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84 1 - 4月-6月 1Q84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Q84년은 1984년의 약간 다른 지점에 놓여 있다. 달이 두 개인 곳, 리틀 피플들이 세상 밖으로 걸어나오려 하는 곳. 거기에 덴고와 아오마메가, 쓸쓸한 놀이터에서 두 개의 달을 바라보고 있다. 10살 때 손을 잡은 이후로 한번도 조우하지 못한 두 사람. 소설 속에서는 이 두 사람의 이야기가 교차 편집된다. 얼마 전 읽은 <좌안>, <우안>을 생각나게 하는 구성이다. 

하루키는 예전부터 환상적인 요소를 가미하는 데 능숙했다. 아주 현실적인 캔버스 위에 양 사나이라든지 고양이 킬러라든지 하는 기묘한 인물들이 현실적인 인물들의 사고를 진전시키거나 방해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이 소설에도 리틀 피플과 공기 번데기라는 가상의 존재가 등장한다. 그리고 그 리틀 피플을 받아들이는 리시버, 전달하는 퍼시버라는 개념도 낯설다. 이러한 요소는 하루키의 작품을 차별화하는 중요한 지점 중 하나다.

어떤 문장과 묘사들은 너무 훌륭해서 베껴쓰고 싶을 정도다. 귀찮아서 관뒀지만. 특히 어떤 상황에 대한 묘사를 눈에 보이는 다른 것으로 쉽게 대치하는 능력은 정말 뛰어나다. 자연스럽고도 기발한 묘사의 대가다.

'소설 리라이팅'이라는 소재도 흥미롭다. 내용이나 주제는 너무 우수한데 문장력이 엉망인 소설을 전문작가가 고쳐 쓴다,라. 데뷔 당시 형편없는 문장력으로 평단의 논란이 있었던 배수아가 생각난다. 하지만 난 그녀의 엉성한, 보기 드문 문장이 좋았다. 그게 그 소설의 매력 중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리라이팅이 유효한가는 고찰할 만한 문제다.

문학사상사 책 치고는 표지나, 내지, 장정, 제본이 꽤 좋은 퀄리티였다. 특히 겉표지를 벗겨냈을 때의 흰 표지의 질감이 무척 아름다웠다. 책의 흡입력은 역시 대단해서 잠들기 전에 300페이지씩 읽기도 했다. 아쉬웠던 건 후반부와 결말이었다. 소설이 2권 중반으로 넘어가면서는 "이렇게 끝나버리는 거야? 3권까지는 나왔어야 될 책인데..."라는 황당한 생각도 들었다. 

뭐 대체로 재미있었고 아름다웠고 유익했던 작품이다. 하루키는 여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가니 - 공지영 장편소설
공지영 지음 / 창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작가를 좋아한 적은 단 한번도 없다. 하지만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비롯해서 몇 권은 읽은 적이 있다. 그 이유는 화제가 되는 작품을 피해가기가 때로는 힘들기 때문. 이 책은 무진에 있는 청각장애인학교에서 벌어진 성폭행 사건을 소재로 삼고 있다. 늘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는 부분에 주목하는 작가다. 그것도 능력이겠지.

문장이나 서사는 상당히 전통적인 방식에 기대고 있다. <무진기행>의 앞부분을 연상케하는 무진이라는 도시에 대한 묘사도 그러하고. 소설은 그럭저럭 재미있게 읽힌다. 워낙 소재가 민감해서 아이들에 대한 동정이 절로 생겨나기도 하고. 자애학원의 임시교사로 방관자의 입장이던 주인공이 점점 사건에 몰두해가며 중심에 서게 되는 과정도 공감이 간다. 전반적으로 지나치게 교훈적이고, 교장을 비롯한 악당들이 평면적으로 '너무 나쁘다'는 점은 좀 짜증이 나지만. 

