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문화역 아시아프 1부에 출품한 작가 중 몇 명만 글로 다뤄보자(5)
1. 이래, 비가 담긴 저녁, 장지에 채색, 2024
2. 이래, 비가 남긴 아침, 장지에 채색, 2024.


형광색과 무채색, 녹색과 주황의 대조, 빛나는 노란 태양과 검푸른 하늘은 선명한 대비를 이루며 황홀한 꿈속 풍경 같다. 셀링 포인트를 잘 아는 것 같은 작가다. 일상에서 초현실적 마법세계를 느끼게 해주며, 장식적이고 만화적이면서 치유와 명상이 느껴지기도 한다는 점에서 사람들의 마음을 얻고 지갑도 열 수 있을 그림이다.
땅거미 무렵에서 밤으로 넘어가는 시간대의 색채가 하늘에 스펙트럼으로 묘사되어있다. 보라, 파랑, 핑크가 층을 이루는 이 그라데이션은 저녁노을의 감각을 전달하며, 원경의 마을을 암시하는 전기 불빛과 함께 호수에 반사된 달빛은 화면의 중심을 고요하게 고정한다.
수직적인 나무의 가느다란 가지들이 세밀한 필체로 신경망처럼 얽혀있는 반면, 하단의 잎은 만화적으로 도형화 되어있어 단순과 세부라는 두 화풍이 병치되어 있다. 낮의 나무도 마치 볼테로풍으로 그려져있어 재밌다.
상단 하늘에는 구슬처럼 떠 있는 김창열 화풍의 극사실적 물방울들이 흩뿌려져 있는데 이는 풍경과 관객 사이에 창문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로 인하여 그림에 수공간의 평안함이 부여되고 과한 데코나 몰딩같은 프레임 없이 베일처럼 장식적 효과를 준다. 장식적이면서 아름답다. 하늘에서 떨어지지 않고, 그림에 묻어있는 유리창의 비중력적 물방울은 시공간적 확장을 제안하는 회화 내 장치다.
풍경과 동물이 친근하지만 물방울이나 빛이나 형광 아우라 처리나 색채 사용이 어딘가 오묘하게 초현실적 공간을 만들어낸다. 일종의 비현실적 일상성, 마술적 사실주의라고 할 수 있다. 보르헤스적인 감각이다.
태양과 달이 선명한 광원으로 억압적인 존재감을 주기보다는 화면 전체의 명도를 높이며 은은한 반사광을 주며 볕뉘처럼 부드럽게 스며든다. 물감이나 색채 스펙트럼에서 보았을 때 재료값이 꽤나 들었을 것 같은 유복한 그림이다

고양이 모티프는 특이하다. 낮 그림의 검은 고양이와 밤 그림의 황금빛 고양이는 좌우에서 대비된다. 제목도 비슷하거니와, 모티프 측면에서 두 그림이 한 세트, 한 쌍, 쌍둥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낮과 밤, 태양과 달, 검은 고양이와 황금 고양이는 세계의 두 얼굴이자 시간의 이중성으로, 시리즈 전개도 가능할 것 같다.
고양이는 관람자에게 감정 이입의 통로가 되며, 의인화된 동물은 작품의 서사성을 강화하는 장치다. 두 마리 고양이가 모녀처럼 호수 앞에 앉아 서로를 따스하게 응시하는 좌측의 그림은 안온한 저녁을 상징하며, 우측의 그림에서 아침녘의 고양이는 씩씩하게 홀로 길을 떠난다. 길 위를 걷는 데이타임 냥이와 앉아 쉬고있는 나잇타임 냥이모녀는 관람자를 대신해 풍경과 대면하는 대리자 역할로, 보는 이를 화면 속에 끌어들이는 것이다. 치유적이고 명상적이다.
고양이의 잔털을 표현한 세필붓 스트로크는 예민함을 요한다. 거대한 나무마저도 거친 필법이 아니었다. 작가는 세심한 사람이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