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의 소설을 먼저 읽었다. 말들의 잔치... 그렇다. 소설에서는 삶보다는 말들이 앞섰다.

 

  말은 삶을 대변할 뿐인데, 지시하는 대상을 무시하고, 그 자체로 존재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명분.

 

  오로지 그것이다. 그러나 명분은 소위 먹물들에게나 해당하는 것이지 일반 백성들에게 명분은 소용 없다.

 

  일반 백성에게는 명분보다는 생존이, 생존을 넘어 생활이 필요하다. 그렇게 백성을 살게 해주는 정치가 필요한데...

 

  남한산성이라는 작은 공간에 갇혀서도 오로지 명분만을 앞세우는 그런 모습들.

 

 

영화는 소설을 충실히 따라간다. 그만큼 영화에서도 참 한심한 모습들의 재상들이 나온다. 그들에게는 명분도 필요없다. 오로지 자신들의 안위만 필요할 뿐.

 

여기에 백성들은 그냥 동원되는 존재일 뿐이다. 그들의 말 속에 백성들은 없다. 자신들의 말이 백성들의 목숨을 좌지우지 한다는 사실을 이들은 무시한다.

 

소설과 마찬가지로 영화에서도 말들이 아니라 삶이 살아있는 인물은 대장장이 서날쇠다. 그는 그야말로 살아 있는 사람이다.

 

다른 인물들은 말 속에 갇힌, 말보다도 못한 사람들이다. 이들의 말 속에 들어 있는 의미를 찾아내는 것. 이들이 말과 생활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서날쇠 같은 사람들이 해야 할 일이다.

 

이 영화가 지금 시기에 개봉이 된 것은 예사롭지 않다. 과연 그때와 지금의 상황이 다른가. 병자호란이 그냥 과거의 일일 뿐인가 하는 질문을 하면 그렇지 않다는 대답을 할 수밖에 없다.

 

남한산성이라는 작은 성에 고립돼 있던 인조와 신하들, 우리는 한반도라는 작은 나라, 그것도 반도도 아닌 섬 취급을 받는 그런 나라에 고립돼 있지 않은가.

 

여기서 과연 살 길은 무엇인가? 말들만 난무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삶을 살아가는 국민들, 그들의 삶이 지속되도록 하는 말을 하고, 그 말을 실천하는 사람, 그런 사람이 정치를 하게 해야 한다.

 

백성은 안중에도 없고 오로지 자신들의 안위, 자신들의 명분만을 내세우는 말들이 판치는 영화 '남한산성'과 다르게 우리는 국민들의 삶을 대변하는 말들이 나오는 정치를 하게 해야 한다.

 

우리는 그때의 백성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의 말을 실천에 옮기게 할 수 있는 힘이 있다. 그 힘을 정치가들도 무시하지 못한다. 이것이 바로 영화의 그때와 지금이 다른 점이다.

 

처한 상황은 비슷하지만 시키면 시키는 대로만 할 수밖에 없는 백성이 아니라, 엄연한 주권을 지닌 국민, 그점이 다르다. 너무도 큰 차이다. 이 점을 명심해야 한다. 영화를 먼저 본 사람이라면 김훈의 '남한산성'을 읽어도 더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