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주토피아2> 보고 왔다. <국보>와 더불어 N차 관람각이다. 물론 두 영화를 다 좋아하는 사람은 6시그마 밖이겠지만. <주토피아2>를 극장에서, OTT에서 계속 반복 관람하고 싶은 까닭은 네 가지다. 한 프레임 안에 중심이 되는 피사체 외에 꼬물꼬물 움직이는 동물 캐릭터를 발견하는 재미가 있고(화면 안의 디테일 확인) 대사가 너무 찰지며(창의적인 영어 각본) 수많은 문화,영화 레퍼런스가 보이기 때문이다.

1. 갈라 쇼에서 카메라가 뒤로 빠지며 라라랜드 같은 노란 원피스를 입은 토끼와 여우를 부각시키는데 조그마한 쥐들이 화면 좌측에서 오른쪽으로 움직인다. 파충류 구역이나 카체이스신, 축제, 시골 토끼 부모네 애들 노는 장면 등이 너무 순식간에 지나가지만 프레임 하나에 수많은 동물 디테일이 보인다. 디즈니플러스로 나오면 정지시키고 하나씩 보고 싶을 정도다. 자세한 설명 생략. 본 사람은 모두 동의할ㄹ 듯

2. 대사는 영어음성과 한글자막 여러 개를 눈여겨보고 귀 기울여 들었는데 다 기억나지 않는다. 예컨대 함께 일하다를 인간입장에서는 work in group이라고 하는데 동물입장이므로 무리라는 뜻의 in pack을 골랐다.

토끼가 깡총거리다는 홉인데 이를 희망하다, 원하다 호프라는 동음이의어를 골라 잰말 놀이를 했다. any bunny hoping/hopping to).. 깡총거리며 원한다는 느낌을 준다.

구글 아니고 zoogle 투게더 아니고 together

여우네집은 코끼리가 데드리프트하고 런닝머신 뛰는 헬스장 아래 뉴욕풍 반지하인데 헬스장 이름은 elephant trunks gym이었다. 트렁크는 팬티도 되고 코끼리 코도 된다. 아마 코끼리들이 빤쭈만 입고 있었던 것 같다

경찰 선배들은 여우에게 orange dog이라고 비하하는데 놀랍게도 여우는 고양이가 아니라 개과다.

viper는 독사인데 여우는 농담삼아 윈도우 와이퍼로 언어유희했다.

말 시장이 각성하고 하는 대사는 이건 이제 애들 장난이 아니야라는 more than horseplay다.

비버 음모론 유투버는 최근 트렌드를 반영한 캐릭인데 유투브제목이 라임을 맞춰 스케일스 테일스(파충류 껍데기 이야기)다. scales tales of the weird

플로리다풍 파충류 구역에서 곤돌라 운영하는 사팔뜨기 물개는 헤이 밥! 이라며 같은 말 바보같이 반복하는데 자막에서 그 멍청한 느낌을 살려 칭구, 칭긔, 칭규로 잘 살렸다. 번역자 칭찬한다. 이에 더해 핑크빛 케이터링 트럭로고는 아무즈부쉬로 프렌치 코스요리에서 식전 입맛 돋는 전채류인데 자막에서 입에서 살살녹는이라고 재밌게 번역했다.

3. 인종 젠더 관련 모티프도 많다.
산양은 스위스 독일 억양으로 말한다. 야(ja), 사랑(liebe)같은 독일어가 영어대사에 섞여있다. 깨알같은 디테일로 보행 보조기 앞에 테니스 공을 끼워두었다.

전작에서도 나왔던 마피아 쥐와 조직원 곰의 조합이 재밌다. 뉴욕 이탈리아 마피아 억양이 영화 <대부>나 마티 스코세지 영화에서 보이는 캐릭터 연출이다. 가족적이고, 과묵하며, 딸/손녀를 과보호한다.

새로 등장한 파충류 구역 재즈바의 도마뱀 두목은 멕시코 챙 넓은 모자에 멕시칸 억양이다.

경찰서 동료들은 모두 젠더 인종이 짐작된다. 지브로 브라더스는 청바지에 자켓이 고졸로 경찰 취직한 20대 백인 남성. 하마는 맨날 무료 도넛 먹어서(경찰이 자주 순찰오도록 유인하는 매장 전략이다) 배나온 50대 경관(인종관계없음). 멧돼지는 깐깐하고 터프한 여성 4-50대 백인여성. 등등

진한 눈화장의 뷰티퀸 산양 가수는 유명 가수 샤키라가 대사와 노래를 담당했는데 그녀와 함께 상탈한 콘푸로스트 호랑이 4명은 어째 그 업계의 LGBTQ 인상이다. 엔딩크레딧에 보니 젠더이퀄리티와 인클루션 스텝이 2명이나 포함되었고 캘리포니아 디즈니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서 마이너리티가 리프레젠테이션이 안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시골출신 ENFP 토끼여자와 대도시에 찌든 INTP 여우남자의 만남이다. 마지막에 러브유 파트너도 했고 20년 전 디즈니였다면 뮬란이나 신데렐라처럼 결혼식 장면을 넣었겠지만 거기까지 가지는 않았다.

