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 소설
한강 지음, 차미혜 사진 / 난다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한강 소설이라고 해서 읽었는데, 소설로 보기가 참 힘들다. 짧은 글들이 이어져 있을 뿐이다. 물론 이 짧은 글들을 꿰고 있는 소재는 바로 '희다'이다.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은 '흰' 것들에 대한 단상.

 

'나, 그녀, 모든 흰' 이렇게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읽다보면 이어지는 내용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처음부터 끝까지 '흰'이 밝음 보다는 어둠 쪽에 더 가깝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보통 '흰'은 밝은, 깨끗한, 순수한, 맑은, 가벼운 등등의 의미를 불러일으키는데, 이 소설에서는 영어 제목부터가 '어두운, 무거운, 슬픈' 등등의 느낌이 나게 한다. 영어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The Elegy of Whiteness'다.

 

엘레지(Elegy), 사전을 찾아보면 '비가(悲歌)'라고 나온다. 슬픔의 노래라는 뜻이다. 흰이 비가라니... 그렇다. '흰'은 어떤 슬픔을 불러일으킨다. 1부인 '나'로부터 시작하지만 이 '나'는 부재의 나다. 없는 나다.

 

바로 나자마자 세상을 뜬 아이로부터 시작한다. 그렇게 시작해서 다시 아이로 간다. 결국 없음에서 시작에 없음으로 가는 인생에 대한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없음에서 시작해서 우리는 끊임없이 무언가를 있음으로 만들지만, 그 있음 역시 없음 속에 존재하게 된다.

 

'흰'은 다양한 색채들과 함께 존재하지만 그 색채들을 다시 '흰'으로 만든다. 이것이 바로 우리 인생이다.

 

굳이 '공수래공수거(空手來空手去)'라는 말을 떠올리지 않아도 된다. 지금 내게 있는 수많은 색채들은 바로 '흰'을 바탕으로 한다. '흰'을 바탕으로 하지만 이들은 시간이 지나면 '흰'으로 돌아간다.

 

'흰'을 우리는 거부할 수가 없다. 세상에 나온 아이가 처음으로 보는 것은 '흰'일 것이다. 빛... 세상의 빛, 그 다음 아이는 '흰'것으로 자신의 몸을 감싼다. '배내옷'이다. 이렇게 자신을 감싼 것에서 이제 새로운 '흰'이 나온다.

 

바로 엄마의 젖이다. 젖으로 아이는 생명을 유지한다. 그러나 젖은 외부에서 온다. 자신의 '흰'으로 살아가야 한다. 이 때 나오는 '흰'이 바로 이다. 우리 삶을 유지시켜줄, 음식을 씹을 수 있게 해주는.

 

그러다 다시 '흰'이 나오기 시작하면 이제는 처음에 왔던 없음으로 돌아갈 준비를 해야 한다. 검었던 머리가 하얘지고, '흰' 이들이 하나둘 빠져나갈 때... 이제는 다시 한 줌의 재가 될 준비를 한다. 나중에 이 재조차도 없음으로 돌아가게 된다. 텅 빈 흰으로.

 

'없음'에서 태어나 다시 '없음'으로 가는 길, 이 길에서 우리는 수많은 '흰'들을 만난다. 짧은 글들 속에 온갖 '흰'들이 나오지만 이 '흰들'은 바로 우리 삶이다. 

 

하여 소설 속에서 '나와 그녀, 그리고 모든 흰'으로부터 우리는 삶을 만나게 된다. 자신의 삶을 보게 된다.  

 

짧은 글들의 모음이고, 이 글들이 작가의 슬픔을 우리에게 전해주고 있지만, 그 슬픔으로 해서 '흰'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