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방구석 판소리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ㅣ 방구석 시리즈 3
이서희 지음 / 리텍콘텐츠 / 2025년 6월
평점 :

조선의 오페라로 빠져드는 소리여행
『방구석 판소리』
소리로 풀어낸 서사, 한과 해학의 선율, 조선 오페라로 떠나는 힐링 에세이 여행서
《방구석 오페라》와 《방구석 뮤지컬》에 이어 '소리로 떠나는 서사 여행' 시리즈 세 번째 도서 <방구석 판소리>는 조선의 마당 깊숙이 울려 퍼졌던 우리 소리를 만날 수 있어요. 판소리를 썩 좋아하는 편은 아니지만 <방구석 판소리>를 읽으면서 제대로 몰랐던 이야기의 이모저모를 알게 된 것 같아 놀랍고 재밌었던 시간이었어요.
판소리하면 보통 춘향전 '사랑가'를 떠올리실 거예요. 저도 제일 먼저 떠오르는데요. 판소리는 단순한 소리가 아닌 누군가의 이야기, 나의 이야기를 품고 있는 살아 숨 쉬는 서사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춘향의 지조, 심청의 희생, 흥보의 웃음 등 모두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닿을 수 있는 이야기라고. 판소리 속에는 우리 민족의 삶과 문화, 정서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해요. 그런 판소리가 많이 잊힌 것 같아 아쉽긴 하네요. 듣기 좋고, 자극적인 소리(음악)는 즐겨 듣지만 판소리 듣는 지인은 본 적이 없는 것 같기도 하네요.
판소리는 17세기부터 등장한 한국의 전통 음악이자 고전 문학이고 연극이에요. '소리꾼'이 북을 치는 '고수'의 장단에 맞춰 소리(노래), 아니리(말), 너름새를 섞어 이야기를 풀어내는 특징이 있지요. <방구석 판소리>에는 '조선의 오페라 - 판소리 다섯 마당'에 심청가, 흥보가, 춘향가, 수궁가, 적벽가를 '잃어버린 조선의 아리아들 - 타령 네 마당'에 옹고집타령, 장끼타령, 변강쇠타령, 숙영낭자타령을 '삼국시대 뮤지컬 - 향가'에 도솔가, 서동요, 헌화가&해가, 처용가, 원가를 '고전의 발라드 - 고전시가'에 하여가&단심가, 임제의 한우가&한우의 화답시, 황진이와 소세양 이야기, 홍랑과 최경창 이야기를 '달빛 아래 붉은 실 - 고전소설'에 이생규장전, 옥단춘전, 금방울전, 정수정전을 소개하고 있어요.
각각 노래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과 중간중간에 소리를 담았는데요. 어렸을 적에 동화책으로 읽었던 심청전, 흥부와 놀부, 춘향과 이몽룡 등에 대한 몰랐던 내용을 알게 돼서 스토리 읽는 재미가 쏠쏠했던 책이라 하겠습니다. 이야기를 다 만나고 나면 QR코드를 통해 각 판소리에 대한 대표곡을 감상할 수 있어요. 판소리가 익숙하지 않고 여전히 어렵게 느껴진다면 <방구석 판소리>만 먼저 쭉~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책을 쭉 읽다 보니 얼마 전 방영도 하고 웹툰으로도 만나봤던 '정년이'가 생각나네요. 판소리가 대중음악처럼 익숙하면서도 친숙한 장르로 자리 잡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지 고민하고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듭니다.
출판사 지원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