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 ㅣ 미쓰다 신조 작가 시리즈 1
미쓰다 신조 지음, 김은모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 미스터리 장르는 좋아하지만, 공포 소설을 찾아 읽는 편은 아니다.
애드거 앨런 포의 단편들을 좋아한 적은 있지만. '황금벌레' 같은.
미쓰다 신조는 미스터리에 호러가 결합된 스타일이서 읽을 때 늘 으스스함을 느끼게 만든다.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도 그렇고.
이번에 읽은 <기관, 호러작가가 사는 집>은 소설가가 주인공인 '작가' 시리즈의 첫 편이자, 데뷔작이다.
어떤 소설가가 영국에서 이축해온 사연 있는 집에 이끌려 들어가 살게 되고, 거기서 여러가지 일을 겪는다는 내용.
스티븐 킹의 <샤이닝>을 떠올리게 만들기도 하는 무척 흡입력 강한 소설이었다.
소설가가 현재 집필 중인 공포소설의 원고가 중간중간 이어 나오는데, 원래 스토리와의 연결 지점이 놀라울 정도로 매끄럽다.
'인형의 집'이라도 설정도 으스스하고, 작가가 목표로 한 '분위기로 승부하는 괴기 환상 소설'이라는 지점에 놀랍도록 부합한다.
책 속에 현존하는 미스터리 작가들(스티븐 킹, 에도가와 란포, 렌조 미키히코 등)에 대한 평도 나오고 영국 괴기소설들에 대한 방대한 지식도 슬쩍 보여주는 통에, 미스터리 마니아로서 푹 빠져들어 읽었다.
국내 발간 제목이 좀 아쉽고, 그래서인지 큰 인기를 못 끈 것 같다. 재정가되어 5천원이다.
책 정리는 즐거운 반면, 중노동일 뿐 아니라 조심하지 않으면 시간을 상당히 빼앗긴다. 고향 집에 있던 수천 권과 도쿄에서 사모은 수백 권이 다이기에 개인 장서로서는 극히 보잘것없었지만, 그저 책장에 꽂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니라 저자와 출판사, 판형을 생각하면서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제법 어렵다. 게다가 자료로 자주 사용하는 책은 꺼내기 쉬운 곳에 꽂아두고 싶고, 에도가와 란포, 존 딕슨 카, 스티븐 킹, 아와사카 쓰마오, 렌조 미키히코 같은 작가의 책은 역시나 특별한 취급을 하고 싶다. 결국 책을 꽂는 순서와 넣는 장소가 결정될 때까지 상당한 시행착오를 겪을 수밖에 없었다. 120p
(괴기 환상 소설은) 이야기를 꺼낸 김에 말하자면 단편이 좋다. 이건 유령의 집을 주제로 한 소설 운운하기 이전에 모든 괴기 환상 소설은 단편이 최고라는 뜻이다. 미스터리와 달리 괴기 환상 계열의 소설은 기본적으로 분위기가 중요하다. 플롯으로 독자를 끌어들이는 장편이라고 해도 축적되는 분위기를 소홀히 할 수는 없다. 그러한 의미에서 볼 때, 호러소설의 대가 스티븐 킹의 작품은 세부적인 요소가 단단하기 때문에 괴이한 현상이나 공포의 대상이 출현하기까지 굳건히 뿌리를 내린 내용이 상당한 효과를 발휘하기는 하지만, 괴기나 환상을 즐길 수 있을 법한 짜임새는 아니다. 엔터테인먼트로서 걸출하기는 하지만 장대한 만큼 다양한 요소가 들어가기 때문에 순수한 형태의 공포를 즐길 수 없다. 125p
괴기소설을 쓰는 작가 스스로 공포를 느끼는 소설. 그것은 오히려 바람직한 상황이다. 작품에 따라 차이는 있겠지만 작가가 어떤 의미에서 무섭다고 느끼지 않는 소설은, 좀 거칠게 말해 괴기소설로서는 실패작이리라. (중략) 하지만 쓰고 싶다. <모두 꺼리는 집>의 다음 이야기를 쓰고 싶다. 이렇게 무서워하면서도 이야기를 자아내고 싶다는 욕구와 함께 이다음 이야기를 알고 싶다는 바람과도 같은 감정이 들끓었다. 지금 내 몸속에는 작가로서의 나, 독자로서의 나, 그리고 뭔가를 두려워하는 나, 이렇게 세 사람의 내가 있다. 171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