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달 전 따끈따끈하게 출판된 시카고 미술관 2025년 하이라이트 도록이 도착했다. 출판은 시카고, 인쇄는 이탈리아, 배포는 코넥티컷 예일.


책이 태평양을 건너기 내게 오기 전에 대서양을 한 번 건넜다. 원래 갓 인쇄된 도록은 특유의 향기가 있는데 오느라 고생 많이해서 향기가 약간 덜하다. 그래도 새삥이다.


차와 함께 한적한 저녁에 금방 읽을 수 있다. 잘 다듬어진 영어로 공부가 많이 된다.


이 작품이 시카고 미술연구소에 있었어? 하는 작품들은


엘그레코의 성모승천(1577-79), 콘스타블의 Stoke-by-Nayland(1836), 르누아르의 두 자매(1881), 쇠라의 그랑자트섬의 일요일(1884), 세잔의 사과바구니(1893), 고갱 베드룸(1889)-스위스 코미디언겸 화가 우르줄라가 정리해줘서 패러디한 그 작품, 그랜트 우드의 아메리칸 고딕(1930), 호크니의 나이트 호크(1942)다.


한국작품으로는 책거리, 그리고 정상화의 무제가 색면추상주의와 함께 있다.


네덜란드 정물화, 스페인 종교화, 미국 초상화, 프랑스 인상주의, 북유럽, 색면추상, 팝아트, 판화 등 핵심적으로 있을 것은 다 있다. 고야나 들라쿠르아, 터너, 모네와 모네의 수련, 마네, 툴루즈 로트렉, 사전트, 드가, 리베라, 피카소, 칸딘스키, 마티스, 몬드리안, 달리, 샤갈, 쿠닝, 폴록도 각 작가의 세계관을 대표할만한 전형적인 스타일이다.


대단하다. 교과서에 등장할법한 작가들의 그림이 실제 소장되어 있다니


개중 에두아르드 마네의 종교화는 본 적 없어 (병사들에게 조롱당하는 예수, 1865)는 특이하다. 설명에서도 마네는 주제에 대해 비정통적 접근으로 사람들을 놀래켰는데, 이런 그림(종교화)를 그렸다는 자체가 이 그림의 가장 놀라운 점이라고 써있다.(p61)


사진 복제 유포는 공식 금지라 책 안 찍고 인터넷 사진으로 대체


특이하게 눈에 들어오는 작품은 이집트(기원전 1956-1877년경)과 멕시코(기원전 500년경) 같은 고대문명과 이란, 티벳, 에티오피아 작품이다. 


19세기 이후 작품이 사실 삼분지 이는 차지하는데도 이 앞선 작품과 15-16세기 콜렉션으로 인해 균형이 잡혀보인다.


또한 다음 작품도 정말 재밌다.


영국화가 헌트의 죽음의 그림자(1873-1874)의 세밀한 묘사가 놀랍다.(p66) - 사진1


폴 고갱의 1888년작 아를의 여인들(미스트랄)의 특징은 무성한 잡목에 얼굴이 있는 것처럼 표현했다(p85) - 사진2


피카소의 전형적 원근법 무시 큐비즘이 아니라 그리스로마스타일 그림이 눈에 띈다. 엄마와 아이(1921) - 사진3


추천해준 큐레이터의 노고와 전문성에 경의를 표한다. 한 시대를 현미경으로 보는 전문가들 덕분에 그림이 제 위치에서 자기 색깔을 온전히 빛낼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트] 키메라의 땅 1~2 세트 - 전2권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김희진 옮김 / 열린책들 / 2025년 8월
평점 :
예약주문


기대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제 저녁에는 한숨도 못잤다.


친구가 소개한 이묵돌 작가의 책 초월이 도착했는데 자정에 폈다가 눈을 떼어보니 7시간이 지나 아침이었다.


앉은 자리에서 끝까지 읽게 만든 소설이 몇 개 있는데 1998년 즈음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2007년 베르베르의 파피용, 2010년 황석영의 강남몽, 2011년 강남교보문고에서 읽다가 근처 보라색 커피프랜차이즈(커피빈이었나?) 2층으로 옮겨 마저 다 읽은 세계문학상 수상작 임성순의 컨설턴트, 2014년 천명관의 고래가 생각난다. 2025년은 이묵돌의 초월이다.


1부의 김민진(=이도연)은 너무 아프고 처참한 서사에 안쓰러워하며 읽었다. 분노와 공포.

당하는 장면은 소마이신지의 영화 태풍클럽에서 사춘기 소년이 소녀를 쫓아가는 장면

가학적 삶의 양태는 소설 제리가 생각난다.


그러다가 2부에서 갑자기 여러 장르가 능청스럽게 섞이기 시작한다.

사이먼 웰스 감독의 <타임머신>의 루프물, 유통대기업 무용담, 하이델베르크 철학과 <캐스트어웨이>, 복수물 느와르 <테이큰>와 <아저씨>, 시베리아판 <마이웨이>와 <인셉션>의 세 번째 꿈 단계 스노우 포트리스,


그리고 59금 가학적 핵괴작 사드 후작의 방탕주의 학교(소돔120일) 그리고 핵전쟁 웹소설과 <로키>의 TBA 같은 텐더와 스칼라 그리고 넷플 다큐 <나는 신이다> 같은 사이비 종교, <마녀> 같은 안전가옥 목가적 장면과 늑대와의 사투는 <레버넌트> 등등의 레퍼런스가 모두 생각난다.


그러니까 왜 못 잤는가? 1부가 끝났는데 아직 1/3 지났다고?

2부를 보는 내내 이런 진행에 이런 루프인데 아직도 할 말이 더 있다고?

아니 도대체 이렇게 탄탄한 서사를 어디까지 설득하려는거지?

이게 끝이 아니고 더 나아간다고? 아직도 할 말이 더 있다고?

이 이상으로 빌드업이 가능하다고? 도연이 만날 수 있는거야?


1부 2장 p21-25의 루블린 공항에서 "어떻게 지냈어?"에서 2부 13장 p704의 "별일 없었어"까지 이르기까지 중간의 엄청난 빌드업이 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평화로운 하루를 위해, 포옹 한 번을 위해 이렇게까지 먼 여정을 거치다니


얼마나 숭고한가 사람이 사랑에게 사랑한다고 하는 것이

얼마나 아름다운가 아무 말 없이 안아주고

무탈한 하루를 보낸다는 것이


중간에 산이 납작한 말로 도연의 삶을 멋대로 평가하는 취조 장면에서 각본으로 전환하는 부분도 인상적이고, 전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여러 이야기를 블랜딩하는 솜씨가 놀랍다.


1부 15장 p113-114이 마지막 공항신이다. 이 시간은 해도가 폭발음 사이로 사라진 이후, 도연이가 삶을 복기하는 시간은인데, 해도가 706페이지 이후 산과 마지막 대결을 벌이는 시간일 것이다. 이렇게 마무리 짓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월
이묵돌 지음 / 김영사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정에 폈다가 한숨도 못 자고 밤을 꼴딱 지새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월요일 수요일 토요일
페트라 펠리니 지음, 전은경 옮김 / 북파머스 / 202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밌겠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