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2016 맨부커상 인터내셔널 수상작이라고 유명해진 소설이다. 나온 지가 한참 되었는데, 제법 읽혔음에도 외국에서 상을 한 번 받으니 다시 베스트셀러의 대열에 든 소설이다. 

 

한강이 쓴 소설을 읽은 것은 "소년이 온다"가 처음이다. 광주민주화 운동을 다룬 소설. 그 많은 광주민주화 운동에 관한 소설들이 나왔음에도 한강 소설은 나름의 독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여러 사람의 관점으로 광주민주화운동을 바라보는 것. 그런 느낌을 바로 이 소설에서도 받았다. "채식주의자"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연작소설이다.

 

채식주의자, 몽고반점, 나무 불꽃이라는 세 편의 소설이 묶여 있다. 제목이 다른 단편들이 모여 있지만 내용이 연결이 된다. 연작소설이라지만 작은 소제목을 지닌 장편소설이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

 

다만, "소년이 온다"와 비슷하게 사건마다 주인공이 다르다. 즉, 한 인물과 얽힌 사건들이 서로 다른 사람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는 것이다.

 

모든 소설은 바로 "영혜"를 중심으로 서술된다. 그렇다고 "영혜"가 주인공이 된 적은 없다. "영혜"를 둘러싼 인물들이 때로는 서술자로 때로는 주인공으로 등장할 따름이다. 그럼에도 이 소설에서는 "영혜"를 빼놓으면 안된다.

 

"영혜"가 실질적으로 소설을 이끌어가는 인물이기 때문이다.

 

첫번째 소설인 '채식주의자'에서는 영혜의 남편이 서술자이자 주인공이다. 어느날 갑자기 채식주의를 선언한 영혜를 바라보는 나의 관점.

 

그 남편은 우리나라 보통사람을 대표한다. 적당히 속물적이고 적당히 가정적이고, 적당히 남을 의식하는 결코 튀지 않으려 하는, 그렇다고 다름을 인정하지도 않는 그런 사람.

 

그런 사람에게 자신의 아내가 '채식주의'를 선언한 것은 일탈이다. 보통에서 벗어나는 일이다. 그는 그것을 참을 수 없다. 자신의 영역에서 아내가 벗어나고 있는 것이다.

 

다름을 포용하고 자신의 영역을 넓혀가려는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자신의 영역만을 고수하며 그 영역에서 벗어나는 사람은 배제해야만 하는 사람, 그것이 바로 영혜의 남편이다. (그가 이러한 보통에서 벗어나는 것을 얼마나 싫어하는지는 영혜가 브래지어를 하지 않는 것을 의식하는 모습에서 너무도 잘 드러난다. 그에게 자신의 아내가 브래지어를 하지 않는 것은 사회적 관습, 즉 보통의 삶에서 일탈한 것이고, 이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 된다)

 

이런 배제를 합리화하기 위해 그는 처가를 동원한다. 장모와 처형. 이들에게 아내의 채식이 일탈임을, 다시 자신의 영역으로 돌아오게 압력을 넣으라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영혜는 자해로 병원에 가고, 정신병원에 입원하며 둘은 결국 이혼하게 된다.

 

보통사람들에게 무언가 다른 사람은 이해할 수 없는 사람, 자신의 영역에서 함께 할 수 없는 사람이다.

 

이 지점에서 두 번째 소설이 등장한다. 이 소설 '몽고반점'에서는 바로 보통 사람이 아니라 보통사람에서 특별한 사람으로 변화해가는 사람이 주인공이다. 바로 영혜의 형부.

 

그는 예술가다. 요즘 말로 하면 비디오 아티스트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사회적 문제를 다루는 예술가였다. 사회에서 보통에 가까운, 사회를 거스르는 것 같지만 사회를 바른 방향으로 이끌려고 노력하는 극히 정상으로 보이는, 보통 예술가.

 

그가 어느 순간 아내에게서 처제의 엉덩이에 '몽고반점'이 있다는 말을 듣고 예술적 영감을 얻는다. 극히 개인적인 예술적 영감. 사회에서 용납될 수 없는 예술적 영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그는 자신이 고수하고 있던 영역에서 나와야 한다.

 

그 영역에서 나옴은 일상의 규범에서 나와야 함을 의미하고, 그것은 다른 사람에게 이해받기를 포기할 때만 가능해진다.

 

함께 예술하는 후배에게도 온전히 이해받지 못한 그는 영혜의 몸에 꽃을 그리고 자신의 몸에도 꽃을 그려 서로 교합하면서 그 장면을 비디오로 찍는다.

 

규범에 얽매인 것이 아닌 규범을 초월해 개인의 욕망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예술. 그것이 순수함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예술이라고 해도 (이런 점에서 어른이 되어도 몽고반점을 지니고 있는 영혜는 순수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이런 사회의 때가 묻지 않은 순수는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없다. 마찬가지로 그 순수에 충격을 받아 그 세계로 들어서는 예술가 또한 마찬가지다) 그런 예술이 과연 사회에서 인정받을 수 있을끼?

 

자신에게 가까운 사람에게 이해받을 수 있을까? 그럴 수는 없다. 영혜가 다시 정신병원에 가고, 그가 가정에서 떨어져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가 된다.

 

이 상황에서 소설은 '나무 불꽃'으로 간다. 가장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영혜의 언니. 그는 동생은 이혼당하고,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행위를 한 남편과 헤어진다. 그러면서도 그는 혈육이라는 이유로 영혜를 돌본다.

 

영혜를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그를 받아들이려 한다. 받아들이려 하지만 영혜의 언니는 정상인의 관점에서 영혜를 자신의 영역으로 돌아오게 하려고 한다.

 

자신의 영역을 지키려 하고, 그 영역을 지키기 위해 삶의 모든 것을 바친 사람이 바로 영혜의 언니다. 그런데, 그런 삶이 의미가 있을끼?

 

자신의 삶은 보통의 틀에 갇혀 버린, 남의 시선에 스스로를 가둔 삶이지 않았을까 하는 깨달음, 그런 깨달음을 영혜를 통해서 얻게 된다.

 

이 소설에서 가장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 자신의 틀을 깰 수 있는 사람이 바로 영혜의 언니인 것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람이지만, 자신의 삶에만 매몰되지 않고, 자신의 삶에 거리를 두고 되돌아볼 줄 아는 사람.

 

이런 사람은 자신의 영역만을 고수하지 않는다. 다름을 무조건 배제하지 않는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 다름을 껴안을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이 필요한 사회다.

 

채식주의자를 통해서 다르다는 것이 어떻게 배제되는지를 알 수 있는데, 이런 배제가 우리 삶 전반에 걸쳐서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영혜나 영혜의 형부는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난다는 이유로 사회에서 배제당한다. 그렇게 배제하는 사람이 자신을 보통이라고 생각하는, 정상이라고 생각하는 영혜의 남편 같은 사람이다. 그런 사람들이 의식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스레 다른 사람을 배제하는 모습, 이것이 이 소설의 앞 두 소설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추구해야 할 것은? 바로 세 번째 소설에서 찾을 수 있다. 자신의 영역에서 벗어나기. 자신의 영역을 다르게 보기. 그래서 자신의 삶만이 절대적이라고 생각하지 않기.

 

여기까지 소설은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이뿐일까?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 소설에서는 더 많은 것을 생각할 수 있는데... 더 많은 정리가 필요한 소설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