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성의 삶이 바뀌었을까?

 

이 소설을 읽으며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소설 속에서 대학 때 등산동아리에 속했던 주인공이 만났던 여자 선배 차승연이 했다는 말.

 

등산 동아리에서 여자 회장이 나오는 걸 보겠다... 결국 10년이 걸렸다는 말로 전개가 되지만, 대학 동아리 회장을 여성이 하는 데도 그렇게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대학을 졸업한 김지영이 입사한 회사에서 여성들이 처한 위치는 이보다 더하다고 할 수 있다.

 

유일한 여성 팀장은 김은실 팀장이 지내온 과정은 여성을 지우는 과정이었고, 그 팀장이 여성의 처우개선을 위해 노력을 하지만 그건 개인의 노력일 뿐이고, 회사에서 구조적으로 양성평등을 이루려는 노력은 하지 않는다. 무려 2000년대에.

 

1960년대 태어난 사람들은 자신들이 어른이 되면 세상은 많이 달라져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이들이 대학 다닐 때 민주화 운동이 한참이었고, 이 소설의 주인공인 김지영이 태어난 때인 1980년대 생들이 사회 생활을 할땐 이들이 사회의 주축이었다.

 

자, 민주화 운동을 했다는 사람들이 사회의 주축을 이룬 시대에 과연 여성들이 살아갈 세상은 변했는가? 양성평등이 민주주의를 이루는 기본이라면, 과연 그러했는가? 이런 질문에 우리는 부정적인 답을 할 수밖에 없다.

 

지금 봇물터지듯이 나오는 #미투 운동 역시 우리 세상이 여전히 여성들에게는 불리하게 돌아갔다는 사실을 반증하고 있다.

 

이 소설에서는 그러한 여성의 삶을 파노라마 식으로 보여주고 있다. 물론 소설에서 느끼는 인물과 인물의 갈등, 인물과 사회의 갈등이 첨예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소설이라기보다는 보고서, 다큐멘터리 대사를 듣는 듯한 느낌을 주는 소설이다. 한 여성이 정신질환을 앓게 되기까지 사회가 가한 폭력에 대한 보고서.

 

나중에 의사인 남자가 서술자로 등장해 이런 느낌을 더 전해주고 있는데, 그래서 어떤 긴장감 없이 그냥 주욱 읽어나갈 수 있지만, 그럼에도 여성이 살아오고 또 살아갈 세상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꼭 여성이 아니더라도 소수자들이 살아가는 삶이 얼마나 편견에 차 있고, 고통스러울지를 생각할 수 있다. 세상의 절반이라고 추켜세우면서도 그들을 소수자로 늘 배제하고 편할 때만, 필요할 때만 자신들에게 끌어오는 사회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고나 할까.

 

이 소설에서 가장 핵심은 바로 여기라고 생각한다. 그래도 나름 여성의 삶을 이해해 준다는 남편 정대현과 아내 김지영이 임신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장면.

 

  김지영 씨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 그러니까 출산 이후에도 직장 생활을 계속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과 벌써 이런 고민을 하고 있다는 데에 대한 죄책감을 남편에게 열심히 설명했다. 정대현 씨는 차분히 아내의 말을 듣고 절절한 순간에 고개를 끄덕였다.

  "그래도 지영아, 잃는 것만 생각하지 말고 얻게 되는 걸 생각해 봐. 부모가 된다는 게 얼마나 의미 있고 감동적인 일이야. 그리고 정말 애 맡길 데가  없어서, 최악의 경우에, 네가 회사 그만두게 되더라도 너무 걱정하지 마. 내가 책임질게. 너보고 돈 벌어 오라고 안 해."

  "그래서 오빠가 잃는 게 뭔데?"

  "응?"

  "잃는 것만 생각하지 말라며. 나는 지금의 젊음도, 건강도, 직장, 동료, 친구 같은 사회적 네트워크도, 계획도, 미래도 다 잃을지 몰라. 그래서 자꾸 잃는 걸 생각하게 돼. 근데 오빠는 뭘 잃게 돼?"

  "나, 나도…… 나도 지금 같지는 않겠지. 아무래도 집에 일찍 와야 하니까 친구들도 잘 못 만날 거고. 회식이나 야근도 편하게 못할 거고. 일하고 와서 또 집안일 도우려면 피곤할 거고. 그리고 그, 너랑 우리 애랑, 가장으로서…… 그래, 부양! 부양하려면 책임감도 엄청 클 거고." (136-137쪽)

 

이런 차이가 있다. 남자는 자신이 직장을 그만둔다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집안일이 자신의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보통 남자보다 좀더 낫다고 할 수 있는 소설 속 정대현 역시 여기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에게 집안일은 돕는 것이고, 직장을 그만두는 사람은 당연히 아내인 김지영이어야 하는 것이다.

 

사고방식은 쉽게 변하지 않는다. 여전하다. 그리고 사회 역시 변하지 않았다. 여성들이 공무원이나 교사를 직업으로 원하는 이유는, 육아 문제에서 그래도 조금은 낫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분야에서 일한다고 전적으로 양성평등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는 없다. 단지 다른 직업 분야보다는 좀 낫다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이 정도 되는 직업이 우리 사회 모든 직장이 지닌 모습이어야 하지 않을까.

 

소설에서 이런 모습을 드러내는 구절이 있다. 바로 소설의 서술자인 정신과 의사가 하는 말. 김지영에 대한 상담을 하고 있는 이 남성의사는 마지막에 이렇게 말한다.

 

아무리 괜찮은 사람이라도 육아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여직원은 여러 가지로 곤란한 법이다. 후임은 미혼으로 알아봐야겠다. (175쪽)

 

김지영이 어떤 과정을 거쳐왔는지, 여성이 어떻게 해서 정신질환까지 앓게 되었는지를 상담하는 정신과 의사인 남성이 마지막에 하는 말은 바로 이것이다.

 

여전히 남아 있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다. 양성평등을 개인에게만 미루어서는 안 된다. 사회를 변화시키지 않으면 82년생 김지영은 계속 나올 수밖에 없다. 이런 김지영을 둘러싼 남성들도 계속 나올 수밖에 없고.

 

#미투 운동과 더불어 다시 한 번 양성평등에 대해서, 진정한 민주화에 대해서, 적어도 민주화운동을 했던 사람들이 기성세대가 된 사회에서, 또 그들 뒤에 기성세대가 된 사회에서는 민주주의를 이루는 기본은 양성평등, 소수자 차별이 없는 사회라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3-22 0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3-22 10:29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