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의 쟁취
표트르 알렉세이비치 크로포트킨 지음, 여연.강도은 옮김 / 행성B(행성비)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검색을 해보니 이 책의 번역본이 두 개다. 아무 생각도 없이 이 책을 골랐는데, 그렇다고 두 책을 다 읽을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크로포트킨의 책은 다 읽고 싶어한다)

 

번역본이 어떤 책이든 두 책 모두 크로포트킨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 내용을 잘 전달하려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아마, 이 책은 예전에, 아주 오래 전에 우리 말로 번역이 되었을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아나키스트가 바로 크로포트킨이고, 이 책은 크로포트킨의 책들 중에서 "상호부조론'과 더불어 잘 알려진 책이기 때문이다.

 

일제시대에도 아나키즘이 우리나라에서 많이 공부됐고 또 그를 자신의 사상으로 삼은 사람도 많았다고 하는데, 해방이 되고 나서 혼란스러운 정국에서 아나키즘은 서서히 사라져 가고 말았다. 그러다 최근에 들어서 다시 아나키즘에 대한 관심이 일어나고 있는데... (아나키즘에 관한 책이 다시금 나오기 시작한 것, 재번역되는 것은 이런 추세를 반영하는 것일 것이다)

 

이는 우리가 경쟁과 배제를 통해서 앞만 보고 달리며 주위 사람들을 내친 지난 날들이 결코 우리를 행복하게 하지 못했다는 자각에서 비롯된 일일 것이다.

 

이제는 경쟁과 배제보다는 포용과 협동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기본적으로 우리는 이 지구라는 섬에서 함께 살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들이라는 사실을 깨달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갈수록 자연환경이 나빠지고 있으며, (올해의 이 기록적인 더위를 보라. 이것이 올 한 해로 끝나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빈부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온갖 종교들이 극심한 갈등으로 사람들을 이끌고 있는 이 때에 '자치, 자율, 협동(상호연대)'을 주장하는 아나키즘이 다시 각광을 받을 수밖에 없다.

 

'자치, 자율, 협동(상호연대)'는 "사랑"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인류에 대한 사랑이 아나키즘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이 책, 제목은 과격하다고 할 수 있는 "빵의 쟁취"를 읽으면서 '쟁치'란 말 밑에 깔려 있는 사랑에 대해서 자꾸만 생각하게 된다.

 

크로포트킨이 아나키즘을 주장하는 이유는 바로 인류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인류가 그 신뢰를 다시 살려 함께 잘 살아가려면 '사적 소유'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는데, 이는 바로 인류에 대한 사랑을 강하게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구나 자기 하고 싶은 대로만 하게 하면 누가 일을 하겠는가? 라는 반론에 대해서 크로포트킨은 걱정할 일이 아니라고 한다. 사람에게는 누구나 다 의미 있는 삶을 살려는 욕구가 있고, 그 욕구를 누구의 간섭 또 지배를 받지 않는다면 자연스레 펼치게 된다고 주장한다. (이 책에서 이런 반론들에 대한 크로포트킨의 주장은 '반론들'이란 장에 잘 나타나 있다. 꼭 그 장이 아니더라도 이 책 내내 크로포트킨은 이런 반론에 대한 재반박을 하고 있다. 인류에 대한 믿음,그리고 지금의 현조건에서도 인류는 충분히 먹고 살 수 있음을 이 책을 통해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

 

그렇다. 아나키즘의 기본 사상은 바로 사랑이다. 인류에 대한 믿음이다. 우리 모두가 좋은 삶을 살 권리가 있음을, 그리고 충분히 가능함을 우리에게 보여주는 사상이다.

 

결코 꿈이 아니라 현실에서 가능함을 이 책에서는 공업, 농업 등 구체적인 경제적인 요소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물론 과학기술에 대해서 크로포트킨은 그 부작용을 심각하게 겪지 않은 시대에 살아서 지금보다는 낙관적인 자세를 지니고 있다. 농업 부분에서 기술을 적용하는 문제도 그렇다. 그러나 이런 한계른 시대적인 한계이고, 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나키스트의 자세일테니... 오히려 지금의 현실과 그의 주장을 비교하면서 읽으면 더 좋은 대안을 마련할 수도 있겠단 생각을 한다)

 

구체적인 사항들이야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 우리 현실과 비교하면서 읽으면 되지만, 이 한 가지는 꼭 명심해야겠다.

 

크로포트킨이 이 책에서, 아니 그의 삶에서 주장한 것 바로, 이것... 이것이 바로 우리가 지향해야 할 목표가 아닐까 한다.

 

"모든 것이 모두에게 속한다! 남자와 여자가 일을 공평하게 분담해서 한다면, 그들은 함께 생산한 것을 공정하게 나눌 권리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나눈 것들은 그들에게 좋은 삶을 보장해주기에 충분하다. 더 이상 '일할 권리' 혹은 '각자는 자신이 일한 결과물들을 모두 가져간다'와 같은 애매한 문구들은 필요하지 않다. 우리가 선언하는 것은 '좋은 삶을 살 권리'이다. '모두가 좋은 삶을 살 권리!'이다." (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