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위의 남작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07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4년 8월
평점 :
이탈로 칼비노가 쓴 소설 중에 두 번째로 읽은 소설이다. "보이지 않는 도시들"이라는 다소 모호한, 환상적인 소설을 읽은 기억으로 그의 다른 소설도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하다가 고른 책.
우리의 선조들 3부작이라는데, 어쩌다 보니 두 번째에 해당하는 이 책을 먼저 읽게 되었다.
"나무 위의 남작"이라? 나무에서 살아간 사람의 이야기겠거니 짐작하고 집어들었는데, 그 짐작이 맞았다. 어릴 시절 나무에 올라갔다가 죽을 때까지 내려오지 않은 사람의 이야기다.
그냥 단순하다면 단순한 이야기일 수 있는데, 이 소설이 배경으로 삼고 있는 것이 프랑스 대혁명기 전후의 이탈리아 어느 도시이니 시민혁명이라는 역사의 흐름을 벗어날 수는 없다.
귀족 집안에서 태어났고, 아버지의 작위를 물려받지만 달팽이 요리를 거부하고 나무로 올라간 이래 내려오지 않은 '코지모'라는 형의 이야기를 동생의 관점에서 우리에게 들려주고 있다.
그냥 나무 위에 사는 특이한 사람의 이야기라고 하면 되겠지만 여기에 프랑스 대혁명기 전후의 여러 사람들 이름도 나오고, 그 시대 상황도 나온다. 물론 구체적으로 그 시대 상황에 휩쓸려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이 아니라 나무 위에서 어느 정도는 관조하는 그런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그렇다고 시대의 흐름을 빗겨가지는 않는다. 귀족임에도 공화주의를 지지하는 코지모, 그를 통해 시대의 변천을 느낄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나무 위에서 내려오지 않는 그로 인해 우리는 그 시대 상황에 어느 정도 거리를 둘 수 있께 된다.
시대 상황에 몰입하지 않고 거의 60년에 이르는 시기를 그냥 흘려보내게 된다. 이런 전개 속에서 왕정이든 공화정이든 땅에 붙박혀 사는 사람들에게는 어떤 정치체제냐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 그들에게는 하루하루의 삶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어느 정치체제로 바뀌어도 나무 위에서 생활하는 코지모의 생활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늙어서 죽어갈 때 결국 기구의 밧줄에 매달려 어디론가 사라진다.
이렇게 그의 삶을 살펴보면 땅에서 나무로 올라가고 나중에는 하늘로 사라졌다고 할 수 있다. 나무를 보자. 나무는 땅과 하늘을 이어주는 존재 아니던가.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나무는 신성한 존재이기도 했다.
우리를 하늘과 연결해 주는 존재였으니. 그렇다면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이 소설에서 나무 위에서 살기로 결심한 코지모는 알게모르게 인간세상에서 나아가 하늘을 추구하는 삶을 산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내려올 기회가 있을 때에도 나무에서 내려오지 않는다. 이는 다시는 땅에 발을 딛는 삶을 살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고, 그의 삶은 이미 이런 땅의 세계에서 떠났음을 알려준다.
우리들이 원하는 삶이 땅에서 이루어지지 힘들다는, 이상의 세계는 다른 곳에서 이루어진다는 그런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소설에서 코지모와 관계되는 사람들은 나무에서 내려온다. 이상은 꿈꿀 수 있지만,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땅에 내려와야 함을 생각하게 하는데... 사람들은 땅을 벗어나 살 수 없음을 다른 인물들을 통해 알 수 있다.
결국 코지모는 자신이 꿈꾸었던 이상이 현실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으니 사라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그가 사라진 뒤 그가 살던 곳에 나무는 베어지고 숲은 없어지게 된다. 이제 우리는 자연과 함께 공존하던 시대에서 자연을 정복하는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
이상을 꿈꿀 수 있는 나무가 사라진 시대가 되는 것이다. 그 나무에서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존재로 살아갔던 코지모와 같은 인간은 더이상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는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결말이기도 하다.
이렇게 이 소설은 그냥 나무 위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로 흥미롭게 읽을 수도 있고, 이상과 현실의 중간에서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로 읽어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