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직히 젊은 시인들의 시를 읽다보면 무슨 말을 하려고 하는지 도무지 알 수 없단 생각을 한다.
이 시집 역시 마찬가지다. 계속 머리로 생각하게 하는 시집을 좋아하지 않는 편인데... 사실 시가 마음을 울리지 않고 머리에서 계산하게 하면 우리가 학교 다닐 때 골머리 썩였던 이상의 시와 다를 게 없기 때문이다.
난 여전히 이상의 시에서 감동을 받지 못한다. 마음을 울리기보다는 눈을 먼저 괴롭히기 때문이다.
학자들이나 비평가들이 좋아할 만한 시. 일반 독자들은 도대체 뭔 소리야 하면서 외면하는 시.
이 시집을 읽으며 왜 자꾸 들뢰즈라는 사람이 떠올랐을까? 아니 들뢰즈 철학을 잘 모르니 들뢰즈라기보다는 그의 철학을 해설한 사람들이 들려준 '리좀(rhizome)'이라는 말이 생각났다고 해야 한다.
어디로 갈지 모르는 상태. 나무 줄기가 명확하게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어서 우리가 보고 판단하기가 편하다면 뿌리 줄기라 할 수 있는 리좀은 어디로 향할지 알지 모른다는 상태.
체계적으로 뻗어나간다기보다는 그냥 스스로도 존재하면서 어디로도 뻗어가면서도 서로 연결이 되는 상태라는 것.
젊은 시인들의 시는 요즘 이런 상황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 눈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런 성향을 지닌 사람들에겐 잘 이해가 될까? 나로서는 의문이긴 하지만...
유희경의 이 시집에서도 이해 못할 시들이 많았고, 마음을 울리는 시를 발견하기는 힘들었다. 다만, 뜻이 무언지는 잘 모르겠지만 이런 시... '우산의 반대말'
우산의 반대말
고이면 좋겠어
잠든 도시의 가슴팍에
의심이란 거지 우리가
찾아볼 수 없는 흔적
이렇게 끝내주는 소리는
천년 전의 것
용서하라 모든 이빨을
비가 내일을 잡아 뜯고
눈썹을 파르르 떨어
써놓은 문자를 내놓는다
쏟아져 내리는, 입말
놀라는 눈과 감기는 물
비가 내리는 만큼
입을 다문 사람
그게 아니더라도
이런 날씨 앞에서는
누구나 넓고 너무 투명하다
떠오른다 침묵하지 않는,
하고 싶은 말 지우고,
젖어간다 모서리부터
유희경, 오늘 아침 단어, 문학과지성사, 2011년 초판 4쇄. 98-99쪽.
우산은 가리는 것. 비를 막는 것. 그러니 우산의 반대말은 가리지 말라는 것. 빗소리, 제대로 듣기가 힘든 요즘.
비는 자신의 말을 하기 위해서 우리에게 오지만 우리는 우산으로 막거나 또는 건물들로, 그리고 아스팔트로 철저히 비들을 막아 하수구로 흘려보내고 만다. 비가 하는 말을 듣는 것은 먼 과거의 일.
이만큼 우리는 어쩌면 다른 사람의 말을 듣지 않는지도 모른다. 비가 좍좍 내릴 때 잠시 침묵하는 것. 비가 하는 소리를 듣는 것. 그러나 결국 비는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우리에게 전달하지 못한다.
우산이 없더라도 비는 고이지 못하니까. 그가 쓴 글씨는 곧 사라지고 마니까. 그래서 그의 언어는 문자언어, 글말이 아니라 입말일 수밖에 없다. 순간성을 지닌 말.
이런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여전히 어렵다. 그냥 이 시는 그래도 자꾸 읽고 싶어진다. 의미를 명확히 파악하지는 못하겠지만 무언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게 하기 때문이다.
리좀이다. 이 리좀에 대해서는 세대가 다른 사람들이 이해하기가 힘든지도 모른다. 디지털 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 또 디지털에서 추방된 사람들이 서로 의사소통하기가 힘들어지는지도 모르겠다.
하여간... 시 읽기 어떨 땐 참 좋기도 하지만, 어떨 땐 고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