시험부터 온갖분야에 대해 쉽게 설명한 노란 표지 페이퍼백의 <멍청이(dummies)를 위한.. 시리즈>는 미국 문화레퍼런스다.

심리학 박사가 수준 높은 가스라이팅을 하는 테라피 세션도 현대 미국 문화를 반영했다. 이혼, 상실, 트라우마, 공황장애, 전후PTSD, 부모자식 위기 등 여러가지 정신건강 문제를 다루기 위해 미국 정부의 후원을 받아 테라피 세션이 여러군데 만들어졌는데 질 나쁜 테라피스트들은 내담자를 학위논문이나 학술논문의 소재로 사용하며, 치유없는 상담을 하고, 상담 코스를 쪼개 2년차(year 2)까지 오도록 결제를 유도한다.

영화 레퍼런스는 정말 많다.

일단 툰드라 링슬리 가문의 갈라쇼에서 뱀이 도망갈 때 지나치는 주방은 할리우드 클리셰다. 한국 일본에 이렇게 주방이 길고 넓은 곳은 없다. 그 특유의 탄성있는 경첩의 알루미늄빛 주방문까지. 이때 지나치는 장면에서 바람에 사자 머리 위에 요리사 모자가 날리자 쥐가 머리카락으로 조종하고 있었다 (아이 뉴잇!) 라따뚜이 레퍼런스다.

전작의 빌런이었던 어시스턴트 메이어(부시장) 던 벨웨더는 감옥탈출할 때 보는데 이정도까지는 아니었는데 많이 흑화해서 <양들의 침묵>의 R등급 연쇄살인마 한니발이 생각난다. 공교롭게도 둘 다 여성경관의 이름이 주디 느낌이다. (토끼 이름은 주디, 양들의 침묵에서는 클라리스인데 배우 원래이름이 조디)

뱀의 증조할머니네 집 찾아갈 때 추위를 막기위해 하얀 북극곰에게 목도리를 뺏어 두르는데 곰은 코카콜라를 들고 있었다. 이외에도 디즈니 자체 레퍼런스도 많았다. 라푼젤처럼 띵하고 프라이팬으로 뱀 게리 머리를 때린다는지, 니모를 찾아서의 기울어진 잠수함 같은 곳에 숨겨진 브이아이피 전용 재즈바에 들어갈 때 거북이 등껍질을 겨울왕국 노크 리듬으로 두드린다든지.

또 뭐가 있었을까 이탈리아 마피아 반지키스는 대부, 포버트가 미로로 걸어가는 장면과 미로 공간은 샤이닝. 게리 쫓아가려고 레드라인 지나서 긴 물배수관으로 들어가는 것은 닌텐도 마리오 같은 게임 느낌이다. 테라피 파트너 상담 받는 장면은 <버즈라이트이어>에서도 있었다. 영향관계라기보다 그냥 일반적 미국문화로 보이지만.

아 아까 깜빡했는데 비버 유투버 화면이 2번 잡히는데 2번째에 우측 하단에 (want?) convo? 대충 이렇게 적혀있었는데(앞단어만 기억이 안남) 콘보는 conversation의 준말이다. 엠제트용어라고 볼 수도?

아 그리고 아까 대사에서 깜빡했는데 (쭉 글자수 제한 댓글로 이어서 써서 돌이킬 수가 없음) 토끼에게 엄빠가 문자메시지보낼 때 납치? 당했다고 하니 상황에 부적절한 이상한 이모티콘 보내다가 This is Dad(여기까진아빠야) Mom taking over(이제 엄마가 쓴다) 라고 현실 핍진한 대화를 잘 구성했고 번역도 적절했다.

또, it was honest mistake를 정직한 실수야라고 직역하지 않고, 고의는 없었어라고 상황을 고려해 번역해서 인상깊었다.

가오잡고 지렁이 통과의례시킬 때 reckon이라하는데 의미는 생각하다지만 미국 남부 아저씨 사투리가 물씬나는 단어다. 아이 렉콘 소, 를 들으면 미국 남부 백인 아저씨가 자동 소환된다.

