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는 법을 배우기
시어도어 다이먼 지음, 원성완 옮김 / 민들레 / 2017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나라 학생들은 세계에서 가장 긴 시간을 공부한다고 한다. 학교에만 있는 시간도 어마어마한데, 학교 수업이 끝나면 학원으로 가 또다시 수업을 받는다. 여기에서 끝나면 좋겠는데, 집에 돌아와서는 숙제라든가, 복습 또는 예습이라는 이름으로 또다시 공부를 한다.

 

정말로 엄청나다. 하긴 4당5락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것도 옛말이다. 예전에 이 4당5락이라는 말은 고3에나 적용되는 말이었는데, 요즘은 중학생들에게도 이런 말이 적용이 되니, 학생들은 너무도 긴 시간을 공부에 투여하고 있다.

 

그러면 이렇게 오랜 시간 공부한 학생들이 공부를 잘하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성적은 좋을지 모른다. 그러나 공부를 잘하지는 못한다.

 

결과 중심의 공부이기 때문이다. 내가 그 문제를, 원리를 이해했느냐가 중요하지 않다. 몇 점을 받았느냐가 중요하다. 그러므로 깨우침 없이 그냥 외우기만 하는 현실이다. 그래서 평균이 90점이 넘는 학생들도 기본적인 것을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다.

 

문제를 조금만 바꾸어도 이해를 하지 못해 틀리는 경우도 많고, 긴 시간을 공부한다지만 그것은 책을 붙들고 앉아 있을 뿐이고, 머리 속으로는 다른 행위를 하는 경우가 더 많기도 하다. 한 마디로 시간 때우기 공부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공부를 배움으로, 권리로 여기지 않고 노동으로, 의무로 여기기 때문이다. 마지못해 할 뿐이다. 여기에 성찰은 없다. 오로지 더 집어넣어야 할 뿐이다. 성적이 떨어지면 더 많은 시간을 더 많은 참고서와 문제집에 할애한다.

 

그냥 밀어넣는다. 오답노트? 왜 틀렸는지 고민하고 해결하기보다는 그냥 틀린 문제 적어놓는다. 다음에 또 틀린다. 또 적는다. 또 푼다. 또 틀린다. 또 푼다. 이번엔 맞는다. 왜? 원리를 이해해서? 아니, 그냥 문제 풀이까지 외워서이다.

 

그러니 비슷한 문제가 나오면 맞힐 수가 없다. 외운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게 바로 우리나라 교육, 학생들의 현주소다. 배움이 없는 오로지 결과만 있는 공부의 결과.

 

이 책은 그 점을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다. 물론 학생들의 성적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배우는 법을 배우기'라는 제목으로 노래 부르기, 운전하기, 테니스 치기, 피아노 연주하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모두 우리의 신체활동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아무리 의식적으로 잘하려고도 해도 자신의 몸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더 좋아지는 것이 불가능한 활동들이다.

 

무엇보다 맹목적으로 연습하는 것보다, 일방적으로 지시하는 것보다, 한 발 물러서서 자신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무언가를 더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불필요한 동작을 덜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는데, 우리가 결과를 의식하는 순간 몸이 경직되고, 이는 나쁜 습관으로 굳어져 더이상의 발전이 없음을 여러 사례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무언가를 잘하려면 결과에 치중하기보다는 과정에 충실해야 한다. 과정을 들여다 볼 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무엇을 하기까지의 과정을 잘게 쪼개야 한다. 즉, 광범위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단기적으로 달성가능한 목표, 그것도 어려움 없이 할 수 있는 목표들을 하나하나 순차적으로 제시해야 한다는 것이다.

 

자신의 신체를 잘 이해하고, 그 신체에 맞는 작은 과정들을 하나하나 해나가는 동안 무의식적으로 굳었던 나쁜 습관들을 하나하나 해체해 가게 된다.

 

그러면 자연스레 자신의 몸이 변하게 되고, 이를 통해 하고자 하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한다. 처음부터 커다란 목표를 정하고 그에 맞추려 하는 것은 오히려 일을 망친다고 하는데...

 

지금의 성적중심주의 교육에서는 학생들이 배움에 도달할 수가 없다.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그것을 하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찾기보다는 몇 점을 받아야 한다는 것에 온 정신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도 이해할 수 없고, 몇몇을 빼고는 목표에 도달할 수도 없다. 참 지당한 말인데... 그런데 우리나라 학생들이 이렇게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면 답답한 마음이 든다.

 

우선 자신을 경쟁의 대열에서 빼내어야 하는데, 주변에서 그것을 용납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 그렇게 할 시간도 별로 없다. 학생들이 배우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유가 필요하다.

 

생각해 보라. 대학생이 되어서도 학비를 대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해야 하고, 그 때문에 공부할 시간이 없어 간신히 외워서 학점을 따는 대학생들도 많은데, 이들도 자신의 배움을 스스로 되돌아보며 선택하고 노력하기가 힘든데...

 

꽉 짜여진 일정 속에서 공부를 하는 중고생들은 자신의 성찰하면서 배움에 대해 고민하기는 더 힘들다. 이들에게는 두 달에 한 번 다가오는 시험, 그리고 점수, 입시가 중요할 뿐이다.

 

그렇게 지내왔다. 그렇게 이야기해 왔다. 그러니 배움이 아니라 성적을 받기 위한 노력만이 있을 뿐이다. 이 점을 저자도 안타까워 하는 듯하다. 비록 성적이 아니라 신체활동과 관련된 배움을 이야기했지만, 수학이나 과학, 국어, 영어 과목도 마찬가지다.

 

학생들이 배움에 실패하는 경우는 학생들 책임도 있지만 가르치는 교사들 책임이 더 크다는 말. 교사들 역시 점수가 전부는 아니라고 하지만 학생들이 잘 배우지 못한 결과를 분석하고, 학생들이 배움에 다가설 수 있게 구체적인 과정을 만들지 못했다는 비판을 하고 있다.

 

옳은 비판이다. 이 비판을 받아들여야 한다. 이런 교육활동에도 불구하고 성공한 몇몇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이런 교육활동으로 실패한 많은 학생들에게 주목해야 한다는 말 절절하게 다가왔다.

 

그렇다면 결국 배움은 학생들도 노력해야 하지만 교사들도, 가르치는 사람들이 더 노력해야 하는 문제라는 것이다.

 

학생의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낼 수 있는 통찰력을 지닌 교사, 그런 교사가 필요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아직도 이런 교사들이 부족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고, 그럼에도 노력하는 교사들이 있음을, 이런 책이 번역되어 나오는 것은 학생들의 욕구뿐만이 아니라 교사들의 욕구도 반영된 것이라 생각하니, 아직 가능성이 있다는 생각을 위안으로 삼는다.

 

이제 다시 배움에 대해서, 정말로 배우는 법에 대해서 배워야 하지 않을까, 이 말을 거꾸로 하면 가르치는 법을 배워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읽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