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이 있는 교실 : 중등 편 - 미국 명문대 재학생의 30%를 차지한 유대인 공부법 하브루타 질문이 있는 교실
전성수.고현승 지음 / 경향BP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교육에는 본래 말이 많다. 이론도 많다. 그리고 결과도 다 다르다. 그럼에도 계속 무언가를 만들어내려고 한다.

 

당연한 일이다. 교육은 정체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이론이 성공했다고 해서, 그 이론이 모든 교육활동에 적용되어서는 안된다.

 

그 이론으로 모든 교육활동을 하려고 해서도 안된다. 상황에 맞게 교육에 관한 이론은 계속 나와야 한다.

 

그럼에도 교육에는 이론보다는 늘 실천이 앞선다. 그런 실천을 보편화하는 작업이 바로 교육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예전부터 이루어져왔던 여러 교육이론을 들어보면, 실용주의, 구성주의, 열린교육, 몬테소리 교육, 발도르프 교육, 프레네 교육, 섬머힐과 같은 대안교육, 일본에서 일어났던 배움의 공동체, 요즈음은 거꾸로 교실이라고 하는 운동 등등 참으로 다양하다.

 

이런 다양한 이론들이 있음에도 공통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어떤 교육이론도 간과할 수 없는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교육을 학교와 동일시 하지 말고 또 교육에 방점을 찍는 것이 아니라 배움에 방점을 찍어야 한다는 것이다.

 

가르침보다는 배움을, 이는 교사 중심이 아닌 학생 중심의 교육이(이것을 우리는 배움이라고 한다)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학생 중심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학생 중심이라는 것은 배움을 중심에 놓는다는 말인데, 배움을 중심에 놓으면 당연히 질문을 중심에 놓아야 한다.

 

질문이란 알고자 하는데 아직 알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고, 그것을 알려고 하는 노력이기 때문이다. 즉, 질문을 한다는 것 자체는 이미 배움이 일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이를 이 책에서처럼 유대인 교육법, 또는 '하브루타 교육법'이라고 굳이 명명할 필요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질문을 중심에 두는 생활은 유대인들이 해왔고, 그들의 그런 교육방식을 '하브루타 교육법'이라고 했으니, 그 말을 써도 별 문제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 책에 나온 '하브루타 교육법'은 한 마디로 말하면 학생들이 질문과 대답, 그리고 또다른 질문을 통하여 배움을 이루어나가는 교육법이라고 할 수 있다.

 

거창하게 유대인 교육법을 따르지 않더라도 질문이 없는 교실은 죽은 교실이고, 질문이 없는 배움은 배움이 일어나지 않은 배움이라고 할 수 있으니,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질문을 하는 수업을 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그 고민의 결과를 정리해 놓은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이론이 앞부분에 있다면 뒷부분에는 실제로 학교 수업에서 적용한 '하브루타 교육법'의 실제가 실려 있다.

 

아이들이 수업에서뿐만이 아니라, 실생활에서도 이러한 질문법을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도 빼먹지 않고 있는 이 책은, 질문이 사라진 교실은 배움이 없는 교실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상기시켜 주고 있다.

 

둘이 또 모둠이, 반 전체가 서로 질문하고 대답하고 또 질문하고 대답하고 또 질문하는 과정을 통해서 배움을 이끌어가는 수업... 그런 수업에는 진도는 중요하지 않다.

 

배움에는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얼마나 깊게, 자세하게, 정확하게 알았느냐하는 질적 관점이 중요하기 때문에, 또 사람의 기억은 혼자서 읽고 쓰고, 듣는 활동의 기억보다는, 서로 이야기하고, 자신의 말로 바꿔서 설명하는 동안 더 오래동안 우리의 뇌 속에 남아 있다는 사실 때문에...

 

학습효과면에서도 이런 질문 교육법이 더 유용하다는 것을 이 책에서 거듭 강조하고 있다.

 

또한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람을 필요로 하는 시대 변화에도 질문교육법은 유용하다. 질문은 내 말만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질문하기 위해서는 내용을 알아야 함은 기본이고, 상대방의 말, 상대방의 태도도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또 상대의 의견과 자신의 의견을 조율할 수도 있어야 하기 때문에, 질문교육법은 창의적인 인재, 융합하는 인재를 기르는데도 도움이 됨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래, 창의성이든, 융합이든 이런 말을 떠나서 질문을 하면서 수업에 참여한다는 것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능동적으로, 재이닜게 참여한다는 얘기가 된다. 그것만으로도 됐다.

 

수업에 재미를 느낀다면 그 다음은 저절로 이루어질테니 말이다.

 

질문이 있는 교실... 이건 꿈의 교실이 아니다. 지금 당장, 이 자리에서, 이 시기에 우리가 이뤄야할 교실의 모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