스토리는 여러 사람이 신경써서 매만진 티가 난다. 장점이자 단점으로 한 감독의 색깔이 부각되지 않고 여러 연출스타일이 섞여있다.

기승전결의 전에서서 두 번 트위스트를 주는데 전력공급실에서 포버티의 배신과 토끼의 구사일생, 하면서 한 템포 쉬고 그리고 특허증 발견하고 악당 소탕 결말까지 질주한다. 호감이 공회전하던 토끼와 여우가 우다다 투머치 소통하는 신도 그러려니한다.

다만 특허증이 그렇게 설득력이 있는지, 미로를 보여주고 불도저로 다 쓸어버리면 무슨 임팩트인지 모르겠고 경찰이 동료를 쫓다가 급화해하는게 너무 초등애들이 싸웠다가 다음 날 다시 노는 것 같다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볼만한 동북아(일본 대만) 미술전시

개인적인 생각은
1) 대만 위에서 아래로(타이페이에서 가오슝까지) 종주 4일
2) 도쿄4일 : 서양화, 디자인
3) 오사카2일-홍콩2일
이 좋다

도쿄국박 운케이의 불상과 보관소장품전
도쿄도미술관 고흐전
★국립서양미술관 플로랑스, 오르세미술관 인상파(국박, 예전과 더불어 르누아르 피아노치는 여인 복본 3점 볼 수 있음)
도쿄국립근대 콜렉션전, 榎倉康二에노쿠라코지전
도쿄롯본기 21디자인 디터람스 등 디자인전
산토리 적흑칠기
★모리미술관(12.3-) 일본현대미술 단체전 작가21명
★국립신미술관 시대의프리즘전
네즈미술관 伊勢物語이세이야기

나고야 아이치현미술관 국제미술제
나고야시 미술관 후지타 히데지 사진전

교토 국립근대 堂本印象도모토인쇼전
교토 교세라 민예, 콜렉션전
교토 카히츠칸 문사라전

고베-오사카-교토-나라는 동선은 좋은데 오사카제외 미술전시가 제철이 아닙니다
교토국박 잠시 휴관중
나라현립미술관 전시교체 휴관중. 12.11부터

오사카 국립국제미술관 플라카드전, 콜렉션전
★오사카 나카노시마 코이데 나라시게, 콜렉션, 신시대의 비너스 아르데코 100년전
★오사카 동아시아의청자전(비청자화생)
오사카시립 천공의 아틀라스

★타이페이 국립고궁박물원 북송 서원아집, 100주년 특별전, 송판본200종
+ 타이페이는 북원이고, 쟈이에 있는 남원에서도 갑자만년전시
타이페이시립 비엔날레
타이페이 사범대 고행건
타이중 국립대만미술관 아트비엔날레, 흑수전
★쟈이 남원
(치메이 이집트 전시는 내년 1월부터)
★가오슝시립 본울프 등 여러 개(본울프는 청담 탕컨템포러리에서 했음)

★홍콩 M+ 드림룸 1950년 이후 여성예술가전 외 6개전 하루종일

https://www.npm.gov.tw/Exhibition-Content.aspx?sno=04014159&l=5&type=1&ca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지금 나를 위해 해야 하는 것들 - '완성'을 향한 김연경의 생각
김연경 지음 / 가연 / 202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일본어 한자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된 시기에 따라 발음이 다르다는 흥미로운 글을 어디에서 읽었고 옛날에 포스팅 쓰면서 언급하고 싶었지만 도저히 어디서 읽었는지 찾지 못했다. 이럴 때 보통 채선생한테 물어보는데 부분 출력하며 횡설수설했다.


(보통 정확히 기억나지 않는 고유명사, 사자성어, 외국어표현 등을 물어볼 때 GPT를 이용한다. 사전에서 표제어를 찾으려면 정확히 단어를 기억하고 있어야하고 두루뭉술한 배경지식으로는 검색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전 검색 방법의 한계다. 모르는 단어를 알기 위해서는 정확히 단어를 이미 알고 있어야한다.)


영화 <300>의 델포이 무녀들마냥 헤드뱅잉하며 할루시네이션을 하는 채선생을 지긋이 지켜보며 음 역시 악마는 디테일이 있고, AI는 인간이 경험한 미세한 부분까지는 찾을 수 없는구나 생각을 했었다.


그리고 문득 손길이 가는 아무 책이나 들춰보다가 궁금했던 부분을 발견했다. 해리 일행이 1학년 때 니콜라스 플라멜을 어디서 들었는지 찾으려고 현대마법관련 서고에서 내내 찾다가 못 찾았는데 13장 니콜라스 플라멜에서 헤르미온느가 가볍게 읽으려고(light reading) 대출한 두꺼운 고서에서 내용을 발견했던 것과 마찬가지의 세렌디피티다.


