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와 책임 - 한홍구 역사논설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으면서 답답했다. 아니 답답함을 넘어 한심함까지... 딱히 누구에게라고 할 것도 없이 그냥 쯧쯧 하는 소리가 튀어나왔으니...

 

한겨레신문에 연재된 글이 대부분인 이 책은 그래서 읽은 부분도 있지만, 신문에 실린 시의성과는 달리 책으로 엮어졌을 때는 어떤 체계성이 느껴져서 더 역사책 다움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는데...

 

읽으면서 정치는 사법부 출신들, 교수 출신들(그것도 경제학분야나 사회학 분야가 많은데)이 아니라 역사학자들이 하는 편이, 아니 학자들은 먹물들 습성을 버리기 힘드니, 역사를 공부한 사람들이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옛날에 왕이 되기 위해서는, 또 관료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역사를 공부하지 않았던가. 하다못해 동양의 성인인 공자도 자신이 스스로 역사책(춘추)을 쓰지 않았던가.

 

역사를 알지 못하고 정치를 하면 같은 잘못을 반복해서 할 수가 있고, 현재에서 과거를 발판으로 미래로 나아가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다.

 

그러면 지금 우리는 역사를 제대로 알고 있는가? 한국사가 학교에서 필수과목으로 지정이 되어 이제는 대학을 가고자 하는 학생들은 의무적으로 우리나라 역사를 배워야 하는데... 그런데, 과연 이런 식의 교육으로 바른 역사의식을 지닐 수 있는가 질문을 하면 부정적인 대답이 돌아올 것이다.

 

아무리 역사가 승자의 기록이고, 현재에서 과거를 해석하는 일이라지만, 그래도 역사는 그 자체로 존재하고, 숨길 수 없거나 속일 수 없는 일들이 있는데... 먼 후대에서라도 밝혀지는 진실이 있는데... 그런 진실에 한 발짝 더 다가가기 위해서 역사를 공부하는데...

 

이 책에 나와 있는 역사는 그리 먼 과거도 아니다. 우리나라 현대사다. 멀어야 일제시대다. 지금으로부터 100년도 채 안된 역사를 우리는 너무도 쉽게 잊고 있지는 않았나 싶다.

 

그렇게 역사를 망각의 늪에 빠뜨려버린 결과 우리나라 역사는 '고르디우스의 매듭'이 되어 버렸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어떻게 얽혀 버렸는지 하나하나 풀 수가 없는 상태가 되어 버렸다.

 

그렇다고 알렉산더처럼 한 칼에 자를 수는 없는 일. 그것이 통쾌해 보일지라도 알렉산더의 해결책은 문제를 해결한 것이 아니라 문제를 덮어버린 결과만 낳게 되니 말이다.

 

일제시대부터 꼬인 일들을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기에 꼬이고 꼬여 지금 누구도 풀 수 없고, 또 풀려고 하지도 않는 상태가 되어버린지도 모른다.

 

그것을 "역사와 책임"이라는 제목으로 분석해내고 있다. 도대체 우리는 어떤 일에 대해서 책임을 진 적이 있는가? 그 때 책임져야 했을 사람들이 책임을 회피한 것만이 아니라 오히려 출세의 길을 달린 것이, 더 큰소리를 친 것이 바로 우리 현대사의 모습 아니던가.

 

그런 현대사의 민낯을 가감없이 보여준 것이 이 책이다.

 

우선 세월호부터 시작한다. 배를 버리고 팬티바람으로 탈출한 선장. 이 선장의 모습에서 6.25당시 서울을 버리고 한강다리도 끊어버리고 저 혼자 도망친 이승만을 떠올린다. 세월호 선장은 실형을 선고 받아 감옥생활이라도 하지만, 서울을 버리고 도주한 이승만은 돌아와서 오히려 서울에 남아 있던 사람들을 처벌한다.

 

여기서 우리의 역사는 책임에서 벗어나 버렸다. 누구도 책임지지 않고, 오히려 책임져야 할 자가 큰소리를 치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다음에는 간첩사건이다. 실제로 간첩들이 존재했음은 이미 사실로 밝혀졌지만, 억울하게도 조작된 간첩사건이 있었음을, 그것도 엉성한 논리로 간첩으로 몰아갔음을,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렇게 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 때도 마찬가지다. 간첩 조작사건의 주역들이 처벌을 받기는커녕 오히려 출세가도를 달렸다는 우리 역사의 슬픈 모습.

 

간첩 조작사건과 비슷한 사건이 바로 내란죄, 내란 음모죄에 관한 역사적 사실이다. 대통령이 된 자부터 유명 정치인까지 도대체 내란죄로 한 번 안 걸린 사람이 없을 정도니... 한 마디로 내란 공화국이다.

 

그런데.., 이 책의 저자는 이런 내란 공화국에서 진정한 내란은 단 세 차례라고 한다. 5.16과 유신체제, 그리고 12.12에 연결되는 5.17. 그러나 이들은 모두 대통령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그들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온갖 내란 사건들을 조작해 낸다.

 

정권에 위협이 되면 모두 내란이다. 이건 문제다. 국가와 정권을 의도적으로 혼동하고 있는 것인데...이런 역사에서 배운 것이 없는지 다시 내란 음모죄로 한 정당을 해산시켜버렸다.  

 

이 다음에는 지금 정권의 실세가 되어 있는 과거 실세들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물론 주로 안 좋은 역사를 만드는데 참여 했던 사람이거나 도움을 주었던 사람들이다. 이들 중 정점에 서 있는 사람이 박근혜 정부에서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김기춘이다.

 

그의 인생 역정을 통해 우리 현대사의 질곡을 분명하게 볼 수 있다. 에고... 마지막 장은 야당에 대한 이야기.

 

야당이 바로 서야 정권교체고 뭐고 할 수 있는데, 야당이 야당답지 못하니 역사학자로서 야당이 어떨 때 국민들의 지지를 받는지를 역사적 사례들을 통해서 이야기해주고 있다. 이 이야기에 과연 야당 정치인들이 귀를 기울였는지는 지켜볼 일이지만, 지금 현재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렇듯 우리나라  정치 역사는 정말로 '고르디우스의 매듭'처럼 얽히고 설켰다. 어떻데 풀어야 할지 막막하게도 말이다.

 

그러나 역사는 계속 축적된다. 역사는 계속 공부된다. 이런 축적과 공부를 통해서 우리는 역사를 기억한다. 기억한 역사는 재반복되는 것을 막는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이 아무리 복잡하게 얽혀 있더라도 차근차근 하나하나 풀어가면 언젠가는 풀리게 되어 있다. 결코 조급해서는 안된다.

 

이게 바로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잘못을 알면 바로 잡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잘못인 줄 알고도 고치지 못하는 사람을, 책임지지 않는 사람을 골라내기 위해 역사를 공부하기 때문이다.

 

한국 현대 정치사에 얽혀 있는 '고르디우스의 매듭'. 이것을 풀 수 있는 사람은 정치가가 아니라 바로 우리, 대한민국이라는 공화국을 살아가고 있는 시민, 깨어 있는 시민이다. 역사는 정치가만이 아니라 시민들이 공부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이토록 지리멸렬한 역사가 반복되지 않는다. '고르디우스의 매듭'이 풀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