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병준 평전 - 통합과 인애의 정신 실천한 민족운동가
박남일 지음 / 도서출판선인(선인문화사)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들어보는 이름이었다. 장병준이라니... 우리나라 근대사에 대해서 어느 정도 책을 읽고, 독립운동가들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는 알고 있었다고 생각했는데, 장병준이라는 이름은 처음 들었다.

 

아마 이 이름을 처음 들어본 사람이 나만이 아니란 생각이 든다. 그만큼 앞에 나서지 않고 뒤에서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한 사람이다. 그럼에도 이 집안 사람들이 많이 독립운동에 관여했는데, 이렇게 알려지지 않아도 되나 싶은 생각도 든다.

 

알려지지 않은 것이 아니라, 제대로 기억되지 않은 것이다. 이 책의 뒤에 사진을 보니 장병준이 죽은 뒤 그의 장례를 가족장이 아닌 사회장으로 치렀다.

 

사회장이라 함은 사회를 위해서 일했다는 것을 사람들이 알아주었다는 얘기가 아닌가. 그렇다면 그 역시 당대에는 독립운동가로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얘기다. 다만 그가 중앙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지방에서 지냈기에, 많이 잊혀졌을 뿐이라는 생각이다. (이 지긋지긋한 중앙주의)

 

물론 그가 자신의 이름이 드러나기를 바라지는 않았을 것이다. 이 책에 따르면 그는 앞에 나서서 이름을 떨치기 보다는 묵묵히 자신이 해야 할 일을 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민족을 위해서라면 궂은 일도 마다않고 나섰던 사람.

 

그렇다고 사회주의다 자본주의다라고 진영 논리에 가둘 수 없는 사람. 비록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그 돈을 민족을 위해서 썼고, 교육 운동에도 투신했고, 그의 사위들 중에서는 사회주의자들도 있고 했으니... 그에게는 어떤 진영보다는 민족을 위한 길이 무엇일까가 더 중요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이 일제시대에 좌우합작단체인 신간회에 그가 참여한 것으로 드러나고, 전라도 지역, 특히 목포지역에서 그는 신간회가 잘 운영되도록 힘썼다고 한다. 민족독립을 위해서는 좌든 우든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는 생각을 했음에 틀림없다.

 

그러나 세상은 이러한 민족주의자들이 전면에 나설 수가 없게 흘러갔다. 장병준 역시 마찬가지다. 해방이 되고 난 다음에 그는 미군정에서 실시한 과도입법정부에 참여하여 좌우합작을 추진하지만, 남과북에 각기 다른 정권이 들어서고, 전쟁이 나면서 그의 가족 역시 풍비박산된다.  전쟁으로 사위 두 명을 잃었으니...

 

하지만 이승만 독재를 용납할 수 없었던 그는 이제 부정선거 규탄에 앞장선다. 1960년 3.15부정선거를 폭로하는 시위에 앞장서는 그는 4,19혁명의 도화선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마산 시위보다도 광주 시위가 더 먼저 일어났다고 하고, 그 시위의 맨 앞에 장병준이 있었다. 사진으로도 남아 있으니...

 

그후 도지사 자리를 마다하고 참의원 선거에 나가 낙선한 다음에는 조용히 물러나 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하는데...

 

자신의 행적에 대해서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기억에서 잊혀졌으며, 중앙에 진출해 자신의 이름을 드러내려 하지 않았음에 더 빨리 잊혀졌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사람들로 인해서 우리나라가 지금까지 이어져 왔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어려울 때 알게모르게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한 사람들.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꼭 해야할 일이라면 한 사람들. 그리고 그 보상을 받으려 하지 않은 사람들, 그런 사람들 덕분에 지금 우리는 민주주의를 누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장병준이라는 이름이 낯설기는 하지만, 그처럼 민족을 위해서 일한 사람은 영원히 잊혀지지는 않는다. 언젠가는 그 이름이 다시 세상에 나오게 된다.

 

독재에 분연히 맞섰던 그... 일제라는 침략자에 맞섰던 그... 그의 정신이 지금 우리에게도 남아 있으니 말이다.

 

이렇게 한 사람 한 사람, 다시 우리 곁으로 다가오는 민족주의자들. 반갑다.  이런 작업이 지속되어 더 많은 잊혀진 민족운동가들이 우리 곁으로 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