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에 관한 글이라기보다는 삶에 대한 다양한 글이 실려 있어서 좋다. 삶과 교육이 떨어져 있을 수가 없겠지만, 이번 호에 실린 대안학교 학생의 글은 삶과 교육에 대해서 더 생각하게 해주고 있다.

 

  분명 '삶과 배움'이 아니라 '삶과 교육'이다. 대안학교에서 배움을 지향하고 있지만, 그들이 실천하고 있는 것은 교육인 경우가 있다는 것을 이 글에서 느낄 수가 있는데...

 

  '어제는 밭을 갈고 오늘은 바느질을 했지만'(들주)이란 글인데... 대안학교 학생들이 교육과정의 일환으로 무를 심고, 그 무로 무말랭이를 만들어 먹고 있지만, 사실 무말랭이는 잘 먹지 않으며, 자신들이 무를 키운 것이 아니라, 교사가 시키는 대로만 했을 뿐이라는 것.

 

마찬가지로 바느질을 해서 옷을 만들었지만, 옷을 자신이 만든 것이 아니라 시키는 대로 한 결과물일 따름이라는 것. 이런 내용이다. 결국 대안교육은 삶과 배움이 하나가 되기를 지향하지만, 자발적인 배움이 일어나지 않으면 교육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것.

 

이상하게 교육이라는 말에서 수동성과 강제성이 느껴지니, 대안교육이 어디까지 왔는지, 물론 이 글은 그 중의 한 가지 부정적인 예에 불과하겠지만, 한번 생각해 보는 기회였고...

 

최근에는 교사들의 성추행(성폭력)이 계속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는데, 이들이 어디까지가 성추행인지 잘 모른다면 과연 어떻게 교사를 할 수 있는지, 알면서도 했다면 그들을 교사라고 할 수 있는지 생각하게 되는데...

 

'성폭력을 바라보는 시선'(조아라)은 성폭력에 대해서 여러모로 생각하게 한다. 자칫 잘못하면 가해자가 아니라 피해자가 더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그런 시선들과 태도들에 대해.

 

어쩌면 성폭력을 당한 행위만큼이나 그 뒤 사람들의 시선, 특히 가까운 사람들의 시선이 그들을 힘겹게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여기에 '고라니의 염치'(채효정)라는 글에서 시장지상주의적 사고를 하는 내 모습을 발견하고는 깜짝 놀라기도 했다. 그렇다. 지금까지 살아온 과정 속에서 나도 모르게 시장을 우선시 하는 그런 사고방식을 지니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모든 것을 돈으로 환산해서 생각하는, 어쩌면 우리는 지금 행복도 돈으로 환산해서 계산하고 있지는 않은지.. 블루베리 농사에 얽힌 여러 이야기들을 통해서 돈에 잠식된 인간의 염치, 부끄러움, 정의에 대해서 생각할 수 있는 글이었다.

 

무엇보다도 이번 호의 특집은 '덕후'다. 오타쿠라고도 하는 덕후. 한 가지에 빠져 전문가적 소양이나 행위를 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말이다.

 

사람을 한 줄로 세우는 시대는 지났다. 그럼에도 우리나라는 아직도 한 줄 세우기를 한다. 이 한 줄 세우기를 무너뜨리는 사람들, 그들이 바로 덕후다.

 

누가 뭐래도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 자본에 종속되지 않고 그냥 하고 싶은 대로, 대신 집요하게 철저하게 하는 사람.

 

꼭 자격증이 있어야 전문가라고 할 필요는 없다. 이 덕후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이미 전문가다. 이런 덕후들이 예전에는 사회부적응자라는 소리를 들었으나 요즘은 사회에서 인정받는다고 한다.

 

덕후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가 이번 호에 실려 있어서 부정적인 시각에서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뀐 덕후들에 대해 알 수 있게 된다.

 

어쩌면 우리는 어느 한 분야에서는 모두 덕후인지도 모른다. 그것이 우리 삶의 일부분이기도 하겠고.  

 

여러 글들,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고 있다. 읽을 만하다. 민들레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