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스포라를 사는 시인 김시종 재일코리안총서 6
호소미 가즈유키 지음, 동선희 옮김 / 어문학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낯선 이름이다. 녹색평론에서 그의 자서전에 대한 서평을 읽기 전까지는 그냥 지나치고 넘어갔던 인물.

 

중고서점에서 이 책을 보기는 했지만,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굳이 일본에서 일본어로 시를 쓴 재일한국인(어쩌면 그에겐 재일한국인이라는 말보다는 재일조선인이라는 말이 더 어울릴지도 모른다. 그에게 조국은 분단된 나라가 아니라 하나로 통일된 나라이기 때문이다)에게 관심을 기울일 이유가 없다고 생각했다.

 

일본에서 활동한 작가들 중에 기껏 이름을 안다고 해야 김석범과 이회성 정도, 최근에는 서경식의 책을 조금 읽고 있지만, 서경식은 소설이나 시를 쓰는 작가라기보다는 에세이를 쓰는 사상가 쪽에 더 가깝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기에, 김시종에 대해 더이상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런데 녹색평론을 읽다보니 김시종이 제주 4.3에 관련이 되어 있었으며, 그로 인해 일본으로 떠날 수밖에 없었다는 점, 그가 우리나라 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해서도 "광주시편"이라는 시를 썼다는 것이 그에 대한 책을 읽게 만들었다.

 

생각난 김에 중고서점에 들러 사서 읽기 시작한 책, 그가 일본어로 시를 썼지만 일본어에도 조선어의 흔적이 담겨 있고, 시의 내용에는 조국의 현실과 그의 삶이 처절하게 녹아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반도 북쪽 원산에서 태어나 일제시대에 그곳에서 살고 일본어를 조선어보다도 더 잘 구사하던 그가 갑작스레 다가온 해방으로 조선어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고, 조선어를 익히다가 다시 제주도에 살게 되어 4.3에 관련되는 파란만장한 삶.

 

그의 삶 자체가 디아스포라의 삶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남과 북 어느 곳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사람이었고, 자리잡고 사는 일본에서도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 수밖에 없는 시인이었다.

 

그는 본래 사회주의사상에 경도되었으나 여러 가지 일로 인해 북한 쪽과는 거리를 두게 되었고, 최근에는 남한을 방문하여 여러 활동을 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의 시에는 이러한 삶의 아픔이, 역사의 비극이 잘 드러나 있는데, 이를 그의 첫시집의 분석에서부터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 이 책이다.

 

어떻게 그의 시에 4.3이 녹아들어가 있는지, 또 일본에서 재일한국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의 힘든 모습들, 그리고 광주민주화운동이 그에게 어떤 의미로 다가왔는지를 작품을 통해서 살펴보고 있기에 김시종이라는 시인 입문서로는 적당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온몸으로 조국의 비극을 겪은 시인인 김시종은 비록 일본어로 시를 썼다고 하지만 우리 문학사에서도 소홀히 할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그가 작품에서 놓치지 않고 있는 것이 조국의 현실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 민족의 분단, 이념 대결이 없었다면 어쩌면 일본에 살 수밖에 없게 된, 그래서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 수밖에 없었던 이런 사람들이 거의 없게 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하며...

 

이제는 이들도 우리라는 틀 안에 받아들여 우리라는 틀을 더 넓게 더 유연하게 확장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의 시집 중에 번역된 것도 있다고 하고, 그의 자서전도 번역이 되어 있으니 시간 나는 대로 읽어보아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