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서정시가 없는 시대이긴 하지만 제목을 보고 고른 시집이었는데.... '흑백'이라. 세상이 총연색으로, 고화질로 가고 있는 이 시대에 흑백이라는 제목을 달고 있으면 이 세상을 다르게 보고 있다는 것 아닐까 하고 고른 시집.

 

  그런데 첫장부터 사람을 당혹하게 한다.

 

  '행운과 용서를 빈다'

 

  시인의 말이다. '행운과 용서를 빈다'고... 이거, 원 이 시집 제대로 읽어내지 못하겠구만 하는 생각을 하게 만든다. 적어도 내게 행운이란 시를 제대로 읽어내는 것일테고, 용서란 시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시집 속에서 헤맸을테니, 그렇게 만든 시인을 용서하라는 말 아니겠는가.

 

짐작이 맞았다. 첫시부터 이게 뭐야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논리가 파괴되었다. 논리로 접근했다가는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표현들이다. 시집의 뒤에 있는 해설을 보아도 명료하게 이해되지 않는다.

 

시인은 온갖 비밀을 시 속에 풀어놓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찾으라고 한다. 못 찾으면 말고 식이다. 이런...

 

읽으며 이상을 떠올렸다. 이거야 원, 이해를 포기해야지 하면서... 이상이 어느 소설에서 이렇게 말했다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분명 그는 소설 속에서... '비밀이 없는 것은 재산이 없는 것보다 더 가난하다'는 식의 말을 했다. (정확한 구절은 그의 소설 '실화'에 나온다고 하니 찾아볼 것)

 

이거야 원. 이렇게 술래잡기를 해야 하나? 인내심을 가지고 시집을 끝까지 읽어 본다. 큰 인내심이 필요하다. 아니면 오기가. 그러다 시집의 맨 뒤에 있는 글을 보게 된다.

 

'유치원이나 정신병원 같은 곳에 가면 글자놀이니 역할놀이니 하는 게 있을 것이다. 나는 지금 그걸 하고 있다. 역할놀이에는 별 재능이 없고 글자놀이는 나름대로 열심히 해왔다. 앞으로도 글자놀이는 계속할 생각이다. 완전한 착각 속에 있고 싶다. 그렇게 될 것이다.'

 

글자놀이? 이거 완전히 이상이네. 에고. 더이상 시인의 놀이에 동참할 생각을 하지 않는다. 대신, 내 마음대로 놀이를 한다. 이 시집을 가지고.

 

지금 우리 사회는 역할놀이에 신물이 난 상태. 세상에 정치가 무슨 연극인 줄 아나? 대통령 역할놀이까지 하고 있는 사회니.

 

여기다 온갖 말놀이들은 어떤가. 말이 이렇게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줄은 몰랐다. 요즘 사회에서 그것도 좀 있다고 하는 것들이 쓰는 언어는 우리 사전을 거부한다. 자기들이 사전을 만든다. 완전한 글자놀이다.

 

아마도 시인의 글자놀이는 정치인에 비하면 새 발의 피에 해당될테다. 그럼에도 언어는 명확해야 한다는 생각을 지니고 있는 내게는, 이런 시 반갑지 않다. 마음에 들어오기 전에 먼저 머리에서 걸러지고 마는 시들이 아니던가.

 

사회에서 벌어지는 글자놀이, 역할놀이에 신물이 났는데... 시인마저 그런 놀이를 한다고 하니... 참...

 

그럼에도 시인이 보여주는 세상의 모습이 시 속에 담겨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의 글자놀이는 사회에서 벗어날 수 없다. 언어라는 존재를 벗어날 수도 없고.

 

뭐, 이런저런 생각이 드는 시집이다. 참고로 시집의 제목이 된 시 하나 소개한다. 읽어보고, 이 글자놀이에서 무엇을 찾아낼지는 읽는 사람들 자유다. 놀이에는 정답이 없다. 놀이는 답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니까.

 

  흑백 1

 

도도한 입술이 흐리게 젖는다

섬망을 노래하는 어리석은 벌레들이

검고 프르게 간격을 지우며 움직인다

시곗바늘 소리에 맞추어

사랑한다고 함께 죽자고

숨이 벅차다고 그늘이 휜다고

 

이준규, 흑백, 문학과지성사, 2006년. 9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