.

2시간 40분 동안 수차례 다시 시작한다. 흥미롭다.


2. 노래에서 오스카상 <버드맨>과 서울시립, 두산갤러리, 피크닉에서 본 노송희 작가의 영상작품에서 들리는 현대예술적 사운드가 있다. 이를 배경으로 추격신이 벌어진다.


3. <아이엠샘>의 숀 펜이 스티븐 대령을 연기한다. 송강호, 황정민 등 자기 자신을 연기하는 스타일이 있는 반면 캐릭터에 맞춰서 완전히 변화하는 배우가 있는데 그게 바로 숀 펜이었다. 디카프리오가 아니라 숀 펜이 이 영화의 다니엘 데이 루이스


4. 지하 혁명 조직도 상류층의 크리스마스 모험자 파티도 모두 드러나지 않은 조직이면서 자기끼리 부르는 은어가 있다.


5. 상류층의 멤버십 가입과 그 입단 과정은 백인 청소년남자들의 사립학교와 아이비리그의 비밀클럽 가입과 인정투쟁의 연장처럼 보인다.


6. 여러 다양한 사회계층의 언어가 섞여있고 각본으로 깔끔하게 다듬어져 있어서 다채롭다. 각본집 나오면 읽어보고 싶을 정도다.


7. 번역에는 드러나지 않은 미국적 상황을 알아야만 이해할 수 있는 표현이 있다. 예컨대 학부모 면담 때 학교에 걸린 대통령 사진더러 온통 노예 소유주라고 할 때 grand wizard라고 하는데 자막에는 KKK단 리더라도 정확히 표현되었다.


8.

1) 흑인하층민 언어: pussy(쌍년), fuckin'. 영화 초입에 대령 처음 만나는 진입장면에서 무릎 꿇리라고 순화했으나 사실 꼬추 빨듯 앉히라고 말했다 (suck a dick) 


2) 백인상류층 언어: that 구절로 세 번 연결된 문장이 있었다. 그리고 abide by


3) 군사용어 go kinetic(진입하겠다)


4) 혁명가 언어


5) 히스패닉 영어 (bad hombre 배드 옴브레)


6) 통신용어


9. 영화에서 추격과 도망은 몰입감을 주기에 좋은 소재인데 왜냐면 호모 사피엔스가 사냥하면서 살아온 본능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10. 마치 한국의 징병제에서 습득된 군기문화가 예능, 아이돌, 방송, 조폭, 스포츠, 기업에 영향을 미쳤듯 미국의 군사문화도 민간사회에 영향을 미쳤는데 그중 하나는 납작한 말로 집단을 타자화하는 것이다.

치킨 릭킹(손가락 쪽쪽 빨기) 공장에 침투하는 미션을 부대원에게 전달하는 장면에서 납작한 말들로 딱 필요한 핵심만 전달한다. 브리핑할 때 편견, 맥락을 다 짚을 시간이 없다


11. 스케이트보더와 수녀님 sisters of brave beevers 들만 해도 단독으로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소재인데 한 영화에 잘 접합됐다 


12. 닌자 아카데미 도장 벽에 한자(道) 있고 한국어도 두 글자 있었다. 윌라가 품새를 하는 신이 두 번 나오는데 자막도 없고 오디오도 알아듣기 힘들어서 일본어인지 한국어인지 알 수가 없다. 햅니다?


13. 두 아버지가 있다. (강스포) 피가 이어지지 않은 자식을 사실상 기른 의붓아버지와 피가 이어졌기에 찾아와서 폭력적으로 소유하고 싶은 친아버지의 싸움이다


14. 그러니까 언젠가 올 영웅을 기다리며 지박령처럼 기다리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스타워즈의 오비완처럼. 스토리상에서는 주인공이 각성 후 바로 자기를 기다리고 있던 멘토를 만나는데 이는 주인공의 시점이다. 멘토의 입장에서는 너무 오래 기다리느라 옛날 일은 희미해져간다. 어제 일처럼 "바로 너를 기다리고 있었다"라고 말할 수가 없다.


주인공이 술과 약에 16년 (대사에서는 30년이라고 했지만, 아이의 나이는 16살이므로) 찌들어 살아 암구호를 다 잊어버려 담당자와 랑데뷰 포인트 알려달라고 입씨름하는 블랙코미디가 흥미롭다. 


