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몇 달 전 따끈따끈하게 출판된 시카고 미술관 2025년 하이라이트 도록이 도착했다. 출판은 시카고, 인쇄는 이탈리아, 배포는 코넥티컷 예일.
책이 태평양을 건너기 내게 오기 전에 대서양을 한 번 건넜다. 원래 갓 인쇄된 도록은 특유의 향기가 있는데 오느라 고생 많이해서 향기가 약간 덜하다. 그래도 새삥이다.
차와 함께 한적한 저녁에 금방 읽을 수 있다. 잘 다듬어진 영어로 공부가 많이 된다.
이 작품이 시카고 미술연구소에 있었어? 하는 작품들은
엘그레코의 성모승천(1577-79), 콘스타블의 Stoke-by-Nayland(1836), 르누아르의 두 자매(1881), 쇠라의 그랑자트섬의 일요일(1884), 세잔의 사과바구니(1893), 고갱 베드룸(1889)-스위스 코미디언겸 화가 우르줄라가 정리해줘서 패러디한 그 작품, 그랜트 우드의 아메리칸 고딕(1930), 호크니의 나이트 호크(1942)다.
한국작품으로는 책거리, 그리고 정상화의 무제가 색면추상주의와 함께 있다.
네덜란드 정물화, 스페인 종교화, 미국 초상화, 프랑스 인상주의, 북유럽, 색면추상, 팝아트, 판화 등 핵심적으로 있을 것은 다 있다. 고야나 들라쿠르아, 터너, 모네와 모네의 수련, 마네, 툴루즈 로트렉, 사전트, 드가, 리베라, 피카소, 칸딘스키, 마티스, 몬드리안, 달리, 샤갈, 쿠닝, 폴록도 각 작가의 세계관을 대표할만한 전형적인 스타일이다.
대단하다. 교과서에 등장할법한 작가들의 그림이 실제 소장되어 있다니
개중 에두아르드 마네의 종교화는 본 적 없어 (병사들에게 조롱당하는 예수, 1865)는 특이하다. 설명에서도 마네는 주제에 대해 비정통적 접근으로 사람들을 놀래켰는데, 이런 그림(종교화)를 그렸다는 자체가 이 그림의 가장 놀라운 점이라고 써있다.(p61)
사진 복제 유포는 공식 금지라 책 안 찍고 인터넷 사진으로 대체

특이하게 눈에 들어오는 작품은 이집트(기원전 1956-1877년경)과 멕시코(기원전 500년경) 같은 고대문명과 이란, 티벳, 에티오피아 작품이다.
19세기 이후 작품이 사실 삼분지 이는 차지하는데도 이 앞선 작품과 15-16세기 콜렉션으로 인해 균형이 잡혀보인다.
또한 다음 작품도 정말 재밌다.
영국화가 헌트의 죽음의 그림자(1873-1874)의 세밀한 묘사가 놀랍다.(p66) - 사진1

폴 고갱의 1888년작 아를의 여인들(미스트랄)의 특징은 무성한 잡목에 얼굴이 있는 것처럼 표현했다(p85) - 사진2

피카소의 전형적 원근법 무시 큐비즘이 아니라 그리스로마스타일 그림이 눈에 띈다. 엄마와 아이(1921) - 사진3

추천해준 큐레이터의 노고와 전문성에 경의를 표한다. 한 시대를 현미경으로 보는 전문가들 덕분에 그림이 제 위치에서 자기 색깔을 온전히 빛낼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