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BC급 전범, 해방되지 못한 영혼
우쓰미 아이코 지음, 이호경 옮김 / 동아시아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부끄러운 일이다. 조선인 전범 문제에 대해 이 정도로 무지했다는 사실이. 그리고 우리나라 정부도 일본 정부도 애써 눈감으려 했다는 사실이.

 

소녀상에 대한 문제로 일본과의 관계가 껄끄러운데, 그것도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끌려가고 있는 듯한 인상을 주는 우리 정부에 대해 도대체 이 나라에 국민이란 어떤 존재인가 하는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나라는 국민의 생명과 생활을 보장해야 하는 것 아닌가. 그게 바로 나라 아닌가. 그런데 그 나라 국민이 겪은 비극을 나 몰라라 하는 것이 어떻게 나라일 수가 있는가? 나라라는 것이 실체가 없다면 어떻게 국민들의 비극, 희생을 나 몰라라 하는 존재가 정치인일 수 있는가. 나라를 운영한다는 행정부일 수 있는가 이렇게 질문을 할 수가 있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 번역되어 나온 지 10년이 되어간다. 그 동안 사실 조선인 전범으로 사형을 당한 사람이 있다는 얘기는 들었지만, 그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 그들이 무슨 일을 해서 사형까지 당했는지 알지 못했다.

 

굳이 알고 싶지도 않았고, 학교 역사 교육에서 다뤄주지도 않았기 때문에 완전히 관심 밖이었다. 그러다 이 책을 만나게 되었다.

 

10년 전쯤에 방송에 다큐멘터리로도 나갔다고 하는데, 그 때 본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책으로 읽어서 더욱 암담한 현실을 느꼈다고나 할까.

 

책이 나온 지 10년이 지났는데, 강제동원된 위안부 문제도 제대로 해결을 하지 못했는데, 포로수용소 감시원으로 간 사람들 문제야... 그들이 나중에 전범이 된 문제를 제대로 해결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다.

 

더욱이 잘못 알고 있었던 사실... 전범을 A,B.C로 분류하는데 난 그것이 전쟁에 가담해서 책임져야 할 비중의 정도를 등급으로 나눈 것이라는 생각만 하고 있었다. 참 단순한 생각이었다. 그래서 조선인 B급 전범이 왜 사형을 당했지 하는 생각만 했었는데...

 

이 책에 그 구분이 명확히 나와 있다. 보자.

 

'A급 전범이 '특정 지역을 불문하고, 연합군에 속한 모든 정부가 내리는 공동 결정에 따라 처벌해야 할 중대 범죄인'임에 반해, B·C급 전범은 일본이 점령했던 '대동아공영권'(태평양전쟁 당시 일본이 아시아 대륙에 대한 침략을 합리화하기 위해 내건 정치 표어-옮긴이) 각지에서 열린 전쟁범죄재판 법정에서 형을 받은 사람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곧 특정 지역에서 '통례의 전쟁범죄'를 저지르고, 각국의 군사 재판에 회부되어 유죄 판결을 받은 사람을 말하며, 뉘른베르크 재판과 달리, 일본의 경우에는 B급과 C급을 구별하지 않았다.'  (8쪽)

 

한마디로 BC급 전범은 동남아시아에서 네덜란드나 호주, 영국 등에 의해 재판을 받은 사람을 의미한다고 보면 된다. 그렇게 전범이 된 사람이 148명이고 그 중에서 23명이 사형을 당했다고 한다. (8쪽)

 

또 그곳에는 일본군에게 포로가 된 네덜란드, 호주, 영국 군인들이 많았고, 이들을 감시하기 위해 일본 군부는 조선인들을 고용(? - 참 문제 많은 단어다. 일본 정부는 지원을 받아 이들에게 월급을 주고 고용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당시 조선인에게는 징용이나 징병을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것을 피하는 길, 그것도 2년이라는 기간을 약속했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포로 감시원이었던 것. 징병도 피하고 돈을 벌 수 있는 길... 과연 이것을 고용이라고 할 수 있을까. 이들에게 어떤 선택지가 있었을까...)한 것이다.

