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 소년의 꿈
요시이에 히로유키 지음, 남도현 옮김 / 양철북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기를 불량하게 보내다 훌륭한 어른이 된 사람의 이야기. 많이 들어온 주제 아니던가. 우리나라에서도 또 일본에서도 이런 류의 책은 많이 나오는데...

 

이런 자전적 이야기는 지나치게 감동적이라 오히려 감동을 주지 못한다. 그런데, 뭐? 어짜라고?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이미 지나온 과거는 아름답게 포장되기 마련이고,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것이 아니라 살아남은 자가 강한 것이다'는 말처럼, 이들은 어른이 되어 성공했기에 이런 자전적 이야기를 쓸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 방황을 하다가 그 방황에서 벗어나지 못한 사람이 얼마나 많겠는가. 그들이 너무도 많기 때문에 오히려 예외적 인간이 각광을 받는다는 생각을 하면, 이런 이야기들은 이미 사회에서 자리를 잡은 사람들이 이렇게 하면 성공할 수 있다든가, 또는 성공보다는 행복을 추구하라는 자기계발서와 비슷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을 해보자. 왜 이런 자기성장 이야기가 아직도 나오는가? 그것은 사람답게 살고 싶다는 욕망이 누구에게나 있다는 얘기가 아닌가.

 

지금은 힘들지만 그래도 희망은 있다는, 그런 희망에 대한 기대조차도 없어지면 도무지 살아갈 수가 없단은 몸부림이 아니겠는가.

 

비록 성공할 확률이 얼마 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성공한 사람이 있다는 얘기는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는 얘기로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은가.

 

그토록 처절한 삶에서 희망을 발견하고, 포기하지 않은 사람도 있다는 사실은 지금 자신이 처한 환경을 되돌아보게 하지 않겠는가. 이런 생각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고나 할까?

 

"불량소년의 꿈"

 

제목에 이미 나와 있다. 어린 시절 불량하게 지내던 아이가 어떤 계기로 사람다운 사람이 되었다는, 누군가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삶을 살고 있다고.

 

그렇다. 이 책의 지은이는 '사립 호쿠세이 고등학교'의 사회 교사다. 그리고 호쿠세이 고등학교는 우리나라로 치면 대안학교, 즉 학교부적응 학생이나 또는 기타 다른 이유가 있는 청소년들이 오는 학교다.

 

그는 어떻게 이 학교의 교사가 되었는가? 여기까지의 과정이 이 책의 앞부분을 이룬다.

 

가정에서 자신의 자리를 찾지 못해 비뚜루 나가게 되었고, 결국 학교를 그만두게 된 과정. 아동상담소를 거쳐 양부모에게 입양이 되고(이를 가정 위탁교육이라고 하면 될 듯), 여기서 넘쳐나는 여유 시간을 견디지 못해 책을 읽게 되고, 학교에 대한 그리움으로 당시 폐교가 될 위기를 전국에서 학업 포기 학생을 모집한다는 호쿠세이 학교에 가게 된 사연. 거기서 어떻게 버티어내고, 여기에는 늘 헌신적인 교사가 등장하고, 그런 교사에게 감화를 받고 자신의 진로에 대해 생각하고 실현하려고 한다는 어쩌면 너무도 뻔한 내용이 펼쳐지고 있다. 

 

이런 뻔한, 너무도 상투적인 내용임에도 술술 거부감 없이 읽히는 이유는, 지은이 자신이 대단하다고 하지 않기 때문이다. 오히려 자신이 그렇게 엇나갈 수밖에 없게 된 것은 '외로움, 두려움, 약함'이라고 밝히기 때문이다.

 

겉으로 강하게 나가는 청소년들의 이면에 숨겨있는 나약함, 두려움, 외로움을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것들이 어른들의 이중성과 연결되어 더욱 강화되어 갈 뿐이라는 것을... 자신의 경험을 통해 보여주기 때문.

 

후반부는 자신이 졸업한 학교의 교사가 되어 자신과 비슷한 방황을 겪는 아이들과 겪은 일들을 이야기하고 있다. 어차피 책이 나왔다는 것은 어느 정도 성공했다는 것인데, 지은이는 아이들과 함께 계속 가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어서, 이런 교사가 훌륭하다는 이야기를 하지 않아서 좋다.

 

함께 울고, 함께 웃고, 갈등하고 화해하고, 그럼에도 떠나가고 떠나보내고, 속고 속이고, 실망하고... 이것들이 반복될 수밖에 없음을, 마치 몇 년에 학생들을 완전히 변화시키는 것이 대안학교라고 잘못 생각하고 있는 사람들을 비판이라도 하고 있는 듯이, 적나라한 학교의 모습, 그럼에도 그들과 함께 살아가고 있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예전에 우리나라 대안학교들이 어떻게 운영되는지 보여주었던 책들과도 비슷한데, 우리나라 교육이 일본과 너무도 비슷한 점이 많으니 이는 당연할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다 무시하더라도 한 아이가 어른으로 자라나는데 필요한 것이 무엇일까 하는 생각. 도대체 어떻게 해야 교육이라고 할 수 있는가 하는 생각을 할 수 있게 한 책인데...

 

일탈은 강함에서 나오지 않고 약함과 두려움에서 나온다는 사실, 그리고 그런 청소년들에게는 충분한 시간, 정말로 심심해 미칠 지경까지 가야 하는 시간이 주어져야 한다는 사실, 또 그들에게 옳고 그름을 명확하게 이야기해주고, 그것을 자신의 삶에서 보여주는 교사, 무엇보다도 함께 싸우면서 생활할 수 있는 친구들, 그들을 모두 품을 수 있는 마을이 있어야 함을 생각하게 한 책.

 

공부잘하는 모범생들이 주축이 된 우리나라 공교육 현장, 여기서 숨도 못 쉬고 뛰쳐나가는 일탈학생들, 그들을 백안시하는 사회, 도무지 생각할 시간도 없이 이리저리 굴리는 학습에의 강요.

 

이건 아니다 싶다. 교사들도 다양하게 선발하고, 아이들이 숨 쉴 수 있는 시간도 좀 주고... 그들끼리 함께 지내며 갈등을 겪고 해결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게 해주는 학교, 그런 학교도 만들었으면 좋겠다.

 

요시이에 히로유키. 그만이 할 수 있는 일을 한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해야 할 일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면 이런 책은 누가 읽어야 할까? 소위 말하는 불량청소년? 아니면 교사? 부모? 교육행정가?

 

글쎄... 읽고 싶은 사람이 읽으면 되겠지. 누가 읽어도 어느 부분에서 얻을 것이 있을테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