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는 깊다 1 역사학자 전우용의 한국 근대 읽기 3부작 1
전우용 지음 / 푸른역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 교과서 국정화 문제로 나라가 시끌시끌하다.

 

역사를 뒤로 돌리는 행위는 하나의 희극(코미디)에 불과하다고 했는데, 코미디가 지배하는 사회에서 사람들은 웃지도 못하고, 분노도 못하고, 황당함에 입을 다물고만 있다.

 

역사를 공부하지 않은 사람, 역사에 무지한 사람, 유교가 지배적이었던 조선시대에도 정치를 하려면 반드시 역사를 공부해야 했고, 임금들의 필수 학문에도 역사가 있었는데, 이 나라 정치인들은 역사를 외면하고, 무시하고 있으니...

 

역사의 바퀴를 뒤로 돌리면서도, 사회를 퇴행시키면서도 그것이 퇴행인지도 모르고 있는 사람들이란 생각이 든다.

 

역사학자들... 사회에서 존재가 미미한 사람들이다. '인문학의 위기'를 넘어 이제는 '인문학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때인데... 이런 인문학 중에서도 '역사학'은 더 위기에 처해 있는지도 모르겠다.

 

이 책을 펼치면 이런 구절이 먼저 나온다.

 

"이런 학문이 어떻게 여태 살아남았는지 모르겠다"

 

역사학은 지금 우리 사회에서 말라죽어가는 학문인데, 이런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고, 이런 학문이 이렇게 존재한다는 사실에 신기해 하는 다른 학자의 말에 이 책의 저자는 모욕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수치화되고 실용화된 학문이 아니면 취급이 되지 않는 사회에서 수치로 나타낼 수 없는 학문은 이런 대접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씁쓸하지만, 이것이 현실임을 어찌하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학문이 살아남는다. 그래서 우리 역사는 '깊어진다'

 

이런 '깊은 우리 역사' 알면 우리가 지금을 잘살 수 있다. 아니, 잘살기 위해서 역사를 알아야 한다. 지금의 우리 사회가 그냥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지금의 우리가 그냥 존재하게 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역사라는 '시공간의 축적'을 통해서 지금 여기에 존재한다. 그러니 역사를 모르는 사람, 역사에 무지한 사람, 역사를 무시하는 사람은 지금을 제대로 살 수가 없다.

 

국정에서 검인정으로 바뀐 교과서를 다시 국정으로 되돌리려는 정치권이 그런 교과서 편찬의 역사에 대해서 무지한 것이 시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듯이 역사는 바로 '지금 여기'에서 중요한 학문이다.

 

2권으로 이루어져  있는 이 책의 1권은 1월부터 7월까지 중에서 우리 역사에서 기억할 만한 일들을 다뤄주고 있다.

 

바로 첫 장이 '경복궁 잔디밭과 일제의 공간정치'(1월 7일)이고, 마지막 장이 ''위생'의 이름으로사생활에 개입하는 국가, 생체 정보 유출의 위험성'(7월 15일)이다.

 

각 날에 해당하는 역사적 사건들이 많겠는데, 이를 60개로 추려서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는데, 과거의 역사가 현재에도 지속됨을 각 장마다 잘 보여주고 있다.'

 

역사를 이렇게 기술할 수도 있구나, 이렇게 사람들에게 알려줄 수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게 하는 책이고, 역사가 과거에 머문 단순한 유물이 아니라, 현재에도 작동되고 있음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첫장을 가지고 이야기하면 지금 우리들은 마당있는 집을 꿈꾸고, 그 마당에 파란 잔디를 심기를 꿈꾸지만, 우리나라 전통에서 잔디는 한자어로'사초(莎草)'라고 하고, 이 명칭에서 '사'자는 '죽을 사'자와 발음이 같기 때문에 회피했다는 사실.

 

즉, 잔디는 죽은 자에게만 주어지는 풀이었다는 사실을, 그래서 일제가 경복궁을 헐고, 그 자리에 잔디를 심은 것은 조선이 죽었음을 우리 국민들에게 인식시키기 위함이었음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다.

 

유래는 이런데, 우리는 지금 잔디를 못 심어 안달이니... 역사를 몰각한 모습이 이렇게 유지되고 있구나 하는 생각도 들게 만들었다.

 

이런 식으로 1권에 30개의 역사적 장면이 있는데... 하나하나 다 읽을 만하고, 현재하고도 잘 연결이 되어서 역사학은 결코 죽어서는 안될 학문이라는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덧글

 

이 책의 1권은 알라딘 이벤트 이 달의 출판사 응원 댓글에 당첨되어 받았다. 이렇게 좋은 책을 보내준 출판사 '푸른 역사'에 고마움을 표한다. 푸른 역사, 우리가 역사를 이야기하는 '청사(靑史)'다. 앞으로도 좋은 책을 많이 펴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