해리네가 뒤지던 책은 20세기의 위대한 마법사들 (Great Wizards of the Twentieth Century), 우리 시대의 주목할 만한 마법사들 (Notable Magical Names of Our Time), 현대 마법의 중요한 발견들 (Important Modern Magical Discoveries), 마법학의 최근 발전 연구 (A Study of Recent Developments in Wizardry)이었는데 6백살이 넘은 니콜라스 플라멜에 대한 내용은 이런 책에 없었던 일화다.


일본어의 교착된 다양한 한자발음에 대한 내용을 찾은 그 책은 <일본어 상용한자 무작정 따라하기>다. 일본 소학교 6개년 동안 배우는 1026자에 중학생 레벨을 추가한 것이다. 기초는 저수준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시작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하고 단단한 기반이라는 점에서 기초한자책의 의미를 재발견했다. 다시 읽어도 배울 점이 있다. 어떻게 한 두 번 읽고 다 이해할 수 있을까! 수준이 증가한 후 어학교재를 다시 읽으면 처음 맨땅에 헤딩할 때는 이해할 수 없었던 것들이 발견되는 재미가 있다.


각설하고, 이전에 포스팅하면서 언급하고 싶었던 것은 일본어의 한자발음이 불교도입시기 오나라 발음, 당유학생의 한나라 발음, 장강 하류지역 상인으로 섞여있는데 이는 마치 일본 철도 노선 같다는 점이었다. 기존 시스템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노선망을 확충해나가 언뜻 불편해보이지만 관습과 혁신을 절충했다는 점이다. 독일의 성문법처럼 모든 것을 다 개혁하고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게 아니라 영미의 관습법처럼 기존 질서를 존중하면서 판례를 더해 법리를 강화하는 식이다. 신규 업데이트하면 기존의 시스템을 다 철거하는 한국은 삼국시대 발음을 당나라 발음으로 다 바꿔 버려서 일본처럼 한자에 여러 음독이 섞여있지 않다. 대략 이런 말을 하고 싶었다. 


아마 <귀멸의 칼날> 만화에서 암주가 폭포수 냉수마찰 하드트레이닝을 시키며 금강경 등에 나오는 한자용어인 기수급 고독원(祇樹給孤独園) 을 외칠 때 그 읽기 방법(요미카타)에 기쥬깃 고도쿠온(ぎじゅぎっこどくおん)으로 된 것을 보고 이때 공원의 원이 보통 코-엔처럼 엔이 아니라 온을로 읽는다는 점을 발견했었다. 이때 언급하고 싶었던 내용이다. (아래 관련 포스팅 링크) 


사찰의 건립建立은 켄리츠가 아니라 콘류라고 읽는 것도 오음의 영향이다. 현재 중국어는 청나라 영향을 받아 권설음이 그득하다. 동북발음에 얼화가 많은 것도 그 영향. 그러니까 일본어 한자음은 오나라, 당송명 등이 섞여있고, 한국은 당음으로 대동단결, 중국은 자기 글자라 정치사회적 변화에 따라 내부발전을 거쳐 권설음이 강한 청나라 발음으로 고착된 것


아 그리고 책에서 달 월月을 왜 일본어로는 게츠로 ㄱ발음이 들어가고 한글로는 두자음(머리 자음) ㅇ(이응)발음이냐고 하는 부분에 대해 원래 중국 발음이 콧소리가 들어갔었고 한일이 나름의 방식으로 이를 표시한 것이라 했다.

일본 아나운서가 은는이가에 해당하는 조사 가が를 이런 비탁음으로 콧소리를 섞어서 발음하는 것에서 ㄱ의 발음을 이해할 수 있다했다. 그런 의미에서 한글도 월의 ㅇ도 콧소리 섞인 ㅇ월 같은 발음이었다고 한다.


현대중국어에서는 월은 위에(yue)다. 콧소리가 없다. 베트남 한자는 그 콧소리가 남아있다. 베트남어에서 월요일은 두 번째 날이라는 말에서 thứ hai로 바뀌었지만, 한자 月은 nguyệt 이다. 응우옛. 이 ngu응우가 그 콧소리를 표현한다. 


발음 음성 참고:

https://dict.naver.com/vikodict/#/search?query=%E6%9C%88



귀칼 기수급 고독원 관련 옛 포스팅

https://blog.aladin.co.kr/797104119/1671777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케북 : Merry Christmas 부케북 5
앨리 러니언 지음, 박혜원 옮김 / 더모던 / 202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