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철스님 시봉이야기
원택 지음 / 김영사 / 2012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성철 스님하면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는 말이 떠오른다. 선승으로 유명하신 분이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불교 조계종의 종정을 역임하신 분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철저한 수행으로도 유명한 스님인데, 최근에 법정스님과의 대화를 엮은 '설전(雪戰)'을 읽고 성철 스님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름을 들어본 것에 비해서 성철 스님의 글을 읽어본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그러다 읽을 인연이 되었는지 헌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하게 되었다.

 

'설전'도 원택 스님이 엮은 것인데, 이 책 역시 원택 스님이 쓴 것이다. 성철 스님이 입적하기 전까지 가장 가까이에서 모셨다는 분.

 

시봉이라는 말이 모신다는 뜻이니, 성철 스님에 대해서 잘 알 수 있는 글들이 실려 있을 것이라 생각했고 그 기대에 어긋나지 않았다.

 

원택 스님이 출가를 하게 되는 과정도 나오지만 이 책의 중심은 성철 스님에 대한 이야기다. 그동안 잘 모르고 있었던 성철 스님의 과거를 알 수 있게 된 것이 큰 수확이라고 할 수 있다.

 

부잣집 큰아들로 태어나 출가를 하기까지의 과정, 결혼을 했음에도 출가를 했고, 그 따님까지도 그리고 부인까지도 출가를 했다는 것, 조계종의 기본을 세운 스님이 바로 성철 스님이라는 것 등등.

 

이런 개인적인 일화말고도 불교에 관한 성철 스님의 생각을 알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성철 스님의 주장은 '돈오돈수'라는 것. 학교에서 불교 사상에 대해 배울 때 - 국사 시간에 조금이지만 - 지눌의 '돈오점수'라는 말을 들어보았지만, 돈오돈수라... 단박에 깨우쳤는데, 무슨 조금씩 조금씩 닦아갈 것이 있겠느냐는 말.

 

그런 깨우침을 위해 정진, 또 정진을 해야 한다는 성철 스님의 말, 수행. 음식 하나에도 최선을 다해 생활한 분이라는 것. 그리고 결코 중들을 위해, 절을 위해 불교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대중을 위해, 아니 대중이 바로 부처임을 깨닫게 하기 위해 불교가, 스님이, 절이 존재함을 역설한 스님이라는 것.

 

그렇다. 그렇게 큰스님이 된 성철 스님은 도시로 나와 대중 앞에 서기보다는 산 속에서 자신이 해야 할 일을 묵묵히 실천한 분이라고 할 수 있다. 

 

가끔 절에 가면 실망을 할 때가 많다. 점점 더 멋져지는 절들, 산 입구에서부터 걸어가는 스님보다는 비싼 차를 타고 가는 스님을 보게 될 때, 과연 절이, 스님들이 도시에 있는 교회들을 닮아가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는 생각을 한다.

 

종교는 자신들을 드러내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존재하는 것 아닌가.

 

자비니 사랑이니 하는 것들, 보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지 않는가. 성철 스님은 그렇게 불교가 존재하기를 바랬을 텐데, 지금 불교는 어떤가... 조계종은 지금 몇 분파로 나뉘어 서로 싸움을 하고 있지 않은가.

 

이것이 불교의 모습인가? 성철 스님이 바라던 불교의 모습이던가. 아닐 것이다. 종단이 권력이 된 지 오래되었지만, 여전히 불교는 가능성이 있다.

 

그것은 바로 성철과 같은 스님들이 존재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겉으로 내세우지 않지만 자연스레 그 법력이 드러나는 스님들이 여전히 있기에.

 

성철 스님의 이야기... 불교에 대해서, 스님에 대해서 아니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주고 있다. 신문에 커다랗게 난 불교 갈등의 광고를 보면서 다시금 성철과 같은 스님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