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이 지옥일 때
이명수 지음, 고원태 그림 / 해냄 / 201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이 고통 속에서 힘들어 한다. 고통 속에서 허우적거리며 자신만이 그 고통의 바다에 있는 양, 도무지 그 바다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양, 남들은 모두 해변에서 즐겁게 노니고 있는데, 자신만 발에 무거운 돌덩이를 달고 자꾸만 바닷속으로 들어가고 있는 양,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때.

 

그때가 바로 자신의 마음이 지옥에 있을 때다. 지옥, 우리는 끔찍한 곳, 절대로 가고 싶지 않은 곳으로 생각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한 발 한 발 지옥으로 스스로 걸어들어가고 있는지도 모른다.

 

자신이 지옥에 있다고 느낄 때 지옥에서 나오게 하는 불빛 또는 지옥을 가로지는 징검다리가 있다. 그것은 바로 사람이다. 사람은 사람으로 인해 절망에 빠지기도 하지만 사람으로 인해 희망을 지니기도 한다.

 

그렇게 사람은 사람과 함께 살아간다. 사람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사람을 보아야 한다. 사람의 말을 들어야 한다. 사람의 마음을 알아야 한다. 자신의 마음을 표현해야 한다. 그래야만 사람과 사람이 함께 살아간다.

 

더불어 사는 사람들, 그 사람들에게는 지옥이 있다 해도 '내 가슴에서 지옥을 거내고 보니 / 네모난 작은 새장이어서/ ... / 지옥은 참 작기도 하구나' (230쪽. 이윤설 '내 가슴에서 지옥을 꺼내고 보니' 부분) 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어떻게 사람과 함께 살아가지?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저자는 시에서 찾고 있다. 시는 우리의 마음을 치유해주고 자신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도 볼 수 있게 해준다.

 

시를 읽는 사람, 시를 가까이 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 사람이다. 단지 사람만이 아니라 우주의 전존재와 함께 하는 사람이다. 그에게는 지옥은 너무도 작은 존재다. 지옥은 있지만, 그 지옥에 자신을 빠뜨리지 않는다. 또한 지옥에 빠진 사람에게도 나올 수 있게 방향을 알려주거나 그가 딛고 나올 수 있는 디딤돌이 된다.

 

이렇게 시를 읽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우리 사회가 지옥일 때는. 하지만 지금 우리 사회는 어떤가? 이 책은 한 편의 시, 이 시 하나로 이 책을 설명할 수 있단 생각을 했다.

 

회사

 

꽃 피고

꽃 지는 것 모르고

 

비 뿌리고

장마지는 것도 모르고

 

투명한 어항 속에 비치는

캄캄한 심해

 

술취한 고래처럼

이따금 푸우 푸―우

하늘을 솟구쳐 올랐다가

 

바람 불고

낙엽 지는 것 모르고

 

눈꽃 피고

얼음 풀리는 소리 듣지 못하고

 

어디쯤 지나고 있을까

밤 기차는

 

이명수, 내 마음이 지옥일 때, 해냄2017년 초판 2쇄. 송종찬, '회사' 134쪽.

 

이게 어디 회사만일까? 학교는 어떤가. 한창 청춘인 젊은이들이 과연 이 시에 나오는 장면들을 볼 수 있는가. 이들도 회사원처럼 그냥 모든 것이 캄캄한 상태에서 내달릴 뿐이다. 학생만이 아니다.

 

나이듦을 여유로움이라고 했던 시대가 있었는데, 지금은 나이듦 역시 무작정 달리는, 주변을 살피지 못하는 그런 상태에 불과하지 않은가. 그렇다면 이 시에서 말하고 있는 '회사'는 바로 우리 사회가 아닐까. 지금 우리들의 모습 그 자체 아닐까.

 

이런 상태에서 우리는 시를 읽을 여유가 있는가? 없다. 시를 읽을 마음을 내지도 못한다. 시와 멀어진 삶, 그것이 지금 우리들의 모습 아니던가. 시는 학교에서나 배우는 것, 시집은 감히 사서 읽을 엄두도 내지 않는 것.

 

시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다른 사람들과 만나는 일을 하지 못하는 시대. 그런 시대에서 다시 시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진정으로 지옥에서 벗어나고자 할 때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고자 해서이다.

 

심리기획자인 저자가 우리 마음을 어루만져 우리를 옥에서 건져주고 싶어 82편의 시를 선택해서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짧막한 그의 말들과 함께...

 

읽으면서 위안이 된다. 생각보다도 마음이 먼저 움직인다. 마음이 따스해지고 편안해진다. 그렇게 읽으면서 내가 지옥의 한복판에 있는 것이 아니라, 지옥의 바깥으로 걸어나오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꼭 저자의 시 해석을 따라가지 않아도 된다. 내 맘대로 읽어도 된다. 그것이 바로 시의 힘이다. 그 점을, 너는 너라고 저자는 이 책을 통해 말해주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11-06 12:1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11-06 13: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