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에게 유시민은 자유주의자로 각인되어 있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였던가, 그의 책을 처음 접했던 것이. 어쩌면 그보다 그의 '항소이유서'를 먼저 만났는지도 모른다. 절절하게 다가오는 문장들, 그 문장들은 바로 우리가 겪었던 현대사였다.

 

그런 그가 자유주의자로 다가오게 된 것은 그가 처음 국회의원이 되었을 때다. 국회의원 명패에 이름을 한자로 기록하던 때에 한글 이름으로 바꾸자고 하는 것도 잘 안 되던 그렇게 보수주의, 형식주의에 갇혀 있던 국회에 그가 자유로운 복장으로 나타난 것.

 

아마도 여러 우여곡절 끝에 그가 복장에서 어느 정도 타협했다고 기억하는데, 국민을 대표한다는 국회가 굳이 정장을 입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 하는 그의 행동에 동조했었다.

 

복장이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얼마나 국민을 대표하는 행동을 하느냐가 문제였다고 생각했고, 국회가 너무도 형식에 치우쳐 있는 것이 아닌가, 그들이 그런 형식으로 국민을 대리한다기보다는 국민 위에 군림하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하기도 했었으니.

 

그런 참에 유시민의 그 시도는 참으로 신선했다. 그리고 발랄했다. 물론 그 한 명으로 우리나라 국회가 바뀌지는 않았지만, 국회라는 경직된 땅에 잔잔한 파문을 일으킨 것만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이어서 그는 복지부 장관도 하고, 그 다음에는 정계에서 멀어져 글을 쓰면서 살아가고 있지만...

 

이 책은 그가 살아온 현대사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나라 현대사 책이라고 할 수 있지만 자신이 태어난 해부터 이 책이 나온 때인 2014년까지만을 이야기하고 있다.

 

우리가 겪어왔던 시대를 유시민이 어떻게 겪었고,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역사는 결코 객관적일 수 없다. 이 사이에 일어난 사건들을 모두 기술할 수 없기 때문이다. 책을 쓰는 사람의 관점에서 필요한 것들을 골라 쓸 수밖에 없다. 따라서 역사는 주관적이다. 이 주관들이 얼마나 사실에 기초하고 있느냐에 따라 역사책의 공과가 결정될 것이다.

 

격동의 현대사라고밖에는 말할 수 없는 이 기간, 그는 치열하게 살았다. 격동의 순간에 있었던 사람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 서술하고 있는 현대사가 생생하게 다가온다.

 

그것도 자신의 관점을 명확하게 밝히면서 서술을 하고 있으니, 유시민의 관점에서 우리는 반세기를 따라갈 수 있다. 아마도 진보니 보수니 하는 말보다는 자유주의자라는 말이 어울리는 그의 관점을 따라가면서 읽을 수 있다.

 

그는 우리 현대사를 세 단계로 구분한다. 이 구분이 타당하다는 생각을 한다.

 

난민촌 시대 - 병영 시대 - 광장 시대

 

6.25전쟁이 끝나고 10년이 채 지나지 않아 그가 태어났다. 우리나라가 절대빈곤에 허덕일 때다. 이때를 난민촌 시대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먹고 사는 일이 중요한 때. 독재권력이 극악무도하게 다가오지 않을 때다.

 

정치권력의 민주화보다는 먹고 사는 일에 더욱 신경을 쓸 때고, 먹고 살 수 있게 해주는 정치권력이면 나름 인정을 받는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시대가 지속될 수는 없다.

 

독재권력이 먹고 사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면 사람들은 이제 정치에 서서히 눈을 돌리게 된다. 시민들은 정치에 관심을 가지는데, 권력을 분점하고 싶지 않은 독재 권력은 이를 용납할 수가 없다.

 

이때 발현되는 것이 바로 병영 시대다. 사회의 군대화. 군대처럼 꽉 조여 사회가 돌아가게 된다. 뭐든지 명령과 지배만 있다. 명령에 따라야 한다. 따르지 않으면 항명이다. 처벌만이 있을 뿐이다.

 

유신독재, 또 전두환 정권 시기까지 우리나라는 병영국가라 할 만했다. 오죽했으면 여차하면 위수령, 계엄령에, 법을 무시한 대통령 긴급조치에 대학에 경찰이 상주하는 그런 시대였으니. 그럼에도 경제는 계속 발전한다. 시민들의 의식은 더욱 성장한다.

 

산발적으로 고립되어 벌어지던 민주화에 대한 열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다. 먹고 사는 문제가 해결된 다음에는 독재는 삶을 옥죄는 더욱 커다란 압박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이때 민주화운동이 일어난다. 일어날 수밖에 없다. 그렇게 형식적 민주주의가 형성되어 간다. 이제는 광장 시대로 접어든 것이다.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열려 있는 삶을 사는 시대, 자유가 보장된 시대가 된다. 1987년 이후 우리 사회는 광장 시대를 열었다. 그렇다. 이제는 누구나 정치적 발언을 할 수 있다. 물론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이 책에서 이런 광장을 위협하는 것이 아직도 우리가 겪고 있는 남북 갈등이라고 하고 있지만, 국민을 배반하는 정치가를 끌어내릴 수 있는 장치는 되어 있는 사회가 우리 사회다.

 

이 책이 일찍 나와 여기에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총으로 끌어내렸던 독재권력을 이제는 시민의 힘으로 합법적인 절차를 밟아 부패권력을 끌어내지 않았던가.

 

이것이 바로 광장의 시대다. 우리는 이런 광장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 얼마나 많은 일이 있었는지, 이 책을 보면 알 수 있다.

 

그가 55년을 살아오면서 겪었던 일, 보았던 일, 들었던 일들과 자료를 모아 정리해 놓고 있으니, 역사의 수레바퀴는 뒤로 갈 수 없다는 것, 잠시 뒤로 갈 수는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앞으로 간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다.

 

우리는 다시 난민촌 시대로도 병영 시대로도 갈 수 없다. 그렇게는 우리들이 살아내지 못한다. 그런 시대를 거쳐 만들어 낸 광장 시대, 우리가 더욱 자유롭게 지켜내야 한다. 역사 책을 읽는 이유, 역사의 바퀴를 계속 앞으로 굴리기 위해서 아니겠는가.

 

작가인 유시민 역시 에필로그에서 말하고 있다. 미래는 이미 우리에게 안에 와 있다고. 그 미래를 밖으로 꺼낼 일이 남은 것이다. 지금 우리에게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