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교실 - 진짜 배움으로 가는 길
존 버그만 외 지음, 정찬필 외 옮김, 이혁규 감수 / 에듀니티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갖 교수법이 난무하는 때다. 그만큼 교육은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는 얘기가 되는데...

 

일본의 사토 마나부 교수의 '배움의 공동체'를 받아들여 그런 교수법을 학교에 적용한 지가 얼마 되지 않았는데... 그 전에는 몬테소리 교육이, 또 프레네 교육이, 발도르프 교육이 우리나라에 들어왔었는데...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이제는 '거꾸로 교실'이 그 뒤를 잇고 있다. 그렇다고 이 둘이 많이 다르냐 하면 그렇지는 않다.

 

거꾸로 교실이나 배움의 공동체나 모두 교육을 중심에 놓기보다는 배움을 중심에 놓기 때문이다. 이는 학교의 중심을 교사에서 학생으로 옮겨간다는 얘기고, 교사의 가르침보다는 학생의 배움을 더 중요하게 여긴다는 얘기다.

 

이런 점에서 배움의 공동체와 거꾸로 교실은 서로 통한다. 다만 배움의 공동체는 학생들이 모둠 활동을 통해 스스로 배워간다는 점, 그런 배움을 이끌기 위해 교사가 학습 활동지를 고민해서 만들어내야 한다면, 거꾸로 교실은 이런 모둠활동 보다는 개별활동에 중심을 둔다고 할 수 있다.

 

개별활동만 강조하는 것은 아니지만, 개별활동을 중심에 놓고, 모둠활동, 프로젝트 활동 등을 함께 해 나가게 하고 있는 것이 거꾸로 교실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 와야 한다. 어떻게? 이를 현대의 기술발전과 연결시켜낸 것에서 거꾸로 교실의 장점이 있다.

 

교사가 지식을 가르치는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해서 웹상에 올리면 학생들은 그것을 미리 보고 오면 된다. 또 이해가 안 되면 반복해서 보면 되고.... 지식에 관한 동영상이 있으므로, 남들과 똑같은 속도로 공부할 필요도 없다.

 

자신이 완전히 이해했다면 다음으로 건너가면 된다. 그것을 수업 시간에 교사와의 대화를 통해서 확인 받으면 된다.

 

이미 기초적인 것을 보고 왔기에, 수업시간에 이를 다시 지루하게 반복할 필요가 없다. 교사는 학생들과 많은 시간을 가지면서 학생들의 배움을 이끌어가면 된다. 아니, 학생들의 배움에 도움을 주면 된다.

 

그래서 거꾸로 교실에서는 단 한 가지의 질문이 중요하다고 한다.

 

"학생들과 마주하는 시간을 가장 잘 활용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것이다. 수업에서 학생들과 마주하는 시간, 지리한 지식을 강의하기보다는 학생들의 배움을 도와주는 방법을 찾는 일... 학생들 개개인의 발전단계를 파악하고, 그 개개인에 맞게 조언을 해주는 일, 이것이 교사가 할 일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에는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주입식 강의가 있고, 학생들은 이해했거나 말거나 진도나가기 바쁜 수업이 이루어졌다면, 이 거꾸로 교실은 이 단계를 건너뛴다. 이 단계는 영상으로 처리가 된다.

 

그러니, 그 지리한 시간이 온전히 남는다. 학생들과 더 깊고 넓은 배움의 장으로 나아갈 수가 있다. 이게 거꾸로 교실의 장점이다.

 

그래서 거꾸로 교실에서는 학습 내용-호기심-관계가 중심에 서서 작동을 한다고 한다. 이런 거꾸로 교실의 모습, 실천 사례를 이 책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참조할 만한 사항들이 많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거꾸로 교실에서 이제는 거꾸로 완전 학습, 또는 거꾸로 배움의 단계로 나아간다고 한다.

 

즉, 배움에 호기심을 갖고 학습 내용을 깊고 넓게 배우면서 교사와의 관계를 잘 맺어가는 수업, 이것이 바로 거꾸로 교실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거꾸로 교실은 도입이 돼서, 나름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한다. 아마도 가르침에 대한 배움에 목마른 교사들에게는 배움의 공동체에 이어 이 거꾸로 교실도 가뭄 속의 단비처럼 도움이 많이 될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들이 말한 것처럼 거꾸로 교실에는 이렇게 하라는 정답은 없다. 상황에 맞게 교사의 능력에 맞게 응용해서 하면 된다. 그런 교사들, 많이 생기고 있는 것이 요즘 우리의 모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덧글

 

거꾸로 교실 동영상을 만드는데 영상이 15분을 넘어가지 않게 하라고 한다. 너무 길면 집중이 안될 것이기 때문이다.

 

또 영상을 만들 때 보면서 활동할 수 있는 자료도 제시하면 좋다고 한다. 이런 활동에 도움이 될 지원이 필요하다는 말도 함께.

 

다만, 우리나라 학생들 하루에 6-7교시의 수업을 듣는데... 4과목으로 줄여도 거꾸로 교실을 운영하면 60분의 시간을 온전히 보는데만 투여해야 한다. 활동까지 한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데...

 

세계에서 가장 바쁜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이런 시간을 낼 수 있도록 한다면 또 하나의 부담이 되는 것은 아닌지...이런 우려의 맘도 든다.

 

학생들에게 시간을 주어야 하는데... 좀더 쉴 수 있는, 자유로운 시간을!

 

그럼에도 이 거꾸로 교실은 한 번 시도해볼 만하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