15. 영화 내내 캐치미이프유캔 장면이 있다. 잡고 잡히는, 추격신


1) 도입부의 이민자해방, 송전탑 폭파 등 프렌치 75 혁명군 활동


2) 아이를 낳고 활동에서 잠시 홀딩하는 것도 일종의 느슨한 도망


3) 페르피디아 베벌리힐스가 은행털다가 잡혀서 동지 이름 불고 멕시코로 증인보호프로그램에 들어가고 윌라와 밥은 박탄 크로스로 황급히 대피


4) 인종간 성관계(interracial relationship)을 경멸하는 크리스마스 모험가 클럽에 들어가기 위해 스티븐 대령이 혹시 자기 아이일지도 모르는 윌라를 찾기 위해 아반티가 무선통신 중이던 옛 동료인 하워드 서머빌을 잡고 원주민 아이들이 덜컥 꿀꺽 쾅 핫라인을 가동시킴


5) 피난처 도시(sanctuary city)에 있던 밥과 윌라가 각각 다른 루트로 도망가는 장면. 댄스파티하고 있는 애들 잡아와 심문


6) 마약하다가 핫라인 전화 받고 혼몽항상태에서 집 침대 밑의 터널로 엉금엉금(미술감독 세트 정말 대단) 탈출과 최루탄의 추격


7) 공원에서 나와서 닌자 아카데미 도장 세르지오에게 가서 몸을 위탁


8) 이때 불법 라티노 이민자들의 대거 소개장면과 함께 영화가 굴러가기 시작. 움직이며 틈틈히 충전. 불법이민자와 함께 탈출하다가 12m 높이 빌딩에서 떨어지고 시위대 쫓는 경찰들에게 테이저건으로 잡힘


9) 짐 파커라고 횡설수설하다가 이민국 내부 동지에게 당뇨병 진단으로 인도받아 응급실에 갔다가 비상구로 탈출하고 세르지오 만나서 수녀원까지 가기


10) 한편 윌라는 수녀원까지 와서 모든 진실을 알게되고 대령에게 잡혀서 DNA테스트 받고 용병들에게 넘겨짐


11) 미성년자를 죽이고 싶어하지 않는 용병(burning wagon?)의 좌충우돌 속에서 윌라는 하얀색 차를 탈취해 도망가고


12) 아반티는 모험가 클럽 지령 받고 대령을 죽이러 부릉부릉 달려오며

-이 부분 경사진 도로 장면에서 차가 스크린에 들어왔다가 나갔다 하는 신이 일본 영화에서 여럿 보임. 고레에다 히로카즈도 그렇고 봉준호 3인3색에서도 그렇고

심지어 경사길 둔덕 아래로 내려갔을 때 화면에서 차가 사라지면 오디오도 덩달아 줄어드는 센스


13) 밥은 윌라를 찾으러 전원코드 칙칙해서 탈취한 후면 범퍼 개조 차량으로 오고 윌라는 도망가고 아바티는 대령을 쫓는 여러 추격신


이렇게 다양한 추격이 연속되어서 영화가 여러 번 시작하는 것 같다


일단 브레인스토밍은 여기까지


https://www.youtube.com/watch?v=7yeD8Xj-tLQ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루토의 사스케 사륜안 이후로


일본 만화에서 동공을 일반적으로 검게 칠하지 않고 장식하기 시작했다.


가장 키라키라 빛 나는 것은 최애의 아이


개인작으로 탑3라고 생각하는 고퀄 애니메이션 3대장에서도 모두 눈이 특별하다


마파의 체인소맨 - 마키마 눈(원심), 파워의 눈(십자)


사이언스 사루의 단다단 - 바모라 눈(별)


그리고 가장 특징적인 것은 바로


유포테이블의 귀멸의 칼날


상하현 모두 눈에 급수와 함게한자 숫자 123456의 이체자로 넘버링 되어있다.


심지어 십이귀월뿐 아니라 귀살대 주들도 눈이 모두 다르다


체인소맨은 눈 자체보다 눈 밑 두덩이 라인이 특징이다. 덴지. 왼쪽 오른쪽 2-3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밝은 느낌의 화이트 이와이 슌지 영화와 다크한 분위기의 블랙 이와이 작품으로 나뉜다


오겡끼데스카를 기억에 남긴 홋카이도를 배경으로 한 러브레터, 고등학교 친구들의 남자 선배를 둘러 싼 이야기 하나와 앨리스, 4월 이야기, 라스트 레터 그리고 아역들을 데리고 찍은 쏘아서 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DVD특전엔 당시 초딩이었던 주연배우가 훌쩍 장성해서 나와 옛날을 추억한다. 특히 남아쪽이 훨씬 달라졌다)


블랙 이와이는 제3지대를 그린 스왈로우테일 버터플라이, 릴리 슈슈의 모든 것, 키리에의 노래, 언두, 피크닉이 있다


영화 피크닉에서 츠무지는 성경 맨 뒷 장 요한계시록을 읽으며 지구 창조를 말하고 맨 앞 장 부근 신명기를 읽으며 지구 멸망을 이야기한다. 주인공 셋은 벽 위만 걸어다니니 땅에 단단히 고정되지 않은 초현실과 비현실 경계위의 존재다. 특이한 진행에 정신없는 핸드헬드인데 묘하게 몰입된다.


블랙 이와이의 특징은 주인공의 퇴장이 전혀 빌드업이 없는 상태이 갑작스럽다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