소재에 대한 연구와 조사는 꼼꼼히 한 것 같다. 그런 점에서는 꽤 존경스러운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라하의 소녀시대 지식여행자 1
요네하라 마리 지음, 이현진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미식견문록>을 통해 알게 된 작가. 공산당원이었던 아버지를 따라 어린 시절 프라하에 살았던 그녀는 러시아어 통역이 job인 일본인이다. 이 작가는 필력이 정말 대단하다. 인물 스케치가 생생하면서 큰 그림도 놓치지 않는다. 유머 감각도 대단. 

이 책은 소녀 시절 만난 3명의 여자친구에 대한 회고담이다. 그리스인 리차, 루마니아인 아냐, 유고슬라비아인 야스나, 그 친구들도 모두 공산당원인 부모를 따라 프라하의 소비에트 학교에 다녔고, 그 학교에서 요네하라 마리와 조우한다. 작가는 단순이 어릴 적 추억을 아름답게 포장해서 내밀지 않는다. 어릴 적의 추억과 공산당에 대한 사회의 시선, 공산당원으로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한 아이다운 정의와 행동들, 그리고 어른이 되고 난 후의 삶의 변화까지 추적한다.

특히 여자라면 반드시 공감할 만한 '친구만들기'의 과정, 성장하면서 친구의 변화에 대한 놀라움, 선망과 질투 등이 재미있게 그려져서 논픽션임에도 소설처럼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덤의 침묵 블랙 캣(Black Cat) 11
아날두르 인드리다손 지음, 이미정 옮김 / 영림카디널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겐 좀 낯선 이 작가는 아이슬란드의 범죄소설 대표작가라고 한다. 최근에 읽은 <얼음공주> 덕분에 일본 아닌 서양 추리물에 대한 관심이 생겨났다. 아가사 크리스티 외에는 별로 안 읽었었는데. 전형적인 미국 범죄소설은 아직도 별로라고 생각한다.

아뭏든 이 책은 영림카디널의 Black Cat 시리즈 중 한 권이다. 표지나 장정이 요즘 쏟아져 나오는 책들에 비해 좀 초라하다는 게 첫 인상. 소설의 시작이 좋다. 뼈를 문 아이라는 설정이 관심을 끈다. 과거와 현재를 교차하듯이 쓰고 있는데 처음에는 어리둥절하다가 중반쯤 접어들면 퍼즐이 들어맞는 느낌이다.

트릭이나 잔인함을 추구하는 흥미 위주의 소설이 아니라, 서사적인 부분에 꽤 무게를 두고 있으며 사회적인 시선도 제법 무겁다. 형사가 나오는 사회파 미스테리라고 불러도 좋을 듯하다. 첫 작품인데 꽤 매력적으로 다가왔던 작가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종증후군 증후군 시리즈 1
누쿠이 도쿠로 지음, 노재명 옮김 / 다산책방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같은 작가의 <통곡> 이후 두 번째로 손에 든 작품이다. 첫 작품을 꽤 인상깊게 읽어서 기대가 있었다, 라고 과거형으로 쓰는 건 기대가 좀 무너졌기 때문. '증후군 시리즈'는 이 외에도 두 편이 더 출간되어 있다. 하지만 더 이상 내 돈 주고 사 읽을 마음은 안 든다.

경찰 조직 바깥의 특별수사팀이 중심이 되어 '젊은이들의 실종 사건'을 수사한다. 그 과정에서 사회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실종의 이슈가 발견된다. (이 이슈는 미야베 미유키의 <화차>에서도 발견된다) 이 소설이 교훈적으로 여겨지고 재미가 덜한 이유는, 특별수사팀의 캐릭터에 공감하기 힘들기 때문인 것 같다. 특히 그 중심인물에 대해 독자는 거의 정보를 얻지 못한다. 마치 멀리 떨어져 방관하듯이 소설을 읽어내려갈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번역에 좀 문제가 있었다. 직역투의 어색한 문장이 꽤 많이 눈에 띄었다. 처음 보는 번역자인데, 조금은 모험이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