 

이 책에서 강조하는 포로에 대한 관념 차이가 있다. 서양인들에게 포로란 명예로운 군인이라면, 일본인에게 포로란 수치스러운 존재라는 것. 일본인들은 포로가 되느니 차라리 자결하라고 했다고 하니, 그들이 포로를 보는 눈이 어땠을지, 포로를 어떻게 대했을 지는 알고도 남는다.

 

그렇다고 그들이 자기들 손에 직접 피를 묻혔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그들은 장교와 하사관들이고, 포로들과 직접 마주치는 존재들은 바로 조선인 포로 감시원이었던 것.

 

군대라는 명령계통에서 명령불복종은 곧 죽음인데... 명령을 거부할 권한도 개선을 건의할 권리도 전혀 없었던 조선인 포로감시원들이 일본 패망후 포로들에 의해 전범으로 기소된다.

 

포로들 관점에서는 일본인 장교나 조선인 감시원이나 같은 존재였을 것이고, 그들의 학대는 딱히 장교의 책임이라고만 생각하지 않았을 수도 있으나, 조선인 감시원 입장에서는 명령을 거부할 수도 없었고, 자신들이 포로들을 딱히 악랄하게 대하지도 않았을 거라는 생각. 그리고 식민지인으로서 어쩔 수 없었다는 생각. 이 차이가 꽤나 있었을 거란 생각을 한다.

 

그리고 이런 차이에 대해서 이 책도 조심스레 제기하고 있다. 이런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포로 감시원이 된 것을 잘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모두 죽일 놈이라고까지도 할 것은 없다. 그들 역시 살기 위해 선택한 길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자발적으로 유대인 학살에 가담한 아이히만에 비유할 수도 있겠지만, 아이히만과는 좀 다르다. 아이히만은 자발적으로 학살에 가담했다면, 이들은 생존을 위해서 어쩔 수 없이 가담했다는 차이가 있다. (모두가 그렇다고 단정할 수만은 없지만 대다수는 그랬을 것이다. 그렇지 ㅇ낳았다면 감시원으로 모집된 3,000명 중에 129명만이 전범이 될 이유가 없다. 그 129명도 오랜 시간 포로들과 생활해서 얼굴과 이름이 알려진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들 포로를 특별히 적대시 하거나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한 사람은 거의 없었을 것이다. 9쪽 참조)

 

물론 그 차이가 책임을 면할 수는 없겠지만, 그것이 목숨을 빼앗을 정도의 책임인가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보다 더한 위치에 있던, 자발적으로 전쟁에 참여했던 일본의 고위급 전범들이 살아남아 전쟁 뒤 일본의 고위 정치인이 된 현실과 비교해보면 정작 책임져야 할 존재들 - 특히 일본의 히로히토 천황과 같은 - 은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가고, 힘없고 돌봐줄 나라가 없는 존재들이 더 많이 당했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그것만으로 끝난 것이 아니라 이들은 일본에서도 우리나라에서도 제대로 인정을 받지 못했다는 것, 그리고 지금도 제대로 해결이 되지 않았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선 이들을 희생자로 규정했다고 하는데...그렇다고 해서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졌다고는 볼 수 없고, 이들의 영혼이 해방되기 위해서는 책임을 명확히 가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이런 책이 소중하다. 역사를 기억하게 해주니까. 역사를 기억해서 그런 비극이 다시는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하니까. 다만, 이 책이 1982년에 일본에서 처음 나왔다는데... 그때까지 우리는 무엇을 하고 있었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전쟁에 대한 책임과 사죄, 용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일본은 다시 군국주의로 가기 시작했고, 우리는 그에 대해서 명확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 아닌지, 읽으면서 분노하고 한탄하고 씁쓰레한 마음을 어쩔 수가 없었다.

 

그래도 읽어야만 하는 책이다. 이런 비극을 잊지 않기 위해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3-02 09: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3-02 1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